효소의 활성 실험_Enzyme activity assay_결과레포트 [A+]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효소의 활성 실험_Enzyme activity assay_결과레포트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Abstract
2. Experiment
3. Result
4. Discussion

본문내용

(1min는 초기값)
실험의 결과 10min에 측정한 모든 조의 흡광도가 (-)값이 나왔다. 이는 UV-Vis spectrophotometer의 영점을 잘못 설정해 나온 잘못된 값이었기 때문에 10min의 흡광도를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 따른 흡광도 값을 그래프로 도식화하였다.
Fig 14. 시간에 따른 흡광도 변화 그래프
Lambert-Beer 법칙을 이용하여 pNPB의 가수분해의 결과로 생성된 생성물 p-Nitrophenol의 농도를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은 공식이 필요하다. 공식의 는 기준 영점으로 설정한 대조군과 실험군의 농도 차이인데, 대조군의 흡광도는 시간별로 측정할 때마다 샘플을 따서 영점을 수정하는 데에 사용하였으므로 와 같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값에 따른 pNPB 용액의 농도를 계산해보자. 이 과정 역시 영점 설정의 오류가 있는 10min의 실험 결과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간에서의 흡광도와 농도를 계산하였다.
1min :
20min :
30min :
40min :
시간 (min)
흡광도
(Abs 405nm/min)
농도 (mM)
1
0.010
0.0005405
20
0.064
0.003459
30
0.117
0.006324
40
0.143
0.007730
Table 2. 시간에 따른 흡광도 변화와 pNPB 용액의 농도
이제 마지막으로 각 시간에서의 효소의 활성도를 구하기 위해 다음 Lambert-beer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용액의 부피는 54.45 ml의 50mM Tris-HCl buffer + 0.55ml의 50 mM pNPB + 20 μL calB를 모두 더해주어 총 54.45+0.55+0.02=55.02ml 이다. 흡광도의 측정 후 큐벳의 용액을 다시 bottle 안으로 넣어주었기 때문에 모든 시간에서의 용액의 부피는 일정하다. 또한 원래 Specific activity는 효소 활성을 효소의 질량으로 나눠주어야 하지만 이번 실험의 경우, 효소의 질량을 모르기 때문에 효소의 활성만을 구해주었다.
시간 (min)
농도 (mM)
효소활성 ()
1
0.0005405
0.0297
20
0.003459
0.00952
30
0.006324
0.0116
40
0.007730
0.01063
Table 3. 시간에 따른 pNPB 용액의 농도와 효소 활성
1min :
20min :
30min :
40min :
이는 500배 희석한 calB 효소의 활성도이기 때문에 희석 전 원래의 calB 효소의 활성을 구하려면 이 값에 500을 곱한 효소 활성을 가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4. Discussion
제조한 pNPB 용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흡광도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농도 또한 증가하였다. calB 효소를 넣기 전 pNPB 용액은 투명한 색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calB 효소를 넣어주자 노란색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calB 효소에 의해 pNPB가 p-Nitrophenol로 가수분해되었기 때문이며, 이러한 색의 변화를 통해 calB 효소가 정상적으로 활성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효소의 분석법 중 분광광도법과 Lambert-Beer 법칙을 이용해 효소의 농도와 활성을 계산할 수 있었다. 효소의 활성은 효소에 의해 일어나는 촉매작용으로, 효소 1분자에 대해 1분 동안 변화한 기질의 분자 수로 표현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의 40min 에서의 효소 활성은 가 나왔는데, 이를 희석 전 calB 효소의 활성으로 계산해보면 이다. 이렇게 나온 효소활성 5.315U는 효소 1 분자에 대해 약 의 기질 p-NPB가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NPB 용액에 calB 효소를 넣어준 뒤 1분, 10분, 20분, 30분, 40분이 지난 뒤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고 영점 설정의 실수로 잘못 나온 10분의 흡광도를 제외하고 나머지 시간에서의 시간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를 그래프로 도식화하였다. 이 그래프인 Fig 14. 로부터 시간에 따른 흡광도 변화 그래프는 을 가지는 거의 선형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40분보다 더 시간이 지나서도 계속해서 흡광도를 측정한다면, 흡광도는 선형으로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점점 특정값에 수렴하는 다음 FIg 15. 와 같은 형태를 보일 것이다. 왜냐하면 이번 실험에서 넣어준 calB 효소의 양은 20로 제한되어 있으며, 기질인 pNPB의 양 또한 제한되어 정해진 양이기 때문이다.
Fig 15. 시간이 더 흐른 뒤에 예상되는 시간에 따른 흡광도 변화 그래프의 개형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06.10
  • 저작시기2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