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Kidney의 기능 1
2. Kidney의 anatomy
1) structure(구조) 1
2) Kidney의 발달 1
3) 미세(현미경적인)구조 2
3. Kidney의 physiology (Urine formation)
1) Glomerular filtration(사구체 여과) 6
2) Tubular reabsorption(세뇨관 재흡수) 6
3) Tubular secretion(세뇨관 분비) 8
4. 참고문헌 9
2. Kidney의 anatomy
1) structure(구조) 1
2) Kidney의 발달 1
3) 미세(현미경적인)구조 2
3. Kidney의 physiology (Urine formation)
1) Glomerular filtration(사구체 여과) 6
2) Tubular reabsorption(세뇨관 재흡수) 6
3) Tubular secretion(세뇨관 분비) 8
4. 참고문헌 9
본문내용
osterone, ADH, 기타(ANP..) 등 호르몬
세뇨관 지나면서 재흡수해야 할 물질의 종류, 양 선택
① Proximal convoluted tubule(PCT)에서의 재흡수(65%)
- 항상 일어남
- 재흡수 과정
: glucose, amino acid-100% 재흡수(능동수송), Na+-Na-K Pump 이용해 재흡수(능동수송)
→ 전기적 균형 위해 Cl- 수동적 재흡수, 삼투 작용에 의해 H2O 수동적 재흡수
→ (H2O 재흡수) 세뇨관의 K+, urea 농도 높아져 확산 통해 재흡수
⇒ 즉, glucose(100%), amino acid(100%), Na+(65%), Cl-, H2O(80%), K+(65%), urea(50%) 등이 재흡수
- 여과액 중 65%정도 PCT→모세혈관으로 재흡수
나머지 20%: 헨렌고리에서 재흡수
나머지 15%: 필요 시 재흡수, 아니면 배출
② Henle’s loop에서의 재흡수(20%)
- descending(하행각) (15%): 아쿠아포린 발현해 H2O 투과 증가. H2O가 수동 확산되어 재흡수(=여과된 세뇨관 속의 물질: 농축됨)
- ascending(상행각) (5%): 아쿠아포린 거의 발현 안함. Na+(25%), Cl- 재흡수. thin한 부분(확산)/thick한 부분(능동수송)
* 역류증폭장치계 존재: 소변 농축
③ Distal convoluted tubule(DCT)
- K+ & Na+, BP 항상성 조절
- 혈장 Na+ 감소, BP 감소, ECF 부피 감소 & 혈장K+ 증가
→ renin-angiotensin-aldosterone 활성 & 부신피질에서 aldosterone 분비
→ Na-K Pump 증가
→ Na+ 능동적 재흡수 & K+분비 촉진
- Na+(10%), Cl-재흡수, K+분비
④ Collecting tubule(CT)
- H2O 항상성 조절
- 혈액 삼투농도 증가(Ex. 땀)
→ 뇌하수체 후엽: ADH(vasopressin) 분비
→ 아쿠아포린 발현 증가
→ H2O 투과성 증가해 재흡수 촉진
- urea 투과성 있음: 수동(확산)에 의해 재흡수
- HCO3-(중탄산이온) 재흡수 → urine 산성화
- 그 외 노폐물질, 과잉하게 있는 물질: 재흡수하지 않고 배설
* Distal & Collecting tubule에서의 재흡수 조절과 관련된 호르몬
- ADH(항이뇨 호르몬):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
CT에서 작용→H20 재흡수→소변농도 증가, BP증가, 체액삼투압 감소
- aldosterone(알도스테론,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부신피질 호르몬
DCT에서 작용→Na+, H20 재흡수, K+배설
- ANH(심방나트륨 배설촉진 호르몬): 심방에서 분비
aldosterone분비 감소→Na+, H2O 재흡수 감소
- PTH(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분비
세뇨관 자극→Ca++ 재흡수, P배설
*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 BP 감소
→ JGA 내의 JGC들의 자극에 의해 renin 분비
→ renin: 간에서 생성된 angiotensinogen → angiotensinⅠ으로 활성화
→ ACE: angiotensionⅠ → angiotensinⅡ
→ angiotensinⅡ: ① 혈관수축→BP증가
② 부신피질 자극→aldosterone→Na+, H20 재흡수 및 K+ 배설→혈액량 증가→BP증가
③ 교감신경 활성화
④ 뇌하수체 후엽→ADH→H2O 재흡수
- 주요기능: 체순환 혈압과 세포외액량 일정하게 조절
3) Tubular secretion(세뇨관 분비) 이강이 외(2015), 5th Edition 인체생리학, 현문사, p.280-282
신장에서 노페물을 효과적으로 배설시키는 기전
