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2. 개화기 및 일제강점기 시대
3. 광복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 참고문헌
2. 개화기 및 일제강점기 시대
3. 광복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 부속 국민학교(현 연세재활학교)이며, 정신지체학교는 1966년에 설립된 대구보명학교다. 이후 전국 각 지역에 사립 특수학교가 설립되었는데, 당시 사립 특수학교들은 기독교적 인도주의와 박애주의 정신에 입각하여 설립된 것이 대부분으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1967년 9월 문교부가 마련한 \'특수교육 5개년 계획\'을 계기로 해서 국가가 적극적으로 특수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기 시작하였다. 정부의 경제발전 우선정책에 따라 특수교육 발전의 큰 성과는 없었으나 경남혜림학교와 대구남양학교가 설립되었고, 대전맹학교가 사립에서 공립으로 바뀌게 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와 일반 초등학교에 특수학급이 설치되면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공적 책임 확대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71년 대구 칠성국민학교에 설치된 최초의 교육가능 정신지체아 특수학급을 시작으로 하여 1972년에는 18개, 1973년에 33개의 특수학급에서 552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았다. 또한 1979년에는 서울 여의도중학교에 특수학급이 설치되었으며, 1982년에는 여의도고등학교, 1986년에는 여의도초등학교에 약시학급이 설치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1984년에는 경기도에 정신지체 중학교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실험적으로 운영되었고, 1989년에는 서울 교동초등학교에 난청아동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질적 발전은 1977년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후 1988년 세계 장애인올림픽 개최가 장애인에 대한 교육과 복지의 질적 향상을 이를 수 있도록 하였다.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과 함께 이듬해 동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공포되면서 우리나라 장애인 교육을 공적으로 보장하기 시작하였고, 전국 시 도에 공립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이 설치되는 등 특수교육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는 법적 근거가 되었다. 1994년 전면 개정에서는 통합교육 및 개별화교육 등 새로운 교육사조의 도입, 장애학생의 적절한 선정 배치 등 절차적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 운영위원회의 도입 등 획기적인 조치를 포함하였고, 초등학교, 중학교 과정의 의무교육과 유치원 및 고등학교 과정의 무상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1967년 9월 문교부가 마련한 \'특수교육 5개년 계획\'을 계기로 해서 국가가 적극적으로 특수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기 시작하였다. 정부의 경제발전 우선정책에 따라 특수교육 발전의 큰 성과는 없었으나 경남혜림학교와 대구남양학교가 설립되었고, 대전맹학교가 사립에서 공립으로 바뀌게 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와 일반 초등학교에 특수학급이 설치되면서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공적 책임 확대를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971년 대구 칠성국민학교에 설치된 최초의 교육가능 정신지체아 특수학급을 시작으로 하여 1972년에는 18개, 1973년에 33개의 특수학급에서 552명의 학생이 교육을 받았다. 또한 1979년에는 서울 여의도중학교에 특수학급이 설치되었으며, 1982년에는 여의도고등학교, 1986년에는 여의도초등학교에 약시학급이 설치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1984년에는 경기도에 정신지체 중학교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실험적으로 운영되었고, 1989년에는 서울 교동초등학교에 난청아동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질적 발전은 1977년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으며, 이후 1988년 세계 장애인올림픽 개최가 장애인에 대한 교육과 복지의 질적 향상을 이를 수 있도록 하였다.
“특수교육진흥법”의 제정과 함께 이듬해 동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공포되면서 우리나라 장애인 교육을 공적으로 보장하기 시작하였고, 전국 시 도에 공립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이 설치되는 등 특수교육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는 법적 근거가 되었다. 1994년 전면 개정에서는 통합교육 및 개별화교육 등 새로운 교육사조의 도입, 장애학생의 적절한 선정 배치 등 절차적 권리 강화를 위한 특수교육 운영위원회의 도입 등 획기적인 조치를 포함하였고, 초등학교, 중학교 과정의 의무교육과 유치원 및 고등학교 과정의 무상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