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교육]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교사 주도 전략

II. 학습자 주도 전략
1. 인지적 행동수정
1) 자기교수법
2) 자기점검법
2. 상호적 교수

III. 동료 주도 전략

*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이 교사 역할을 맡아 다른 한쪽의 학생을 지도하는 체계적인 동료 주도 전략이다.
또래교수는 일반교육과 특수교육 분야에서 모두 인정받아 온 전략으로 장애학생의 일반학교 교육과정 접근을 촉진하는 교수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또래교수는 한 학생이 또래교사가 되어 다른 학생에게 특정한 기술을 가르치거나 돕는 것을 의미한다.
또래교수는 도움을 받는 학생뿐 아니라 도움을 주는 학생도 책임감과 자존감 또는 학업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Fisher, Schumaker, & Deshler, 1995), 사회성 기술과 학교생활 태도 등에서도 긍정적인 성과가 보고되고 있다(Fuchs et al., 2002; Raymond, 2004).
학급 전체 또래교수 체계는 학급 내 모든 학생이 2인 1조가 되어 또래교수를 실시하는 방법이다. 이 또래교수법은 단순반복 연습과제, 서로 간에 시범을 보이고 따라하는 활동이 포함된 과제 등이 적합하며, 특히 수학, 받아쓰기, 낱말공부 등의 국어, 과학, 사회 교과에 적합하다.
또한 또래교수는 수학과 읽기 분야에 특정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있다. 이 중 읽기 또래교수를 보면, 읽기능력에 따라 학급 학생들의 순위를 매긴 다음 2인 1조로 짝을 지운다.
읽기 수준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으로 구성되어 성취도가 높은 학생이 다른 학생의 모델이 되어 항상 먼저 크게 읽으며,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함에 따라 교사는 이들을 점검한다(The Access Center, 2008).
이후 읽기 수준이 낮은 학생이 글을 읽으면 읽기 수준이 높은 학생이 듣고 발음이나 어취, 내용에 대해 질문한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키워드

개념,   정의,   특징,   특성
  • 가격3,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1.07.16
  • 저작시기202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29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