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실습 난소 낭종(Ovarian cyst) 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실습 난소 낭종(Ovarian cyst) 케이스스터디(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호력
2.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3. 난소 낭종(Ovarian cyst) 질병연구
4.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대상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통증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게 함으로서 효과적으로 통증을 조절하게 한다.
2. 자가통증조절기(PCA)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 PCA는 진통제이며 통증이 심하다고 느낄 때 20분에 1번 간격으로 누르면 주입되는 용량이 증가되어 통증이 완화된다고 설명했다.
2-1. 환자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3. EDBC를 격려 시 수술부위를 지지하고, 조기 이상을 격려한다.
3-1. 조기이상은 장내 가스배출을 도움으로써 장내 가스로 인한 통증을 감소시킨다.
4. 통증을 완화하는 체위를 교육한다.
- 심스자세 및 세미파울러 체위는 복부 근육 긴장을 완화함으로써 통증이 완화된다고 설명했다.
- 복압상승은 수술 부위의 통증 및 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4-1. 복압상승은 수술 부위의 통증과 출혈을 유발한다.
5. 신체적 고통의 정도나 부위를 환자가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5-1. 환자의 신체적인 고통을 상대에게 제대로 전달함으로써 적절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6. 규칙적인 생활리듬을 지도한다.
6-1. 규칙적인 생활은 호르몬 밸런스를 정돈하고 생리주기를 정돈하는데 도움이 되고, 생리 주기를 정돈하여 통증 조절의 타이밍을 자기 조정하기 쉬워진다.
간호평가
- 대상자의 1/29일 통증 사정 시, 통증 강도는 3점이었다.
- 대상자는 1/29일 통증을 느끼는 표정을 보였다.
- 대상자는 1/29일 통증의 횟수와 강도가 1/29일과 비슷하다고 말하였다.
- 1/29일 대상자의 움직임은 1/29일보다는 활동 범위가 넓어졌지만 자연스러워지지는 않았다.
- 1/31일 퇴원 시 대상자의 통증사정결과는 NRS 2 였다.
간호진단
#2. 수술 후 생리적 변화 및 질병에 대한 정보제공 부족과 관련된 지식부족 (사정일: 2020/1/28)
영역
내용
근거자료
주관적
자료
” 난소에 대해 잘 몰라요. 수술하기 전에 의사선생님이 설명해 주시는 것 들은 정도에요.“
” 제가 왜 난소에 낭종이 생겼을까요?“
“ 수술 받고 나면 나중에 커서 임신하는데 문제는 없겠죠?” (by. 부모님)
“ 어떻게 해야 재발을 안 할까요?”
객관적
자료
- 나이: 16세
- 교육정도: 고등학교 재학중
- 환자나 어머니가 부인과 시술 및 수술을 받은 경험이 없음
- 진단명 : Ovarian cyst
- 수술명 : Gasless SPA L/S LO cystectomy
간호목표
단기
목표
- 대상자는 1/29일 까지 추후 관리에 대해 1가지 이상 말한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질병에 대해 이해하였다고 말한다.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교육적 계획 및 수행
1. 난소의 위치와 기능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 난소의 위치와 기능에 대해 그림을 보여주며 설명하였다. (1/28)
1-1.
1-2. 난소의 기능은 난자형성과 스테로이드생산이다. 여포를 성숙시켜 배란을 일으키고, 에스트로겐, 황체호르몬 등 그 밖의 다양한 호르몬을 분비하여, 월경, 임신, 유방발육 과 같은 여성으로서의 기능 및 특징들을 나타나게 한다.
2. 난소 낭종의 원인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 조직검사 결과 추후 확인이 필요하지만 환자의 낭종의 종류가 기능성 난소 낭종 중 여포 난종임을 설명하고 그것의 원인은 배란 과정에 장애가 있을 때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하였다. (1/28)
2-1. 난소 낭종은 기능성 낭종과 양성 난소 종양으로 구분된다. 기능성(생리적) 난소 낭종은 배란 과정에서 발생 가능하며 배란 과정에 장애가 있을 때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양성 난소 종양(비기능적 낭종)의 원인은 뚜렷하지 않다.
3. 난소 낭종의 경과 및 합병증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 큰 낭종이 있는 상태가 지속되면 임신이 어려워질 가능성은 있지만 난소에 있는 물혹을 떼어낸 것이기 때문에 불임과 연관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설명하였다. (1/28)
- 재발하여 복강 내에서 파열되면 복강 내 출혈과 급성 복통을 일으킬 수도 있음을 설명하였다. (1/28)
3-1. 난소낭종이 크고 심하면 나팔관(난관)이 굳어져 난자가 원활히 통과하지 못해 임신이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제거한 후에는 불임과 연관성이 떨어진다.
3-2. 종괴(혹)가 꼬이거나 복강 내에서 파열되면 복강 내 출혈과 급성 복통을 일으킬 수도 있다
4. 난소 낭종의 추후 관리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 하복부의 혈액 순환이 원활히 되게 해야 하며, 한약과 침, 뜸 등으로 추후관리를 많이 한다고 설명하였다. (1/28)
4-1. 낭종은 재발하기 쉬운 질환이므로 재발 방지를 위해 추후관리를 해야 한다.
하복부의 혈액순환이 저하되면 자궁난소가 영양분, 열을 원활히 공급받지 못하고 기능이 떨어지면서 조직 내부에 정체되는 노폐물을 잘 배출하지 못하게 되며, 이러한 샅애가 누적되어 낭종으로까지 발현하게 된다.
따라서 몸 안의 대사불균형을 바로잡으며 골반강 내부로의 순환을 원활히 하여 증상의 호전과 차후 반복적인 재발을 방지하는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방법은 몸상태를 파악하고, 개개인별 맞춤 한약과 침, 뜸, 약침 등의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간호평가
- 대상자는 1/29일 까지 추후 관리에 대해 1가지 이상 말하였다.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질병에 대해 이해하였다고 말하였다.
v. 참고문헌
제9판 여성건강간호학 Ⅰ, Ⅱ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2018) / 수문사
모성 여성건강간호학 Ⅰ, Ⅱ / 유은광 외 공저 (2014) / 현문사
성미혜 외,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제2판, 2017, JMK
박금주 외,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2019, 계축문화사
난소낭종([ovarian cystic tumor]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병원)
병기병태중증도로 본 근거중심 질환별 간호과정 3, 2014, ㈜한언
서울대학교 병원 간호본부 엮음, 간호과정 실무지침, 2017,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약학정보원, www.health.kr
대한외과학회 https://www.surgery.or.kr/
대한간호과학회 http://www.kan.or.kr/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21.07.14
  • 저작시기2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2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