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5차 결과보고서 Labview 프로그래밍 실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 5차 결과보고서 Labview 프로그래밍 실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사용
DAQ 어시스턴트의 출력, 채널을 설정한다.
세부설정을 한다.
While 루프 안에 DAQ 어시스턴트를 넣고, 출력된 신호와 입력된 신호를 비교하기 위해 DAQ 어시스턴트의 데이터 출력을 프론트패널에서 웨이브폼 차트로 생성 후 연결한다.
하드웨어를 연결하고 결과를 확인한다.
데이터 파일을 만든다.
(3) DAQ A0 low-pass filter 사용
신호 시뮬레이션을 설정한다.
VI를 실행하여 알파 값이 약 0.1부근에서 작아질수록 진폭이 줄어들고, 높아질수록 노이즈 가 심해지는 것을 확인한다.
1. 디지털 입출력 실습
(1) DAQ D0 사용
DAQ 어시스턴트의 출력 및 채널을 설정한다.
세부설정을 하고 While루프를 만들어 DAQ 어시스턴트를 넣는다.
신호시뮬레이션을 설정한다.
출력 결과를 확인한다.
(2) DAQ DI 사용
DAQ 어시스턴트의 출력 및 채널을 설정한다.
세부설정과 블록 다이어그램을 조정한다.
하드웨어를 연결하고 출력 결과를 확인한다.
5. 실험 결과
▣ 아날로그 입출력 실습
(1) DAQ A0 사용
Labview 출력 결과

오실로스코프(TIME/DIV : 5ms, VOLT/DIV : 20mv) 출력 결과

(2) DAQ A1 사용
Labview 출력 결과

(3) 파일 이름 및 경로 생성 VI 만들기
Labview 출력 결과

좌 - 웨이브폼 차트2의 데이터 값 / 우 - 웨이브폼 차트1의 데이터 값

6. 결론
(1) DAQ A0 사용 실험
에서 볼 수 있듯이 Labview 상에서는 주파수 5Hz, 진폭이 1의 값으로 잘 출력되어 나온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에서 볼 수 있듯이 오실로스코프 상에서는 랩뷰와는 상당히 다른 값이 출력됨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주기가 0.02s로 약 1/10의 값으로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진폭의 경우도 약 60mv로 출력되어 원래 출력 되어야 하는 1v의 값과는 상당한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상당한 측정 오차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랩뷰와 오실로스코프 자체의 문제보다 실험자의 초기 수치 입력이 잘못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2) DAQ A1 사용 실험
이번 실험의 경우에는 5Hz의 신호를 출력하고, 다시 입력으로 받은 결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두 웨이브 폼이 동일하게 나와야만 한다. 하지만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모습이 서로 다르게 나옴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위 실험과 마찬가지로 랩뷰와 오실로스코프 자체의 문제보다는 실험자가 초기 설정을 잘못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데이터 파일 만들기
데이터 파일을 만드는 과정 중에 출력된 함수 값들의 모습이
에 나와 있다. 하지만 이번에도 측정값이 서로 다르게 나와 실험을 또 잘못 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웨이브폼 차트1과 웨이브 폼 차트2의 진폭은 같지만 주기가 서로 다르게 나옴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또한 프로그램 자체의 문제보다는 실험자가 초기 설정을 잘못 지정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데이터 파일 출력 값 비교
웨이브폼 차트 1의 데이터 값을
의 우측에서, 웨이브폼 차트 2의 데이터 값은
의 좌측에서 확인 할 수 있는데 좌측에서 보이는 End_of_Header로 =09가 지정된 것을 제외하고 서로 비교한다. 비교해 봤을 때 좌, 우측의 데이터 값이 동일한 양상을 나타냄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초기 함수 값으로 1을 최대 함수 값으로 1.998308을 최소 함수 값으로 0.001692의 값을 동일하게 출력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7. 고찰
이번 실습을 통해 랩뷰에 있는 DAQ어시스턴트라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입/출력 실습을 해 보았다. 실험을 하고 난 뒤 많은 부분에서 상당한 오차가 발생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는데 기기 자체의 문제보다는 실험자의 준비가 철저하지 못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많은 반성과 함께 앞으로 실험을 할 때 어떤 자세로 임해야 하는지를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었다.
※ 참고 문헌
●LabView 입문, 최성주 저, 동일출판사, 2001년
●LabView : 컴퓨터 기반의 제어와 계측 Solution, 곽두영 저, 오므사, 2002년
●Learning with LabView 6i, Robert H. Bishop, Prentice Hall, 2001년
  • 가격1,1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1.10.13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70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