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쌍용자동차의 역사
Ⅱ. 쌍용자동차의 흥망 원인
Ⅲ. 쌍용자동차의 노동조합 역할
Ⅳ. 쌍용조동차의 노사관계에 대한 평가
Ⅴ. 참고문헌
Ⅱ. 쌍용자동차의 흥망 원인
Ⅲ. 쌍용자동차의 노동조합 역할
Ⅳ. 쌍용조동차의 노사관계에 대한 평가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이 심화되면서 상호 투쟁의 단계로 발전했고, 현재까지도 이러한 문제가 해결될 수 없어 쌍용자동차의 쇠망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두 번째, 노동조합의 역할수행 부족이다. 노동조합은 노사관계에 있어 노동3권을 보장하기 위한 단결체이다. 근로자의 입장을 대변하고, 사측과 협상하거나 논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쌍용자동차의 노동조합은 근로자의 입장을 주장하기만 할 뿐이고, 사측과의 협이나 논의를 선택하지 못했다. 오히려 공장을 점거하거나, 불법무기를 사용하는 등 단체행동권의 행사에 있어 문제가 있었다. 재정위기가 발생한 시점으로 사측과 논의 및 협상을 통해 노동3권을 보장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였다면, 더 나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정리해고가 이루어진 뒤라고 하더라도, 투쟁과 함께 노사 합의와 협상을 위해 노력하였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노동조합은 단순히 노동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노사관계를 조율하고 상생관계로 이끌어가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쌍용자동차 노동조합은 제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했다.
쌍용자동차 노사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노사관계의 본질에 대한 것이다. 노동자와 사측은 이익이 대립할 수 있는 경쟁적 관계이자, 서로 협력하고 발전해나가는 상생적 관계이다. 노동자의 입장만 주장할 것이 아니라, 기업의 입장을 고려하여 서로 배려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쌍용자동차의 노동조합은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 것이다. 반면 노동자와 사측 뿐 아니라 정부 역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해당 사건이 심화된 이유는 정리해고 노동자에 대한 지원이나 배려가 이루어지는 제도가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노동자와 사측이 대립한다 하더라도, 정부가 충분히 개입함으로써 합의점을 도출할 수 았었을 것이다. 노사관계는 노동자와 사측 뿐 아니라, 정부나 사회, 개인이 모두 참여함으로써 개선 및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쌍용자동차의 노사관계는 성숙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최근에 이르러서야 노사협의가 이루어지고 있고, 정부 역시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으므로, 쌍용자동차의 노사관계도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Ⅴ. 참고문헌
곽정수, 「쌍용차의 기구한 66년 역사」, 한겨레신문, 2020.12.27. 보도.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976051.html)
두 번째, 노동조합의 역할수행 부족이다. 노동조합은 노사관계에 있어 노동3권을 보장하기 위한 단결체이다. 근로자의 입장을 대변하고, 사측과 협상하거나 논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쌍용자동차의 노동조합은 근로자의 입장을 주장하기만 할 뿐이고, 사측과의 협이나 논의를 선택하지 못했다. 오히려 공장을 점거하거나, 불법무기를 사용하는 등 단체행동권의 행사에 있어 문제가 있었다. 재정위기가 발생한 시점으로 사측과 논의 및 협상을 통해 노동3권을 보장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였다면, 더 나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정리해고가 이루어진 뒤라고 하더라도, 투쟁과 함께 노사 합의와 협상을 위해 노력하였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노동조합은 단순히 노동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라 노사관계를 조율하고 상생관계로 이끌어가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쌍용자동차 노동조합은 제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했다.
쌍용자동차 노사관계에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은 노사관계의 본질에 대한 것이다. 노동자와 사측은 이익이 대립할 수 있는 경쟁적 관계이자, 서로 협력하고 발전해나가는 상생적 관계이다. 노동자의 입장만 주장할 것이 아니라, 기업의 입장을 고려하여 서로 배려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쌍용자동차의 노동조합은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한 것이다. 반면 노동자와 사측 뿐 아니라 정부 역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해당 사건이 심화된 이유는 정리해고 노동자에 대한 지원이나 배려가 이루어지는 제도가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노동자와 사측이 대립한다 하더라도, 정부가 충분히 개입함으로써 합의점을 도출할 수 았었을 것이다. 노사관계는 노동자와 사측 뿐 아니라, 정부나 사회, 개인이 모두 참여함으로써 개선 및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쌍용자동차의 노사관계는 성숙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최근에 이르러서야 노사협의가 이루어지고 있고, 정부 역시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으므로, 쌍용자동차의 노사관계도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Ⅴ. 참고문헌
곽정수, 「쌍용차의 기구한 66년 역사」, 한겨레신문, 2020.12.27. 보도.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976051.html)
추천자료
한국의 노사관계에 대하여
[노사관계론A+] 최근 노사관계의 추세의 사례를 통한 분석과 노사화합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노사관계론] 주요국의 노사관계 유형(노사자율주의, 정치적 노사관계, 민주적 조합주의, 기...
★ 노사관계론 - 쌍용자동차 노사관계
노사관계 정의특성분석및 노사관계 및 노사분규 사례분석과 문제점및 올바른 노사관계 구축방...
설계기능) 공정설계 생산능력계힉 공장입지 설비배치 작업설계 작업측정 레포트
2021년 1학기 노사관계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쌍용자동차의 노사관계)
[노사관계론 4학년] 쌍용자동차의 노사관계에 대하여 아래 순서대로 작성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