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디즈니랜드 소개
2. 디즈니랜드 경영철학
3. 디즈니랜드 성공사례 연구
- 도쿄 디즈니랜드
4. 디즈니랜드 실패사례 연구
- 홍콩 디즈니랜드
2. 디즈니랜드 경영철학
3. 디즈니랜드 성공사례 연구
- 도쿄 디즈니랜드
4. 디즈니랜드 실패사례 연구
- 홍콩 디즈니랜드
본문내용
한 연유는 그것에만 그치진 않았다. 홍콩 디즈니랜드의 크기는 도쿄 디즈니랜드의 1/4 크기인데, 이러한 공간 안에 기존의 디즈니랜드가 내세우는 다양한 놀이기구와 관광요소들을 넣다보니 다양한 문제점이 생겨나게 되었다. 먼저 디즈니랜드를 찾는 관람객의 동선이 빼곡하게 들어선 다양한 기구와 상점들에 의해 방해를 받게 된 것이다. 따라서 성수기에 관광객이 최대 수용인원만큼 몰릴 경우 하나의 기구를 타는데 있어서 관람객들은 평균 1-2시간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거나, 혼잡한 환경에 불만을 표하며 자연스럽게 홍콩 디즈니랜드 전체에 대한 이미지가 좋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크기가 작음으로써 하루라는 시간을 투자하지 않아도 된다는 관람객들의 의식이 확대됨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짧은 시간 안에 관람객 1인당 홍콩 디즈니랜드에서 소비하는 금액이 줄어드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인근 하루 정도의 시간을 들여야 완벽하게 돌아볼 수 있는 오션파크와 비교하여 더 많은 비용을 들여왔으나, 반나절도 되지 않아 디즈니랜드 전체를 돌아볼 수 있어 상대적으로 비용대비 비효율적이라는 이미지를 주게 되었다.
또한 소비자에 대한 파악이 미비했다는 허점도 있었다. 홍콩 디즈니랜드는 캐릭터 상품과 디자인에 치중된 테마공원이다. 디즈니랜드로 향하는 지하철의 구조부터 입장권, 퍼레이드, 식음료의 형태까지 모두 디즈니 캐릭터를 응용하고 있다. 하지만 방문객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중국 관광객들은 자국의 문화권을 소재로 한 뮬란이나 쿵푸팬더와 같은 캐릭터들을 제외하고는 미키마우스와 미니, 인어공주와 같은 디즈니 고유 캐릭터에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디즈니랜드 내에서의 기념품 구매율이 낮을뿐더러 퍼레이드 행사 등에 대한 호응도가 낮아 캐릭터 상품의 공급 보다는 놀이기구에 투자가 더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홍콩 디즈니랜드는 크게 Fantasy Land, Tomorrow Land, Adventure Land, Main Street U.S.A 네 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각 테마별로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요소는 대부분이 평면으로만 접해오던 캐릭터를 실제로 만날 수 있다는 점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놀이동산을 재방문할 기회가 많은 10대-20대들이 선호하는 \'스릴\'을 즐길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규모가 큰 일본의 디즈니랜드의 경우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롤러코스터가 있어 이것을 경험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일부러 도쿄 디즈니랜드를 방문하고 이는 충분히 재방문의 요소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홍콩 디즈니랜드의 경우 캐릭터의 상품화를 제외하고는 육체적인 스릴이나 정서적 교육효과와 같은 뚜렷한 목적이 정해지지 않은 현실이다.
외부 고객 만족 경영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지역을 가장 많이 찾는 관광객의 성향에 맞춘 상품의 생산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홍콩 디즈니랜드는 지역별로 특성화된 고객의 니즈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 채 성공한 사례에 속하는 미국이나 도쿄의 디즈니랜드를 어중간하게 모방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소비자에 대한 파악이 미비했다는 허점도 있었다. 홍콩 디즈니랜드는 캐릭터 상품과 디자인에 치중된 테마공원이다. 디즈니랜드로 향하는 지하철의 구조부터 입장권, 퍼레이드, 식음료의 형태까지 모두 디즈니 캐릭터를 응용하고 있다. 하지만 방문객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중국 관광객들은 자국의 문화권을 소재로 한 뮬란이나 쿵푸팬더와 같은 캐릭터들을 제외하고는 미키마우스와 미니, 인어공주와 같은 디즈니 고유 캐릭터에 익숙하지 않다. 따라서 디즈니랜드 내에서의 기념품 구매율이 낮을뿐더러 퍼레이드 행사 등에 대한 호응도가 낮아 캐릭터 상품의 공급 보다는 놀이기구에 투자가 더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홍콩 디즈니랜드는 크게 Fantasy Land, Tomorrow Land, Adventure Land, Main Street U.S.A 네 가지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각 테마별로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요소는 대부분이 평면으로만 접해오던 캐릭터를 실제로 만날 수 있다는 점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놀이동산을 재방문할 기회가 많은 10대-20대들이 선호하는 \'스릴\'을 즐길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해주지는 못하고 있다. 규모가 큰 일본의 디즈니랜드의 경우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롤러코스터가 있어 이것을 경험하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일부러 도쿄 디즈니랜드를 방문하고 이는 충분히 재방문의 요소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홍콩 디즈니랜드의 경우 캐릭터의 상품화를 제외하고는 육체적인 스릴이나 정서적 교육효과와 같은 뚜렷한 목적이 정해지지 않은 현실이다.
외부 고객 만족 경영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지역을 가장 많이 찾는 관광객의 성향에 맞춘 상품의 생산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홍콩 디즈니랜드는 지역별로 특성화된 고객의 니즈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 채 성공한 사례에 속하는 미국이나 도쿄의 디즈니랜드를 어중간하게 모방한 사례라고 볼 수 있다.
추천자료
기업 경영환경 분석 - 서울 디즈니랜드
도쿄 디즈니랜드의 성공사례와 유로 디즈니랜드의 실패사례
유로 디즈니랜드의 실패사례 분석
고품질 서비스 경영을 성공한 기업 사례 - 디즈니랜드(Disney Land)를 중심으로
디즈니랜드의 해외진출 사례 - 도쿄디즈니의 성공, 유로디즈니의 실패 사례연구와 서울디즈니...
NHN 일본시장진출 성공전략분석과 NHN 향후전망 (NHN 일본시장 진출배경, 일본 진출방식, 성...
디즈니랜드Disneyland 해외진출 성공,실패 케이스연구PPT - 디즈니랜드 기업분석과 디즈니랜...
외국인직접투자(FDI)의 사례 분석 ; 외국인직접투자의 정의와 경제적 효과
디즈니랜드 기업현황과 SWOT분석/ 디즈니랜드 마케팅사례연구/ 디즈니랜드 글로벌전략 성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