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주제학습 [심혈관 촬영술 및 심초음파]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심혈관 촬영술 및 심초음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심도자술(Cardiac catheterization)
1. 해부 생리 및 검사 원리
2. 목적 및 적응증
3. 방법 및 절차(과정)
4. 금기사항
5. 검사 전, 후 간호 및 주의사항

Ⅱ. 심초음파(Echocardiography)
1. 해부생리 및 검사원리
2. 목적 및 적응증
3. 검사 방법 및 절차(과정)
4. 심장초음파 종류 및 방법
5. 금기사항
6. 검사 전 및 검사 후 간호
7. 심장 초음파 이상소견

본문내용

동의서를 작성한다. 정맥 주사로를 확보하는 것 이외에는 일반 경흉부 심초음파와 동일한 검사과정을 거친다. 운동 부하일 경우, 운동을 최대한 또는 흉통이나 다른 증상이 발생할 때까지 운동을 시행한 이후 재빨리 경흉부 심초음파를 시행하는 자세와 비슷한 자세를 취한 뒤 초음파 검사를 받는다.
4. 심장초음파 종류 및 방법
①M-mode 심장 초음파 검사
Time-motion mode로써 심장이 움직이는 현 상을 시간단위로 기록하므로 심장 크기와 기 능의 측정에 유용하다.
②양면성 심장 초음파 검사(2-D Echo)
환자의 가슴, 복부, 목 등의 여러 위치에서 심장의 단면을 관찰하는 검사로써 심장과 혈관의 해부학적 형태를 규명하는데 가장 중요한 필수적인 검사이다. 2차원 심장 초음파촬영 시에는 초음파 광속의 각이 한 섹터내로 재빨리 이동해서 섹터 스캔을 만들어 낸다. 이것은 M-mode 초음파 촬영보다 훨씬 더 자유자재로 공간적인 해부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심근손상이 있는 환자의 심장운동이나 심벽에 붙은 혈전을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2-D Echo 촬영기계는 동시에 M-mode 심장초음파도 촬영할 수 있다.
**정상 초음파 사진
심방과 심실이 모두 보이는 view이다.
RA: 우심방 LA: 좌심방 RA: 우심실
LV: 좌심실 as: 심방 중격
③칼라 도플러(Color Doppler) 심장 초음파 검사
혈류를 color coding한 방법으로 정상 혈류(층류)는 순수한 빨간색(탐촉자를 향해서 오는 혈 류)이나 파란색(탐촉자로부터 멀어져 가는 혈류)으로 표시되며 혈류 속도가 높은 비정상적 인 혈류(와류)는 여러 색이 섞인 mosaic pattern으로 보인다. 판막 역류, 단락의 부위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④Pulse Wave Doppler 심장 초음파 검사
심장의 기능이나 혈류에 관하여 자세히 알기 위해서는 Doppler 검사가 필수적이다. 탐촉자에서 일정시간 음파를 보낸 후 일정 깊이에 있는 움직이는 물체에 부딪혀서 되돌아오는 시간 동안 기다렸다가 반사 음파를 수집하여 Doppler frequency shift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과정을 수없이 반복하여 시행함으로써 혈류의 속도를 측정한다. 탐촉자를 향해서 오는 혈류는 위를 향해서 기록되도록 표시되며 탐촉자에서 멀어지는 혈류는 아래로 표시된다. 따라서 혈류의 방향, 특성을 알 수 있다.
⑤Contineous Wave Doppler 심장 초음파 검사
탐촉자 head에 있는 crystal을 이용하여 하나는 연속적으로 초음파 signal을 내보내고 다른 하나는 이 경로에 있는 모든 조직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초음파 signal을 받음으로써 그 경로에 있는 모든 조직에서의 최대 혈류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판막 협착의 심한 정도를 알 수 있으며 폐동맥 압력 등을 짐작할 수 있다.
⑥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경식도 초음파 검사
식도를 통해 고주파수의 초음파를 사용함으로써 초음파 감쇠를 없앨 수 있어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음파 탐촉자를 내시경을 통하여 식도나 위 상부에 위치하고 심장근육, 판막과 심장기능 그리고 대동맥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검사이다.
5. 금기사항
-이 검사는 비협조적인 환자에게는 금기가 된다.
-폐질환을 가진 환자나 비만한 환자에서는 검사가 어려운 경우도 있다.
6. 검사 전 및 검사 후 간호
-환자에게 검사절차를 설명한다.
-이 검사는 고통이 없다고 알려준다.
-가능하면 프라이버시를 유지시키고 몸을 덮어준다.
-음파전달을 강화시키기 위해 심장 위의 피부에 젤을 바른다는 것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검사도중 EKG가 기록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사지에 EKG lead 가 부착된다.
-의사가 의심하는 심장문제와 간호력을 포함하여 심장초음파검사 양식을 작성한다.
-검사 후 환자 흉부에 묻은 젤을 제거한다.
7. 심장 초음파 이상소견
<판막질환의 심초음파 소견> <허혈성 심질환에 의한 국소적 벽운동 장애>
<심초음파 검사상의 이상소견>
Ⅲ. 참고문헌
쉽게 풀어쓴 심장학. 김동환 외. 2012. 예당북
심장학. 서울대학교의과대학. 1996. 서울대학교출판부
진단적 검사와 간호. 송미순 외. 2001. 현문사
성인간호학Ⅰ, 김금순 외. 2012. 수문사
간호사를 위한 검사이야기 채석래, 권혜숙 의학서원
국가건강정보포털 (사진) http://health.mw.go.kr/Main.do, 삼성서울병원 팜플렛(심도자술)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06.16
  • 저작시기201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7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