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목차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문헌고찰
1) 질환명
2) 정의
3) 원인
4) 증상
5) 치료
6) 간호
4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3) 약물 요법
5. 간호진단
6. 결론 및 제언
7. 참고문헌
2. 자료 및 방법
3. 문헌고찰
1) 질환명
2) 정의
3) 원인
4) 증상
5) 치료
6) 간호
4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적 검사
3) 약물 요법
5. 간호진단
6. 결론 및 제언
7. 참고문헌
본문내용
number=167&
2) MSD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EC%86%8C%ED%99%94-%EC%9E%A5%EC%95%A0/%EC%9C%84%EC%9E%A5-%EC%B6%9C%ED%98%88/%EC%9C%84%EC%9E%A5-%EC%B6%9C%ED%98%88
5. 대상자에게 위장관 출혈에 대한 서적을 제공하고, 혹여 읽을 시간이 안 날 경우 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위장관 출혈에 대한 정보들이 간단하게 정리되어 있는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알려주었다.
6. 대상자가 토혈을 할 때, 혹은 하고 나서 5분 간 대상자의 곁에 서서 대상자와 함께 있어 주었다.
7.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현재 토혈 및 혈변으로 하여금 극심한 불안을 느끼고 있음을 설명하고, 혼자 두기 보다는 되도록 곁에서 함께 있어 달라고 부탁하였다.
8. 대상자에게 독서, 라디오 청취, TV 시청 등 병실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활동들을 격려하여주고, 대상자의 불안을 중재할 수 있도록 심호흡, 이완요법 등 수면증진방법에 관하여 교육하였다.
- 심호흡 : 코를 통해 천천히 깊게 숨을 내쉼
- 이완요법 : 냉찜질, 온찜질, 마사지, 휴식
- 아로마 요법 : 라벤다와 로즈우드의 아로마 흡입요법
이론적 근거
불안 수준은 상황과 위협 정도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과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기초적인 요소이며, 이를 사정 할 때 대상자의 행동 관찰을 기반으로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직접적으로 물어 그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게 불안 수준을 사정 할 수 있는 방법에 해당한다.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에 대해 묻고, 이에 대해 경청해줌으로서 대상자는 자신이 느끼는 불안하거나 두려운 감정을 숨기지 않고 표현 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조절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질병에 대한 증상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대상자가 느끼는 막연한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은 말로 표현하는 것 외에도 잠에 들지 못 하거나, 생각에 잠겨 있거나, 집중 하지 못하거나, 안절부절 못하는 등 행동적인 증상들로 하여금 파악 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를 관찰하는 것은 불안감을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위장관 출혈에 대한 정확하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대상자의 조절력을 향상시키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다.
침착하고 주이를 기울이며 관심을 갖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
가족은 건강이 형성되고 유통되며 건강관리가 조직되고 건강 활동이 수행되는 하나의 개별적이고 1차적인 건강체계이다. 그러므로 보호자의 관심은 대상자의 회복과 질병의 경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지시에 따라 이완술을 사용하며, 불안의 원인과 그 내면의 느낌을 인식함으로써 대상자는 불안에 독립적으로 대처 할 수 있다.
평가
대상자는 6월 29일, 자신이 느끼는 불안한 감정을 솔직하게 말로 표현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6월 30일 토혈의 원인에 대해 알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 설명하기를 거부하였다. (미달성)
대상자는 6월 30일 불안을 완화시키는 이완요법에 대해 이해하고 있으며 어제도 이를 시행해보았다고 했다. (달성)
대상자는 7월 4일 피를 보면 불안한 것은 여전하나 그 정도가 전보다는 줄어들었다고 표현하였다. (달성)
7월 10일에 대상자는 call bell을 누르지 않았다. (달성)
퇴원 시에 대상자는 이제 전혀 불안하지 않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달성)
6. 결론 및 제언
2주일이라는 시간 동안 재택, 교내 실습을 병행하여 성인 간호학Ⅲ 실습을 진행한 탓에 시나리오 하나에만 의존 할 뿐, 직접 위·장관 출혈 대상자를 사정하며 직접 환자와 환자 곁에 상주하는 보호자에게 질문하고 소통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얻고, 환자에 맞는 간호 과정을 적용하는 것을 직접 관찰하며 자연스럽게 질병에 대하여 하나 둘 알아 갈 수 없는 것이 아쉽게 느껴졌다.
허나 역으로 생각하면 EMR과 관찰에 의존하던 기존의 Case Study와는 다르게 질병과 간단한 시나리오만 주어진 상태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스스로 공부해가며 채워 갈 수 있다는 것이 뿌듯하게 느껴졌던 것도 사실이다.
