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교육(聾敎育)의 역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교육(聾敎育)의 역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농교육의 전사(前史)

2. 학교교육의 성립과 방법논쟁의 제기

3. 언어지도 방법 논쟁의 전개과정

본문내용

주체적 농교육 전개
이창호(李昌浩)목사는 마펫트 선교사 등의 도움으로 1935년 평양에 평양광명맹아학교(平壤光明盲啞學校)를 설립하여 맹교육과 함께 농교육을 실시하였다. 이 학교에서는 통학제와 기숙제를 병행하였으며, 처음에는 수화법 위주로 지도하였으나, 후에는 구화법을 도입하기도 했다. 당시 교사들은 모두 한국인으로서 특히 사명감이 투철하였다고 한다. 이처럼 초기의 우리나라 농교육은 주로 기독교인들을 중심으로 당시 기독교 전파가 가장 활발하였던 평양에서 그 진원지를 이루었다.
2. 광복후 농교육의 발전과정
1) 국립 맹아학교로 개칭
광복 직후 일제치하의 제생원 맹아부는 미군정청에 의하여 관리되어 오던 중 국립맹아학교로 개칭되어, 미국인 특수교육 고문관인 윌톤이 학급의 재편성, 학제변동 등을 강행하여 교육내용과 수준이 일반아동과 같게 하는 6년제 초등 특수학교로 개편하였다. 이 같은 제도적 정비는 근대적 학교교육을 향한 농교육의 일대 변혁이라 할 수 있다.
2) 문교부에 의한 농교육의 시작
1947년 2월에는 미군정청 보건후생부 관할로 있던 특수학교인 국립맹아학교를 문교부 관할로 이관하였으며, 같은 해 9월에는 중등과를 신설함으로써 우리나라 최초의 중등특수교육기관이 되었다. 이 무렵 초대 국립맹아학교 교장으로 취임한 윤백원(尹伯元)은 한글 지문자(指文字)를 제정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우리나라 농교육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3) 6,25와 농교육
1950년 12월 국립맹아학교는 6·25 전란으로 인하여 제주도로 피난하였다가, 1951년 9월에 다시 부산으로 이전하여 전란 중에도 피난지에서 수업을 계속하였다.
4) 농교육 교사의 양성
서울맹아학교(盲啞學校)는 1953년 8월에 서울 본 교사로 환교하여 그간 추진 중이던 사범과 설치 문제가 해결되어 1954년 4월에 중등교육을 마친 농아인에게 사범학교와 동등한 교육과 기술을 제공하는 3년제의 사범과와 일반인으로서 고등학교 또는 사범학교를 졸업한 자를 대상으로 하는 1년제의 보통사범과를 설치하였다. 이로써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특수학교 교사양성을 위한 사범교육이 특수학교 내에서 단기훈련 형태로 운영되어 왔다.
5) 공립 농학교의 탄생
국립 서울맹아학교가 제주도와 부산에 각각 피난학교를 운영하게 된 것이 계기가 되어 1953년 8월에 공립 제주맹아분교(오늘날의 제주명지학교)를 탄생시켰고, 이어 1955년 8월에는 부산에 부산맹아학교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공립특수학교로 개교를 하게 되었다.
3. 민간사학에 의한 농교육의 발달
1) 최초의 사학 농교육
광복 후 민간인으로 최초로 사립 농교육 사업을 시작한 사람은 1946년 4월 19일에 대구맹아학교(大邱盲啞學校)를 설립한 이영식(李永植)목사이다.
2) 최초의 특수교사 양성 기관인 특수교육과 설치
1956년에 대구맹아학교가 모체가 되어 한국사회사업대학을 설립하고, 1961년에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특수교육 교사 양성 과정으로 4년제 특수교육과를 설치하였다.
3) 기독교인들에 의한 민간 농사학의 설립
같은 무렵에 사립 농학교가 주로 민간 기독교인들에 의해 설립되기 시작했다. 1955년에 충주에 천주교회 유지재단에 의해 충주성심농아학원(忠州聖心聾啞學院)이 설립되었고, 같은 해에 인천에서는 정규순(鄭奎淳)에 의해 농아수용원인 성동원(聖童園)으로 시작하여 인천농아학교를 설립하였다. 1960년에는 군산에서 신항일(申恒日)이가 군산농아학교를, 광주에서는 김택룡(金澤龍)에 의해 전남농아학교, 이리에서는 김현수(金炫洙)에 의해 전북농아학교가 설립되었다. 그리고, 1962년에는 서울에서 최병문(崔秉文)에 의해 한국구화학교가 설럽되었고, 같은 해에 대전에서는 노재욱(盧在旭)이 충남농아학교(오늘날의 대전원명학교)를, 수원에서는 이승영(李升永)에 의해 수원농아학교가 각각 설립되었다. 1965년에 유옥주(兪玉洙)는 부산(당시 김해)에서 혜원구화학교를 설립하였고, 이듬해인 1966년에는 역시 부산에 이종수(李鍾洙)는 부산구화학교를 설립하였으며, 같은 해에 안동에서 배연창(裵淵昌)은 안동농아학교를 각각 설립하였다. 60년대에 전국에 무려 9개의 사립 농학교가 설립된 반면, 공립으로는 농·정신지체학교로 경남혜림학교(1969) 1개교가 겨우 설립되었을 뿐이다. 이로써 60년대 말까지만 해도 국립농학교 1개교, 공립농학교가 3개교인 반면, 사립농학교는 12개교나 되었다.
4. 국가적 책임의 확대
1) 공립 농학교의 확충
50년대와 60년대의 한국 농교육은 주로 민간인들이 자선사업 정신에서 보호와 교육을 병행하는 가운데 사립 농학교가 크게 보급된 시기였다. 그러다가 70년대에 와서는 사립 농학교의 설립이 주춤한 가운데, 국가에서 좀 더 적극적으로 특수교육에 관심을 표명하면서 몇몇 공립 특수학교를 신설하였다. 70년대 이후 우리나라 농교육 기관의 증설 과정을 보며, 그간 농학교로서 공립 특수학교를 설립하지 못했던 강원도에 춘천계성학교(1975)가, 전라북도에 전주선화학교(1975)가 각각 설립되었다. 70년대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농교육 발전에 영향을 미친 업적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1977년 말에 정부는 낙후된 특수교육을 진흥하기 위해 특수교육진흥법을 제정하고, 이듬해에 그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제정·공포하여 1979년부터 시행하게 된 것이다. 이 법의 시행에 따라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모든 학생에게 무상교육이 실시되었으며, 최근 이 법의 개정에 따라 초등과 중학과정은 의무교육으로, 유치부와 고등부는 무상교육으로 교육권이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한국농아인협회. 농아인과 사회. pp.55-76.
김병하. 특수교육의 역사적 이해. 서울:형설출판사. 1985.
김병하 외3인. 청각장애아 교육. 대구:대구대학교출판부. 1990.
대한특수교육학회. 한국특수교육백년사. 서울:도서출판 특수교육. 1995
한국청각장애자복지회편. 청각장애편람. 서울:도서출판 특수교육. 1992.
Bender, R.E.(1981). The Conquest of Deafness. Danville, Illinois: The Interstate Printers & Publishers, Inc.
  • 가격1,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4.03.10
  • 저작시기200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42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