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주제학습 [간경변증 합병증, 식도정맥류 결찰술, 복수천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간경변증 합병증, 식도정맥류 결찰술, 복수천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간경변증 합병증
Ⅱ. 내시경 식도정맥류 결찰술 (endoscopic variceal ligation, EVL)
Ⅲ.복수천자

본문내용

위장 출혈 예방: H₂-receptor antagonist, proton pump inhibitor
- 배변: lactulose syrup 매일 3~4회 복용
- 의사의 처방없이 어떠한 약도 복용하지 않는다
3) 금주
- 절대 금주
- 알코올 중독자는 도움 받을 수 있는 기관을 찾음
4) 체위
- 복수가 심하여 호흡곤란이 오면 반좌위나 좌위 취해줌
5. 적용 가능한 간호진단
① 근육소모, 혈액 손실과 관련된 피로
② 섭취장애 또는 소화장애와 관련된 영양부족
③ 복수, 부종,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④ 부동, 영양불량, 부종, 황달, 소양증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6. 출처
- 조경숙 외 9명(2014),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 Jane Hokanson Hawks(2011), 「성인간호학2」, 정담미디어
Ⅱ. 내시경 식도정맥류 결찰술 (endoscopic variceal ligation, EVL)
식도에 내시경을 삽입하여 고무줄로 정맥류를 결찰하여 정맥류의 혈류를 정지시키는
방법이다. 점막과 정맥류를 같이 잡아당겨놓고 고무줄을 씌워 묶어 놓는것이다.
이렇게 하면 정맥류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 정맥류는 괴사를 일으켜 썩어 떨어지게 된다.
-시술후 주의사항: 다음날 아침까지 금식을 해야하며 별다른 합병증이 없는경우 물부터
시작하여 미음등의 유동식을 섭취한다. 시술후 목에서 소량의 혈액이 묻어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대게적 일시적이다. 시술은 정맥류 상태에 따라 2주에서 1년간격으로 반복해서 시행하며 더이상 정맥류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술을 시행하지 않을수 있다. 시술에 따른 합병증으로는,식도천공, 정맥류 재출혈, 종격동염, 복막염, 패혈증등이 발생할수 있으며출혈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지혈을 위한 S-B튜브를 코를 통해 입으로 삽입할수 있고, 다른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에도 내과적 치료에 반응이 없으면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병원에서는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을 막기위하여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불가피한 경우 합병증으로 인하여 입원, 응급수술등의 치료가 필요하다.*정맥류 밴드 결찰을 위한 기구들
1.준비물
(1) 멀티 밴드 (2) 싱글 밴드
1. 결찰 밴드가 장착된 투명 원통 부착물( 밴드는 4,6,10개가 장착될수 있다)
2.방아쇠 실
3.굽은 손잡이
4.장전 카테터
5.세척연결기
6.싱글밴드
2.시술방법
(1) 출혈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원통 부착물 없이 내시경을 시행한다
(2) 밴드결찰 기구를 내시경에 장착하고 재삽입한다. 출혈하고 있는 정맥류를 원통안으로 흡인함
(3) 정맥류 위로 고무밴드를 적용한다
(4) 정맥류 밴드 결찰 기구의 굽은 손잡이를 1회 돌려서 감아 주면 1개 밴드가 유리된다
(5) 출혈이 멈춤, 결찰된 정맥류 위로 출혈 부위가 관찰이 된다. 남아있는 다른 정맥류들을 밴드결찰로 치료한다.
*식도정맥류를 고무밴드로 결찰한 사진
*결찰 후 1주일째 결찰한 부위가 떨어지면서 식도 정맥류가 사라진 사진.
Ⅲ.복수천자
1. 검사목적
간 복수천자는 악성종양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복수를 채취, 분석하거나 복강내의 과도한 액체를 제거하려고 할 때 시행한다.
*복수: 정상적으로 복강내에는 복막과 장기간의 자극과 마찰을 감소시키고 윤활작용을 하는 액체가 약간있고 복막내의 림프관을 통하여 림프관 속으로 흡수되지만 간경화증이나 결핵성 복막염의 경우 복강내에 고이게 되는 현상
*복수천자 금기환자
-응고 비정상이거나 출혈경향이 있는 환자
-적은양의 체액을 가지고 있는 환자
-전에 광범위한 복부수술을 받은 환자는 바늘이 쉽게 장을 천공할 수 있으며 급성 간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2. 천자부위-치골결합과 제와를 잇는 중심선의 종양
3. 준비물품
-소독솜, 국소마취제, 마취제 주입을 위한 주사기, 24G와 22G의 주사바늘, 소공포, 작은메스, Needle Holder, 봉합사, 검사물 용기, 거즈
4. 체위
-환자의 침대 혹은 의자에 등을 지지한다.
-발판에 다리를 놓으며 high Fowler 체위로 눕힌다.
5. 시행절차
1)검사를 위해 사전 동의서를 작성한다.
2)의사는 검사부위를 소독한후 소공포로 덮고 국소마취제를 주사한다.
3)메스로 작은 절개창을 만들에 캐뉼라 안에 투관침을 끼운채 삽입한 후에 투관침을 제거한다.
4)이때 캐뉼라에 튜브를 연결하면 튜브를 통해 복수가 용기로 흐르게 되며 1회 최대 배액량은 1500ml이며 천천히 배액시킴으로써 순환혈량 감소로 인한 쇼크를 예방한다.
5)캐뉼라를 제거하기 전에 약간의 액체를 검사용기에 담는다
6)절개창은 봉합하거나 하지 않을수도 있고 드레싱한다.
6.간호중재
1)검사전
-환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뒤 복부둘레를 측정한다.
-국소마취제와 소독제에 대해 과민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기록한다.
-환자에게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천자시 동통은 없고 복수로 인한 불편감이 없어지며 보통 30~60분 동안 시행되고 검사물 채취시는 15분정도 소요되며 환자의 유지해야하는자세, 언제, 어디서 시행하며, 누가 참석할것인지 설명한다.
*검사과정 중에 흡인바늘에 의해 부주의하게 천자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방광을 비우도록한다.
-환자는 침대에서 자세를 취하거나 베개를 사용하여 등을 지지하며 필요한 부위만 노출 시킨다.
2)검사중
-환자에세 검사과정을 설명하고 괴로워하는 증후, 액체의 소실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를 관찰하고 캐뉼라가 제거된 후 절개부위에 멸균 드레싱을 한다.
3)검사후
-환자의 맥박, 피부색, 혈압을 사정한다.
*저혈량성 쇼크는 복수제거로 인한 압력감소의 결과로 순환기계에 있는 액체가 복부로 들어 왔을 때 발생되며 이의 증상으로 창백, 호흡곤란, 발한, 혈압하강등이 나타난다.
-검사전에 측정한 부위에서 복부둘레를 측정하고 체액 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대상자의 체중을 측정한다.
-검사물을 정리하고 라벨을 붙인다. 환자의 차트에 날짜와 시간, 의사이름, 검사 전 후 복부둘레, 배액된 액체의 양, 색 투명도 환자상태 등을 기록한다.
7. 합병증
1)과다한 양의 복부체액은 정맥내의 양에서 체액으로 축적된다.
2)복막염, 바늘의 위장관계 천공으로 일어난다.
3)바늘이 투입된 경로를 통한 종양의 새어나옴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1.06.16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7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