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학개론 / 잘알려지지않은언어소개 / 아이누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학개론 / 잘알려지지않은언어소개 / 아이누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개요

2. 음운
2.1. 모음
2.2. 자음

3. 어순

4. 언어의 특징
4.1. 포합어
4.2. 폐음절
4.3. 동사의 원형만 존재
4.4. 복수 동사 존재
4.5.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

5. 결론

6.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타동사 nukar(보다)의 경우 인칭접사가 ci=nukar, a=nukar가 된다. 출처 https://namu.wiki/w/%EC%95%84%EC%9D%B4%EB%88%84%EC%96%B4
5. 결론
아이누인은 현재의 일본인(도래인)이 이주하기 전부터 일본 땅에 먼저 살고있던 선민족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1980년 기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인구는 15명일 정도로 사어가 되어가고 있는 언어이다. 고아시아어를 쓰던 민족의 언어들은 대부분 아시아 변방으로 몰려가 스스로 사멸되거나 다른 강한 민족의 언어에 동화되어야만 했다. 한국어도 아이누어처럼 고립어에 같은 아시아권이고 또한 지리적으로도 가까우면서도 고아시아족 언어로 추정되고 있어서 한국어 화자로서 아이누어는 흥미롭게 다가왔다. 문화적으로 큰 영향력을 주는 언어가 비교적 약한 언어에 영향을 주고, 결국은 변방의 언어는 사멸하듯이 미래의 한국어도 인구절벽 등 여러 문제로 언젠가 사멸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아이누어의 사례를 보면서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은 한국어를 오랫동안 간직하기 위해 보다 나은 노력을 해야할 것이다. 또한 미래의 한국어 교사로서 아이누어처럼 다양한 언어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면 다양한 국적의 학생 교수 시 더 나은 방안을 도출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6. 참고문헌 및 사이트
김공칠 (2000). 아이누어 연구. 한국문화사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C%9D%B4%EB%88%84%EC%96%B4
https://namu.wiki/w/%EC%95%84%EC%9D%B4%EB%88%84%EC%96%B4
  • 가격1,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1.06.21
  • 저작시기202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18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