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문헌고찰
Ⅱ.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1. 사례연구기간 – 실습기간, 실제연구기간
2. 방법
Ⅲ. 간호과정
1. 대상자의 기초자료
2. 대상자의 건강양상
3.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4. 약물조사
5. 진단검사
6. 대상자 치료 목록 요약
7. 자료수집 과정에서 질문할 내용(실습지도교원이나 프리셉터, 수간호사)
1. 연구목적
2. 문헌고찰
Ⅱ.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1. 사례연구기간 – 실습기간, 실제연구기간
2. 방법
Ⅲ. 간호과정
1. 대상자의 기초자료
2. 대상자의 건강양상
3.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4. 약물조사
5. 진단검사
6. 대상자 치료 목록 요약
7. 자료수집 과정에서 질문할 내용(실습지도교원이나 프리셉터, 수간호사)
본문내용
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맥주 마시는 것을 좋아해요”
“발에 상처가 생겼지만 5주 동안 병원에 가진 않았어요”
“당뇨병 합병증을 교육받은 적은 없는 것 같아요”
발에 상처가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5주 동안 병원에 내원하지 않았음.
당뇨병의 합병증에 대한 교육을 받은 기억이 없다고 말함.
자가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대상자가 맥주를 많이 마셔 가족의 걱정이 큼.
적절한 식이요법을 하고 있지 않음.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 당뇨병의 합병증에 대해 알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당뇨병 합병증에 대한 올바른 관리를 할 수 있다.
간호계획
대상자의 학습능력을 사정하고, 당뇨에 대한 지식을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올바른 당뇨 식이에 대해 교육한다.
당뇨병으로 인해서 생기는 합병증에 대해 교육한다.
금주에 대한 교육을 한다.
당뇨병의 자가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도울 수 있는 지역사회보건소와 연계시켜줄 수 있음을 교육한다.
병명과 연락처가 적힌 신분증을 소지할 것을 교육한다.
당뇨병에 관한 대상자의 지식을 사정하기 전에 대상자의 학습능력을 사정하여 대상자가 선호하는 학습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식이요법은 당뇨병 치료의 기본이다.
당뇨병의 합병증에 대해 알고, 일상생활 시 매 순간 발생하는 문제를 대상자 자신이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금주는 당뇨 관리에 도움이 된다.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식이, 운동, 체중, 약 복용 등의 자가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 전문가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병명과 연락처가 적힌 신분증의 소지는 노인에게서 심각한 저혈당과 같은 주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많은 도움이 된다.
간호수행
대상자의 학습능력을 사정하고, 당뇨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였다.
→ 학습능력은 알 수 없었지만 체크리스트 유형을 선호하여 당뇨병 지식 정도를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사정하였다.
1
당뇨병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2
당뇨병에 제1형과 제2형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3
당뇨병 증상에 어떤 것이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4
고혈당과 저혈당이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5
당뇨 식이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6
당뇨병의 발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총점 : 1점
2. 대상자에게 올바른 당뇨 식이에 대해 교육하였다.
→ 굶거나 폭식은 금물이며 일정한 시간에 먹기
20분간 꼭꼭 씹어 먹기
채소->단백질->탄수화물 순으로 먹기
3. 당뇨병으로 인해서 생기는 합병증에 대해 교육하였다.
→ “가장 잘 생기는 합병증은 족부질환, 발의 상처입니다. 이를 알고 평소에도 발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셔야 합니다.”
4. 금주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 “알코올은 피부의 원래 상태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금주하는 것이 당뇨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5. 당뇨병의 자가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도울 수 있는 지역사회보건소
와 연계시켜줄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식이, 운동, 체중, 약 복용 등의 자가관리가 매우 중요
합니다. 하지만 이를 혼자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관리를 도와주는
지역사회보건소와 연계시켜줄 수 있습니다.
6. 병명과 연락처가 적힌 신분증을 소지할 것을 교육하였다.
→ “병명과 연락처가 적힌 신분증의 소지는 노인에게서 심각한 저혈당과 같은 주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만들어줄 수 있으
니 요청하세요”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 당뇨병의 합병증에 대해 교육받았다.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적절한 당뇨식이를 수행하였고, 금주하는 모습을 보였다.
