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3차 결과보고서 기초 계측 장치 활용 실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 3차 결과보고서 기초 계측 장치 활용 실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같이 확인할 수 있다. 1KHz = 1000Hz = 1/1000s
진폭 값
Volt/div가 0.2V이므로 큰 사각형 하나가 나타내는 Volt의 값은 0.2V인 것을 알 수 있다. 사인파 그래프의 최대 진폭은 마루에서 골까지의 길이이므로 사각형 5개만큼의 합으로 구할 수 있다. 즉 최대 진폭은 0.2*5 = 1V임을 확인 할 수 있다.
[2] 실습 내용
<직류 전압 측정 결과>
직류전압 측정 범위
측정 값
1,000V
1V
200V
1.5V
20V
1.55V
2V
1.560V
200mV(측정 범위를 넘어서고 있는 경우)
1
<교류 전압 측정 결과>
교류전압 측정 범위
측정 값
750V
220V
200V(측정 범위를 넘어서고 있는 경우)
1
<저항의 측정 결과>
실험에 사용한 저항 1의 색 코드 : 갈-검-노-금
저항 색 코드에 따른 저항 값 :
저항 측정 범위
측정 값
20M
0.1M
2M
0.098M
200K
98.9K
20K(측정 범위를 넘어서고 있는 경우)
1
실험에 사용한 저항 2의 색 코드 : 갈-빨-갈-금
저항 색 코드에 따른 저항 값 : 120
저항 측정 범위
측정 값
20M
0
2M
0
200K
00.1K
20K
0.11K
2K
0.117K
200
0
<다이오드 극성 측정>
전류가 흐를 때
1.648V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0
<통전 시험>
저항이 200 보다 큰 경우에는 반응을 확인 할 수 없었고
저항이 200 이하일 경우에만 지속적인 음을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6. 실험 고찰
고찰1
첫 번째 실험을 통하여 오실로스코프의 각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았으며, 각 구성 요소들을 컨트롤 해 여러 가지 측정을 하는 법도 배웠다. 실험 전에 해야 했던 것이 보정인데 각 단자들을 조정함으로써 화면상에 보정된 모습을 얻어낼 수 있었다. 보정 실습을 하고 난 뒤에 했던 것이 파형 측정이었는데 사인파를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TIME/DIV 값과 VOLT/DIV 값을 조정함으로써 최대 진폭 값과 주기, 그리고 주파수를 구할 수 있었다.
고찰2
두 번째 실험을 통하여 멀티미터의 각 구성 요소들을 살펴보았으며, 실험에 따라 세부적으로 기능을 달리하는 방법 또한 숙지하게 되었다.
첫 번째로
직류 전압 측정을 실시하였는데 측정값을 살펴보면 200mV(측정 범위를 넘어서고 있는 경우)에서 1, 2V에서 1.560V, 20V에서 1.55V, 200V에서 1.5V 1,000V에서 1V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측정 범위가 커지면 커질수록 오차가 커지고 정확도가 떨어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측정값에 맞지 않는 큰 범위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측정 범위에 따라 갈수록 커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측정을 할 때는 측정값에 알맞은 적정한 측정범위를 선택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애초에 측정 범위를 넘어서고 있는 200mV에서는 숫자1이 표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교류 전압 측정을 실시하였다. 직류 전압 측정 실험과 같은 개념으로 측정값을 분석해 보면 측정범위가 750V에서 220V의 결과 값을 얻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200V에서는 측정 범위를 넘어선 경우여서 1의 값을 얻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저항을 측정 하였는데 저항 1의 경우 색 코드가 갈-검-노-금 이어서 색 코드에 따른 저항 값이 이었다. 측정 결과는 20K(측정 범위를 넘어서고 있는 경우)에서 숫자1이, 200K에서 98.9K이, 2M에서 0.098M이, 20M에서 0.1M이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전압 측정 실험과 마찬가지 이유로 측정 범위가 커질수록 오차가 커지고 정밀도가 떨어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저항 2의 경우 색 코드가 갈-빨-갈-금 이어서 색 코드에 따른 저항 값이 120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측정 결과는 200일 때 0, 2K일 때 0.117K, 20K일 때 0.11K, 200K일 때 00.1K, 2M일 때 0, 20M일 때 0이 나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항 1의 경우와는 달리 저항 2는 너무 작은 측정범위의 경우와 너무 큰 측정 범위의 경우에는 똑같이 0으로 측정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마찬가지로 저항 값에 따른 적당한 측정 범위를 선택해야 함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네 번째로
다이오드 극성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전류가 흐를 때 1.648V,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0의 값을 나타내었다. 다이오드 자체가 순방향일 때에만 음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가 흘러나오기 때문에 측정을 반대로 실시하면 부도체처럼 동작하여 전류의 흐름을 막아 측정값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 추가적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전류의 흐름과 더불어 발광을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통전시험을 하게 되었는데 멀티미터와 동일한 방식으로 통전시험을 설정하고, 프로브 한쪽을 콘센트 구멍의 한쪽에 연결하고 다른 프로브는 플러그 2개를 차례로 하나씩 연결하면서 통전 상태를 점검하였다. 저항이 200 이하일 경우에만 지속적인 음을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200이하일 경우에만 프로브를 연결한 구간에서 전류가 흐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7. 결 론
결론1
오실로스코프는 특정 시간 간격의 전압변화를 볼 수 있는 장치라고 하며 주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전자 신호를 표시하는데 사용 한다고 한다. 또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를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하나의 전압 형태로 파악할 수 있다고 한다. 이번 실습을 통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모습을 여러 가지 조정을 통해 실제로 확인 할 수 있어 실제 기기와 좀 더 친숙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결론2
멀티미터는 여러 가지의 측정 기능을 결합한 전자 계측 기기로서 전압, 전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능력을 기본적으로 가진 기기라고 한다. 이번 실험에서 통하여 직류, 교류 전압의 측정, 저항의 측정, 다이오드의 극성 측정, 통전 시험 등을 하였으며 실험을 통하여 측정 범위에 따라 측정값의 오차 범위가 달라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로 인해 앞으로 멀티미터와 관련된 실험이나 실습을 할 때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깨닫게 되었다.
  • 가격1,1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1.10.13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70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