: 신체에 독성 물질(urea, NH3) & 과잉의 전해질(K+, H+)이 혈액에서 세뇨관으로 분비
H+: 신체 PH 조절, 대부분 PCT로 분비. CT에서 분비
K+: PCT에서 재흡수, DCT & CT에서 분비
* PCT: Na+(65%), Cl-, H2O(80%) & glucose(100%), amino acid(100%) & K+(60%)
urea(50%) 재흡수
H+ 분비
Henle’s loop: 하행성-H2O(20%) 재흡수 / 상행성-Na+(25%), Cl- 재흡수
DCT: 호르몬(aldosterone) 요구도에 의해
Na+(10%), Cl- 재흡수 & K+ 배출
CT: 호르몬(ADH) 요구도에 의해
H2O, HCO3-, urea 재흡수 → urine 농축
urea, NH3(ammonia), H+, K+ 배출
* 아동 소변의 특성 홍경자 외(2016), 10th Edition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262-265
물리적 검사
양(volume)
신생아: 30~60ml
아동: 방광용적(oz)=나이+2
비중(specific gravity)
정상적 수분섭취: 1.016~1.022
신생아: 1.001~1.030
아동, 성인: 1.001~1.030
삼투압(osmolarity)
신생아: 50~600mOsm/L
신생아 이후: 50~1,400mOsm/L
외양(appearance)
맑고 연한 황색~짙은 황금색
화학적 검사
산도(pH)
신생아: 5~7
이후: 4.8~7.8
평균: 6
단백질, 포도당, 케톤, 백혈구에스테르분해효소, 아질산염
없음
신기능 혈액검사
혈중요소질소(BUN)
신생아: 4~18
영아, 아동: 5~18
요산
아동: 2.0~5.5
크레아티닌
영아: 0.2~0.4
아동: 0.3~0.7
청소년: 0.5~1.0
4. 참고문헌
이강이 외(2015), 5th Edition 인체생리학, 현문사, p.270-282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2012), 3th Edition 새용어 사람해부학, 현문사, p.292-297
홍경자 외(2016), 10th Edition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259-260, 262-265
그림2: 2006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Benjamin Cummings.
그림3: 2001 Benjamin Cummings. an imprint of Addison Wesley Longman, Inc.
세뇨관 지나면서 재흡수해야 할 물질의 종류, 양 선택
① Proximal convoluted tubule(PCT)에서의 재흡수(65%)
- 항상 일어남
- 재흡수 과정
: glucose, amino acid-100% 재흡수(능동수송), Na+-Na-K Pump 이용해 재흡수(능동수송)
→ 전기적 균형 위해 Cl- 수동적 재흡수, 삼투 작용에 의해 H2O 수동적 재흡수
→ (H2O 재흡수) 세뇨관의 K+, urea 농도 높아져 확산 통해 재흡수
⇒ 즉, glucose(100%), amino acid(100%), Na+(65%), Cl-, H2O(80%), K+(65%), urea(50%) 등이 재흡수
- 여과액 중 65%정도 PCT→모세혈관으로 재흡수
나머지 20%: 헨렌고리에서 재흡수
나머지 15%: 필요 시 재흡수, 아니면 배출
② Henle’s loop에서의 재흡수(20%)
- descending(하행각) (15%): 아쿠아포린 발현해 H2O 투과 증가. H2O가 수동 확산되어 재흡수(=여과된 세뇨관 속의 물질: 농축됨)
- ascending(상행각) (5%): 아쿠아포린 거의 발현 안함. Na+(25%), Cl- 재흡수. thin한 부분(확산)/thick한 부분(능동수송)
* 역류증폭장치계 존재: 소변 농축
③ Distal convoluted tubule(DCT)
- K+ & Na+, BP 항상성 조절
- 혈장 Na+ 감소, BP 감소, ECF 부피 감소 & 혈장K+ 증가
→ renin-angiotensin-aldosterone 활성 & 부신피질에서 aldosterone 분비
→ Na-K Pump 증가
→ Na+ 능동적 재흡수 & K+분비 촉진
- Na+(10%), Cl-재흡수, K+분비
④ Collecting tubule(CT)
- H2O 항상성 조절
- 혈액 삼투농도 증가(Ex. 땀)
→ 뇌하수체 후엽: ADH(vasopressin) 분비
→ 아쿠아포린 발현 증가
→ H2O 투과성 증가해 재흡수 촉진
- urea 투과성 있음: 수동(확산)에 의해 재흡수
- HCO3-(중탄산이온) 재흡수 → urine 산성화
- 그 외 노폐물질, 과잉하게 있는 물질: 재흡수하지 않고 배설
* Distal & Collecting tubule에서의 재흡수 조절과 관련된 호르몬
