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의 군수지원, 후방지역작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쟁의 군수지원, 후방지역작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전쟁 시 군수지원
2. 한국전쟁은 후방에서도 진행

본문내용

근 소도시, 경찰관서 습격, 철도 파괴, 군용열차 습격, 무기 및 보급품 약탈 등 대담한 활동
공비토벌작전
유엔군사령부와 한국정부 합의 / 상황판단
동계기간 아군이 공세를 취하지 않는 한 전황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전선에서 2개 사단의 차출이 가능할 것이다.
산속에 거점을 둔 공비토벌에 가장 유리한 시기는 낙엽이 진 기간이다.
한국군의 재편성과 함께 이들이 후방지역작전을 통해 실전경험을 쌓게 하는 것은 유엔군 측의 차후 작전 수행에 바람직할 것이다.
공비토벌작전 수행
1951. 11. 25. 백야전전투사령부(백야사) 설치 : 사령관 백선엽 육군소장 임명
* 배속 : 수도사단, 제8사단, 서남지구전투사령부, 경찰부대
1951. 12. 1.부 서남지역 계엄령 선포
12. 2. 본격적 공비토벌작전 개시 : 52. 4. 14.까지 4단계로 실시
작전결과 : 후방지역 치안화보, 민생안정, 병참선 안전 확보
1단계 작전(~12. 14.) : 지리산 봉쇄 / 공비 1,612명 사살, 1,842명 생포
2단계 작전(~15. 1. 4.) : 전라북도 / 공미 4천여 명 사살, 4천여 명 생보
3~4단계 작전(~52. 4. 14.) : 대부분 무장공비 소탕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21.08.20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4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