(달성)
간호진단 #3: 65세 이상의 나이 관련된 낙상의 위험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일어설 때 어지러워요.”
“줄이 너무 불편해요.”
“마음은 급한데 몸이 안따라줘요”
80세
낙상 위험 평가: 55점
3. 기립성 저혈압
4. 유치도뇨관
5. 섬망으로 인한 낙상 위험 높음.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낙상예방 활동을 수행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낙상 위험 정도를 평가한다.
2. 낙상 예방에 대한 교육을 한다.
3. 낙상 고위험군 표지판을 침상 머리맡
에 걸어 둔다.
4. 항상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
한다.
5. 대상자의 주변환경을 정리하여 장애물
을 제거한다.
6. 취침 전 미리 화장실에 다녀올 것을
교육한다.
7. 침상 바퀴를 고정해준다.
1.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여 대상자에게
맞는 낙상 예방을 할 수 있다.
2. 대상자에게 낙상에 대한 교육을 시행
함으로써 낙상으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 있다.
3. 대상자의 보호자와 주변 환자들이
대상자가 낙상 고위험인임을 파악하고
항상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4. side rail을 올리는 행위를 통해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5. 장애물로 인한 낙상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6. 밤에 혼자 화장실에 가는 것을 막아 낙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7. 침상이 밀려 대상자가 낙상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간호수행
1.낙상 위험 정도를 평가하였다.
→낙상 위험척도를 사용하여 위험 정도를 평가하여 55점으로 확인되었다.
2. 낙상 예방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되도록이면 혼자 움직이지 않고 주변인들의 도움을 받으며 천천히 일어날 것을
교육하였다.
3. 낙상 고위험군 표지판을 침상 머리맡에 걸어 두었다.
4. 항상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였다.
5. 대상자의 주변환경을 정리하여 장애물을 제거하였다.
6. 취침 전 미리 화장실에 다녀올 것을 교육하였다.
7. 침상 바퀴를 고정해주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낙상예방 활동을 수행하였다.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달성)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맥주 마시는 것을 좋아해요”
“발에 상처가 생겼지만 5주 동안 병원에 가진 않았어요”
“당뇨병 합병증을 교육받은 적은 없는 것 같아요”
발에 상처가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5주 동안 병원에 내원하지 않았음.
당뇨병의 합병증에 대한 교육을 받은 기억이 없다고 말함.
자가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대상자가 맥주를 많이 마셔 가족의 걱정이 큼.
적절한 식이요법을 하고 있지 않음.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 당뇨병의 합병증에 대해 알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당뇨병 합병증에 대한 올바른 관리를 할 수 있다.
간호계획
대상자의 학습능력을 사정하고, 당뇨에 대한 지식을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올바른 당뇨 식이에 대해 교육한다.
당뇨병으로 인해서 생기는 합병증에 대해 교육한다.
금주에 대한 교육을 한다.
당뇨병의 자가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도울 수 있는 지역사회보건소와 연계시켜줄 수 있음을 교육한다.
병명과 연락처가 적힌 신분증을 소지할 것을 교육한다.
당뇨병에 관한 대상자의 지식을 사정하기 전에 대상자의 학습능력을 사정하여 대상자가 선호하는 학습유형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식이요법은 당뇨병 치료의 기본이다.
당뇨병의 합병증에 대해 알고, 일상생활 시 매 순간 발생하는 문제를 대상자 자신이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금주는 당뇨 관리에 도움이 된다.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식이, 운동, 체중, 약 복용 등의 자가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 전문가와의 연계가 필요하다.
병명과 연락처가 적힌 신분증의 소지는 노인에게서 심각한 저혈당과 같은 주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많은 도움이 된다.
간호수행
대상자의 학습능력을 사정하고, 당뇨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였다.
→ 학습능력은 알 수 없었지만 체크리스트 유형을 선호하여 당뇨병 지식 정도를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사정하였다.
1
당뇨병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2
당뇨병에 제1형과 제2형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3
당뇨병 증상에 어떤 것이 있는지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4
고혈당과 저혈당이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5
당뇨 식이에 대해서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6
당뇨병의 발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알고 계신가요?