- ADH(항이뇨 호르몬):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
CT에서 작용→H20 재흡수→소변농도 증가, BP증가, 체액삼투압 감소
- aldosterone(알도스테론,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부신피질 호르몬
DCT에서 작용→Na+, H20 재흡수, K+배설
- ANH(심방나트륨 배설촉진 호르몬): 심방에서 분비
aldosterone분비 감소→Na+, H2O 재흡수 감소
- PTH(부갑상선 호르몬): 부갑상선 분비
세뇨관 자극→Ca++ 재흡수, P배설
*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 BP 감소
→ JGA 내의 JGC들의 자극에 의해 renin 분비
→ renin: 간에서 생성된 angiotensinogen → angiotensinⅠ으로 활성화
→ ACE: angiotensionⅠ → angiotensinⅡ
→ angiotensinⅡ: ① 혈관수축→BP증가
② 부신피질 자극→aldosterone→Na+, H20 재흡수 및 K+ 배설→혈액량 증가→BP증가
③ 교감신경 활성화
④ 뇌하수체 후엽→ADH→H2O 재흡수
- 주요기능: 체순환 혈압과 세포외액량 일정하게 조절
3) Tubular secretion(세뇨관 분비) 이강이 외(2015), 5th Edition 인체생리학, 현문사, p.280-282
신장에서 노페물을 효과적으로 배설시키는 기전
: 신체에 독성 물질(urea, NH3) & 과잉의 전해질(K+, H+)이 혈액에서 세뇨관으로 분비
H+: 신체 PH 조절, 대부분 PCT로 분비. CT에서 분비
K+: PCT에서 재흡수, DCT & CT에서 분비
* PCT: Na+(65%), Cl-, H2O(80%) & glucose(100%), amino acid(100%) & K+(60%)
urea(50%) 재흡수
H+ 분비
Henle’s loop: 하행성-H2O(20%) 재흡수 / 상행성-Na+(25%), Cl- 재흡수
DCT: 호르몬(aldosterone) 요구도에 의해
Na+(10%), Cl- 재흡수 & K+ 배출
CT: 호르몬(ADH) 요구도에 의해
H2O, HCO3-, urea 재흡수 → urine 농축
urea, NH3(ammonia), H+, K+ 배출
* 아동 소변의 특성 홍경자 외(2016), 10th Edition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262-265
물리적 검사
양(volume)
신생아: 30~60ml
아동: 방광용적(oz)=나이+2
비중(specific gravity)
정상적 수분섭취: 1.016~1.022
신생아: 1.001~1.030
아동, 성인: 1.001~1.030
삼투압(osmolarity)
신생아: 50~600mOsm/L
신생아 이후: 50~1,400mOsm/L
외양(appearance)
맑고 연한 황색~짙은 황금색
화학적 검사
산도(pH)
신생아: 5~7
이후: 4.8~7.8
평균: 6
단백질, 포도당, 케톤, 백혈구에스테르분해효소, 아질산염
없음
신기능 혈액검사
혈중요소질소(BUN)
신생아: 4~18
영아, 아동: 5~18
요산
아동: 2.0~5.5
크레아티닌
영아: 0.2~0.4
아동: 0.3~0.7
청소년: 0.5~1.0
4. 참고문헌
이강이 외(2015), 5th Edition 인체생리학, 현문사, p.270-282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2012), 3th Edition 새용어 사람해부학, 현문사, p.292-297
홍경자 외(2016), 10th Edition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259-260, 262-265
그림2: 2006 Pearson Education. Inc.. publishing as Benjamin Cummings.
그림3: 2001 Benjamin Cummings. an imprint of Addison Wesley Longman, Inc.
추천자료
문제해결학습의 사회교육적 의의와 적용의 실제
놀이 이론과 논문
[영재][영재교육][렌줄리]영재의 분야별 특성, 영재의 판별, 영재교육의 의의, 영재교육의 국...
[전문가학습][마인드맵학습][문제중심학습][개념형성학습][놀이학습][컴퓨터보조학습]전문가...
말하기의 유형, 말하기의 기능, 말하기교육(말하기지도)의 의의, 말하기교육(말하기지도)의 ...
협력학습의 정의와 목표, 협력학습의 역사, 협력학습의 특징, 협력학습의 기능, 협력학습의 ...
[아동교육][아동미술교육][아동원예교육][아동소비자교육][아동성교육][아동문학교육][미술교...
2021 생활과건강] 질병예방행위 중 1차 예방행위 필요성과 중요성 및 실천방안 생활과건강 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