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문명의 충돌 책소개
2. 책 내용요약
3. 문명의 충돌 내용 비평
4. 읽고나서 느낀점 (독후감)
2. 책 내용요약
3. 문명의 충돌 내용 비평
4. 읽고나서 느낀점 (독후감)
본문내용
하다. 또한 동시에 20대의 정체성과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내 것으로 만들기도 한다. 나의 예시로 들자면 나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좋아한다. 힙합도 EDM도 팝송도 심지어 판소리와 클래식까지 듣는다. 세간에는 클래식을 듣는 사람들이 다른 음악을 진정한 음악이 아니라며 비아냥 거리는 농담을 하기도 한다지만 내 안에는 이러한 것들이 동시에 존재하며 나를 이루고 있다. 즉 어느 한 문화 혹은 문명이 나를 정의 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나는 한국의 문화권 혹은 동아시아의 중국을 중심으로 한 문화권에서 살고 있으며 이 역시 배제할 수 는 없다. 이러한 점에서 우리가 속한 문화는 약하지만 확실하게 우리에게 소속감을 준다.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수많은 것들이 문명과 문화 안에서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문명의 나라를 여행갈 때 아무리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지만 김치찌개와 떡볶이를 그리워하며 어찌 할 수 없는 이질감 역시 있기 때문이다.
다만 여전히 이 책이 주는 문명 간 충돌에서 나는 현재 우리가 주적으로 생각하는 국가들이 다른 문명이 아닌 같은 문명권에 속한 나라들이라는 생각을 지워버릴 수가 없다. 당장에 대다수의 대한민국 국민은 미국보단 일본을 싫어하고 있다는 점이 내 생각의 근거이다. 물론 지정학적인 요소를 같이 생각한다면 물음의 답을 찾을 수 있지만, 이 책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으로도 설명된다. 실제로 대한민국은 멀리 있는 국가들에게 적대적인 시야를 가지고 있지 않다. 확실히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미국의 세계관을 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여전히 이 책이 주는 문명 간 충돌에서 나는 현재 우리가 주적으로 생각하는 국가들이 다른 문명이 아닌 같은 문명권에 속한 나라들이라는 생각을 지워버릴 수가 없다. 당장에 대다수의 대한민국 국민은 미국보단 일본을 싫어하고 있다는 점이 내 생각의 근거이다. 물론 지정학적인 요소를 같이 생각한다면 물음의 답을 찾을 수 있지만, 이 책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으로도 설명된다. 실제로 대한민국은 멀리 있는 국가들에게 적대적인 시야를 가지고 있지 않다. 확실히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미국의 세계관을 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