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단원 목표
Ⅱ. 단원 핵심 역량
Ⅲ. 단원 성취 기준
Ⅳ. 계열
Ⅴ. 단원의 전개 계획
Ⅵ. 지도상의 유의점
Ⅶ.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
1) 문제 파악
(1) 동기 유발하기
(2)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2) 문제 추구 및 해결
(1) 학습 순서 확인하기
(2) 실험 안내
(3) 탐색 내용 확인하기
(4) 자유 탐색 및 결과 발표
(5) 교사의 안내에 따른 탐색
(6) 탐색 결과 정리하기
3) 정리
(1) 차시 예고
Ⅷ. 평가 관점
Ⅸ. 핵심 판서
Ⅱ. 단원 핵심 역량
Ⅲ. 단원 성취 기준
Ⅳ. 계열
Ⅴ. 단원의 전개 계획
Ⅵ. 지도상의 유의점
Ⅶ. 과학과 교수 학습 과정안
1) 문제 파악
(1) 동기 유발하기
(2) 공부할 문제 확인하기
2) 문제 추구 및 해결
(1) 학습 순서 확인하기
(2) 실험 안내
(3) 탐색 내용 확인하기
(4) 자유 탐색 및 결과 발표
(5) 교사의 안내에 따른 탐색
(6) 탐색 결과 정리하기
3) 정리
(1) 차시 예고
Ⅷ. 평가 관점
Ⅸ. 핵심 판서
본문내용
S, 흙이 쌓인 곳은 흙 언덕의 아랫부분입니다.
T, 흙이 깎인 부분과 쌓인 부분의 모습을 비교하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관찰해서 말해 봅시다.
S, 흙이 깎인 부분은 경사가 급하고, 높이가 높습니다.
S, 흙이 쌓인 부분은 경사가 완만하고, 높이가 낮습니다.
관찰의 관점을 몇 가지로 제시하여 제시한 관점에 따라서 집중적으로 관찰 및 탐색하게 한다.
문제
추구
및
해결
교사의 안내에
따른 탐색
T, 색 모래가 어떻게 이동했는지 여러분이 그린 그림에 화살표로 나타내 봅시다.
Sn, (실험관찰 그림에 화살표를 표시한다.)
T, 흙 언덕 실험에서 흐르는 물은 어떤 역할을 했는지 말해봅시다.
S, 색깔 모래를 위에서 아래로 옮겼습니다.
S, 윗부분의 흙을 아랫부분으로 옮겼습니다.
S, 윗부분의 흙을 깎아서 아래쪽으로 옮겼습니다.
탐색 결과
정리하기
T, 실험에서 관찰한 것과 같이 흐르는 물은 바위나 돌, 흙 등을 깎아 낮은 곳으로 운반해 쌓아 놓습니다. 이 때, 지표의 바위나 돌, 흙 등이 깎여 나가는 것을 침식 작용 이라고 하며, 운반된 돌이나 흙이 쌓이는 것을 퇴적 작용 이라고 합니다.
Sn, (실험과 관련하여 물의 운반 작용, 침식 작용, 퇴적 작용의 의미를 확인 정리한다. )
T, 흙 언덕의 모습이 변한 이유를 방금 정리했던 용어인 침식 작용, 퇴적 작용과 관련해서 발표해 봅시다.
S, 흐르는 물의 침식 작용으로 흙 언덕 위쪽의 흙을 깎고 운반하며, 경사가 완만한 아래쪽에 퇴적 작용이 일어나 쌓이게 됩니다.
PPT
(물의 작용)
운반, 침식, 퇴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물의 작용을 알게 한다.
실험 결과를 침식, 퇴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정리, 발표하게 한다.
정리
차시예고
T, 다음 시간에는 강 주변의 모습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n, (다음 시간 배울 내용을 확인한다.)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흐르는 물에 의해 지표에 일어나는 침식, 퇴적 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가?
흐르는 물에 의한 지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실험을 하고 결과를 정리할 수 있는가?