1 예
0 아니오
총점 : 1점
2. 대상자에게 올바른 당뇨 식이에 대해 교육하였다.
→ 굶거나 폭식은 금물이며 일정한 시간에 먹기
20분간 꼭꼭 씹어 먹기
채소->단백질->탄수화물 순으로 먹기
3. 당뇨병으로 인해서 생기는 합병증에 대해 교육하였다.
→ “가장 잘 생기는 합병증은 족부질환, 발의 상처입니다. 이를 알고 평소에도 발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셔야 합니다.”
4. 금주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 “알코올은 피부의 원래 상태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금주하는 것이 당뇨
관리에 도움이 됩니다.”
5. 당뇨병의 자가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도울 수 있는 지역사회보건소
와 연계시켜줄 수 있음을 교육하였다.
→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은 식이, 운동, 체중, 약 복용 등의 자가관리가 매우 중요
합니다. 하지만 이를 혼자 수행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관리를 도와주는
지역사회보건소와 연계시켜줄 수 있습니다.
6. 병명과 연락처가 적힌 신분증을 소지할 것을 교육하였다.
→ “병명과 연락처가 적힌 신분증의 소지는 노인에게서 심각한 저혈당과 같은 주
합병증이 발생할 경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만들어줄 수 있으
니 요청하세요”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 당뇨병의 합병증에 대해 교육받았다.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적절한 당뇨식이를 수행하였고, 금주하는 모습을 보였다.
(달성)
간호진단 #3: 65세 이상의 나이 관련된 낙상의 위험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일어설 때 어지러워요.”
“줄이 너무 불편해요.”
“마음은 급한데 몸이 안따라줘요”
80세
낙상 위험 평가: 55점
3. 기립성 저혈압
4. 유치도뇨관
5. 섬망으로 인한 낙상 위험 높음.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낙상예방 활동을 수행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낙상 위험 정도를 평가한다.
2. 낙상 예방에 대한 교육을 한다.
3. 낙상 고위험군 표지판을 침상 머리맡
에 걸어 둔다.
4. 항상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
한다.
5. 대상자의 주변환경을 정리하여 장애물
을 제거한다.
6. 취침 전 미리 화장실에 다녀올 것을
교육한다.
7. 침상 바퀴를 고정해준다.
1.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여 대상자에게
맞는 낙상 예방을 할 수 있다.
2. 대상자에게 낙상에 대한 교육을 시행
함으로써 낙상으로 인한 사고를 줄일 수 있다.
3. 대상자의 보호자와 주변 환자들이
대상자가 낙상 고위험인임을 파악하고
항상 주의할 수 있도록 한다.
4. side rail을 올리는 행위를 통해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5. 장애물로 인한 낙상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6. 밤에 혼자 화장실에 가는 것을 막아 낙상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7. 침상이 밀려 대상자가 낙상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간호수행
1.낙상 위험 정도를 평가하였다.
→낙상 위험척도를 사용하여 위험 정도를 평가하여 55점으로 확인되었다.
2. 낙상 예방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되도록이면 혼자 움직이지 않고 주변인들의 도움을 받으며 천천히 일어날 것을
교육하였다.
3. 낙상 고위험군 표지판을 침상 머리맡에 걸어 두었다.
4. 항상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였다.
5. 대상자의 주변환경을 정리하여 장애물을 제거하였다.
6. 취침 전 미리 화장실에 다녀올 것을 교육하였다.
7. 침상 바퀴를 고정해주었다.
간호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 이내에 낙상예방 활동을 수행하였다.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달성)
키워드
추천자료
뇌내 출혈(Intracerabral hemorrhage: ICH)
DI(drug intoxication) 약물중독 case study
뇌졸중 CVA case study
뇌졸중케이스
[간호] 당뇨성신부전 케이스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뇌졸중 (Stroke.)
간독성 간이식환자 케이스 CASE (사례연구 보고서) - 주진단명 : Toxic liver disease, unspe...
DKA, Diabetic ketoacidosis (당뇨병성 케톤산증 케이스, 당뇨병성 케톤산증 CASE, DKA CASE ...
[성인간호학] [case study] cholecystitis(담낭염) & cholecystectomy, pneumonia(폐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