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목차
1. 사회적 기업의 정의
1) 의미
2) 유형
3) 기대효과
2. 사회적 기업의 현황
1) 국내 사회적 기업 현황
2) 해외 사회적 기업 사례
3) 영국과의 비교
3. 사회적 기업의 부진 이유
1) 지정 및 인증
2) 인식의 문제
3) 기업 경영의 문제
4. 한국 사회와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
1) 사회적 위험의 변화와 복지서비스 수요의 증가
2) 서비스 공급의 시장화와 사회 서비스 일자리의 질
3)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추진과제
5. 우리가 꿈꾸는 사회적 기업
1) 의미
2) 유형
3) 기대효과
2. 사회적 기업의 현황
1) 국내 사회적 기업 현황
2) 해외 사회적 기업 사례
3) 영국과의 비교
3. 사회적 기업의 부진 이유
1) 지정 및 인증
2) 인식의 문제
3) 기업 경영의 문제
4. 한국 사회와 사회적 기업의 필요성
1) 사회적 위험의 변화와 복지서비스 수요의 증가
2) 서비스 공급의 시장화와 사회 서비스 일자리의 질
3) 사회적 기업 육성을 위한 추진과제
5. 우리가 꿈꾸는 사회적 기업
본문내용
2020년 5월 기준, 고용노동부의 인증에 따라 국내 활동중인 사회적기업은 모두 2,846곳. 사회적기업에 고용된 노동자는 55,252 명이고 취약계층(33,435명)은 60.5% 정도이다.
전체 사회적기업 중 조직의 주 목적을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 (취약계층 30% 이상 고용) 하는 것으로 정하고 있는 “일자리제공형” 이 56.7%에 달하는 것을 통해 사회적 기업이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전체 사회적기업 중 조직의 주 목적을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 (취약계층 30% 이상 고용) 하는 것으로 정하고 있는 “일자리제공형” 이 56.7%에 달하는 것을 통해 사회적 기업이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