모둠원과 협력하여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흐르는 물)에 의한 지표의 변화를 알아봅시다.
<학습 순서>
- 흙 언덕의 변화 관찰
- 흐르는 물의 작용 알기
3. 지표의 변화
<물의 작용>
1) 침식 작용 : 깎여나가는 것
2) 퇴적 작용 : 쌓이는 것
T, 흙이 깎인 부분과 쌓인 부분의 모습을 비교하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관찰해서 말해 봅시다.
S, 흙이 깎인 부분은 경사가 급하고, 높이가 높습니다.
S, 흙이 쌓인 부분은 경사가 완만하고, 높이가 낮습니다.
관찰의 관점을 몇 가지로 제시하여 제시한 관점에 따라서 집중적으로 관찰 및 탐색하게 한다.
문제
추구
및
해결
교사의 안내에
따른 탐색
T, 색 모래가 어떻게 이동했는지 여러분이 그린 그림에 화살표로 나타내 봅시다.
Sn, (실험관찰 그림에 화살표를 표시한다.)
T, 흙 언덕 실험에서 흐르는 물은 어떤 역할을 했는지 말해봅시다.
S, 색깔 모래를 위에서 아래로 옮겼습니다.
S, 윗부분의 흙을 아랫부분으로 옮겼습니다.
S, 윗부분의 흙을 깎아서 아래쪽으로 옮겼습니다.
탐색 결과
정리하기
T, 실험에서 관찰한 것과 같이 흐르는 물은 바위나 돌, 흙 등을 깎아 낮은 곳으로 운반해 쌓아 놓습니다. 이 때, 지표의 바위나 돌, 흙 등이 깎여 나가는 것을 침식 작용 이라고 하며, 운반된 돌이나 흙이 쌓이는 것을 퇴적 작용 이라고 합니다.
Sn, (실험과 관련하여 물의 운반 작용, 침식 작용, 퇴적 작용의 의미를 확인 정리한다. )
T, 흙 언덕의 모습이 변한 이유를 방금 정리했던 용어인 침식 작용, 퇴적 작용과 관련해서 발표해 봅시다.
S, 흐르는 물의 침식 작용으로 흙 언덕 위쪽의 흙을 깎고 운반하며, 경사가 완만한 아래쪽에 퇴적 작용이 일어나 쌓이게 됩니다.
PPT
(물의 작용)
운반, 침식, 퇴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물의 작용을 알게 한다.
실험 결과를 침식, 퇴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정리, 발표하게 한다.
정리
차시예고
T, 다음 시간에는 강 주변의 모습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n, (다음 시간 배울 내용을 확인한다.)
평가관점
평가시기
평가방법
흐르는 물에 의해 지표에 일어나는 침식, 퇴적 작용을 설명할 수 있는가?
흐르는 물에 의한 지표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실험을 하고 결과를 정리할 수 있는가?
모둠원과 협력하여 실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가?
수업
중
관찰
및
질문
핵 심 판 서
<공부할 문제>
: (흐르는 물)에 의한 지표의 변화를 알아봅시다.
<학습 순서>
- 흙 언덕의 변화 관찰
- 흐르는 물의 작용 알기
3. 지표의 변화
<물의 작용>
1) 침식 작용 : 깎여나가는 것
2) 퇴적 작용 : 쌓이는 것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공학(CAI)에 대하여
초등 4학년 과학 7 강과 바다 - 발견학습 수업모형 지도안
탐구 과정 요소
공기의 성질에 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유형및 변화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과학교육) 실태, 초등학교 3학년 과학과(과학교육) 지도중점과 지도내...
흙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3학년 2학기 3단원, 초등 과학 지도안
구름, 비, 눈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5학년 2학기 3단원, 2015개정 초등 과학 지도안
하루 동안 지면과 수면의 온도 변화 알아보기, 5학년 2학기 3단원, 2015개정 초등 과학 지도안
운동장 흙과 화단 흙의 특징 비교하기. 3학년 2학기 3단원. 초등 과학 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