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전쟁 시 군수지원
2. 한국전쟁은 후방에서도 진행
2. 한국전쟁은 후방에서도 진행
본문내용
근 소도시, 경찰관서 습격, 철도 파괴, 군용열차 습격, 무기 및 보급품 약탈 등 대담한 활동
공비토벌작전
유엔군사령부와 한국정부 합의 / 상황판단
동계기간 아군이 공세를 취하지 않는 한 전황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전선에서 2개 사단의 차출이 가능할 것이다.
산속에 거점을 둔 공비토벌에 가장 유리한 시기는 낙엽이 진 기간이다.
한국군의 재편성과 함께 이들이 후방지역작전을 통해 실전경험을 쌓게 하는 것은 유엔군 측의 차후 작전 수행에 바람직할 것이다.
공비토벌작전 수행
1951. 11. 25. 백야전전투사령부(백야사) 설치 : 사령관 백선엽 육군소장 임명
* 배속 : 수도사단, 제8사단, 서남지구전투사령부, 경찰부대
1951. 12. 1.부 서남지역 계엄령 선포
12. 2. 본격적 공비토벌작전 개시 : 52. 4. 14.까지 4단계로 실시
작전결과 : 후방지역 치안화보, 민생안정, 병참선 안전 확보
1단계 작전(~12. 14.) : 지리산 봉쇄 / 공비 1,612명 사살, 1,842명 생포
2단계 작전(~15. 1. 4.) : 전라북도 / 공미 4천여 명 사살, 4천여 명 생보
3~4단계 작전(~52. 4. 14.) : 대부분 무장공비 소탕
공비토벌작전
유엔군사령부와 한국정부 합의 / 상황판단
동계기간 아군이 공세를 취하지 않는 한 전황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전선에서 2개 사단의 차출이 가능할 것이다.
산속에 거점을 둔 공비토벌에 가장 유리한 시기는 낙엽이 진 기간이다.
한국군의 재편성과 함께 이들이 후방지역작전을 통해 실전경험을 쌓게 하는 것은 유엔군 측의 차후 작전 수행에 바람직할 것이다.
공비토벌작전 수행
1951. 11. 25. 백야전전투사령부(백야사) 설치 : 사령관 백선엽 육군소장 임명
* 배속 : 수도사단, 제8사단, 서남지구전투사령부, 경찰부대
1951. 12. 1.부 서남지역 계엄령 선포
12. 2. 본격적 공비토벌작전 개시 : 52. 4. 14.까지 4단계로 실시
작전결과 : 후방지역 치안화보, 민생안정, 병참선 안전 확보
1단계 작전(~12. 14.) : 지리산 봉쇄 / 공비 1,612명 사살, 1,842명 생포
2단계 작전(~15. 1. 4.) : 전라북도 / 공미 4천여 명 사살, 4천여 명 생보
3~4단계 작전(~52. 4. 14.) : 대부분 무장공비 소탕
추천자료
역사 - 마산을 예로
[주일미군, 주일미군과 미군재편, 주일미군과 미일동맹, 주일미군과 일본인인식, 주일미군과 ...
동북아시대(동북아시아시대)의 미국 개입목적, 미국 국방정책, 동북아시대(동북아시아시대)의...
이오시프 스탈린정권(이오시프 스탈린독재자) 특징, 이오시프 스탈린정권(이오시프 스탈린독...
동북아시아시대(동북아시대)의 미국 정책목표, 미국 대중국정책, 동북아시아시대(동북아시대)...
민간 군사기업(PMCs)의 현황과 전망 (민간 군사 기업의 발달 배경, 민간 군사기업의 현황, 민...
분쟁과 평화(동아시아관계론, 걸프전쟁, 이라크전쟁, 중동평화회의, 한반도문제, 핵확산문제,...
[한국 현대 사회의 이해] 한국의 군사력과 중국의 군사력 관한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