위·장관 출혈에 대한 사전지식이 희박하던 상태부터 시작해서 질병에 관한 정의, 원인, 진단 및 간호, 치료 방법에 대해 공부하며 머릿속에 존재하는 가상의 환자와 어떻게 소통을 하면 좋을지, 어떤 간호를 제공하면 좋을지, 어떤 태도로 대하면 좋을지 처음부터 끝까지 오롯이 나의 결정과 나의 생각으로 답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이번 성인간호학Ⅲ 실습은 내가 직접 시행하고 수행하는 것들이나 선생님들께서 대상자를 직접 간호하시는 모습을 관찰하고 실제로 치료적 의사소통을 활용해보면서, 대상자에게 다가가기 위해서 어떤 노력들을 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기회들에는 너무나도 큰 한계가 있었지만, 해당 연구를 통해 보다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고 더 많은 생각들을 펼쳐 보며 간호 과정을 세울 때 간호 이외의 지식 또한, 효과적인 간호 계획을 세우기 위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간호학뿐만 아니라 해당 질병에 대한 지식과 치료적 의사소통 등에 대해서도 폭넓게 알고 활용할 수 있어야 대상자에게 좀 더 편안하고 보다 나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상자들에게 좀 더 전문적이고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부족한 지식을 쌓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 과정을 적용하는 연습을 많이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서울 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2020.06.15.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 2020.06.15.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Ⅰ, 대한민국 : 수문사
양선희 외(2014), 기본간호학Ⅰ, 대한민국 : 현문사
양선희 외(2014), 기본간호학Ⅱ, 대한민국 : 현문사
삼성 서울 병원, 질환 정보 센터 www.samsunghospital.com
연대 암 세브란스 병원 https://sev.iseverance.com cancer
2) MSD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ED%99%88/%EC%86%8C%ED%99%94-%EC%9E%A5%EC%95%A0/%EC%9C%84%EC%9E%A5-%EC%B6%9C%ED%98%88/%EC%9C%84%EC%9E%A5-%EC%B6%9C%ED%98%88
5. 대상자에게 위장관 출혈에 대한 서적을 제공하고, 혹여 읽을 시간이 안 날 경우 더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위장관 출혈에 대한 정보들이 간단하게 정리되어 있는 인터넷 사이트 주소를 알려주었다.
6. 대상자가 토혈을 할 때, 혹은 하고 나서 5분 간 대상자의 곁에 서서 대상자와 함께 있어 주었다.
7.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현재 토혈 및 혈변으로 하여금 극심한 불안을 느끼고 있음을 설명하고, 혼자 두기 보다는 되도록 곁에서 함께 있어 달라고 부탁하였다.
8. 대상자에게 독서, 라디오 청취, TV 시청 등 병실에서 할 수 있는 간단한 활동들을 격려하여주고, 대상자의 불안을 중재할 수 있도록 심호흡, 이완요법 등 수면증진방법에 관하여 교육하였다.
- 심호흡 : 코를 통해 천천히 깊게 숨을 내쉼
- 이완요법 : 냉찜질, 온찜질, 마사지, 휴식
- 아로마 요법 : 라벤다와 로즈우드의 아로마 흡입요법
이론적 근거
불안 수준은 상황과 위협 정도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과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기초적인 요소이며, 이를 사정 할 때 대상자의 행동 관찰을 기반으로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직접적으로 물어 그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게 불안 수준을 사정 할 수 있는 방법에 해당한다.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에 대해 묻고, 이에 대해 경청해줌으로서 대상자는 자신이 느끼는 불안하거나 두려운 감정을 숨기지 않고 표현 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조절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질병에 대한 증상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대상자가 느끼는 막연한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상자가 느끼는 불안은 말로 표현하는 것 외에도 잠에 들지 못 하거나, 생각에 잠겨 있거나, 집중 하지 못하거나, 안절부절 못하는 등 행동적인 증상들로 하여금 파악 할 수 있으므로 대상자를 관찰하는 것은 불안감을 파악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위장관 출혈에 대한 정확하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대상자의 조절력을 향상시키고,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다.
침착하고 주이를 기울이며 관심을 갖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대상자의 불안을 완화시키는 것에 도움을 준다.
가족은 건강이 형성되고 유통되며 건강관리가 조직되고 건강 활동이 수행되는 하나의 개별적이고 1차적인 건강체계이다. 그러므로 보호자의 관심은 대상자의 회복과 질병의 경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지시에 따라 이완술을 사용하며, 불안의 원인과 그 내면의 느낌을 인식함으로써 대상자는 불안에 독립적으로 대처 할 수 있다.
평가
대상자는 6월 29일, 자신이 느끼는 불안한 감정을 솔직하게 말로 표현하였다. (달성)
대상자는 6월 30일 토혈의 원인에 대해 알고 있으나 이에 대해서 설명하기를 거부하였다. (미달성)
대상자는 6월 30일 불안을 완화시키는 이완요법에 대해 이해하고 있으며 어제도 이를 시행해보았다고 했다. (달성)
대상자는 7월 4일 피를 보면 불안한 것은 여전하나 그 정도가 전보다는 줄어들었다고 표현하였다. (달성)
7월 10일에 대상자는 call bell을 누르지 않았다. (달성)
퇴원 시에 대상자는 이제 전혀 불안하지 않다고 말로 표현하였다. (달성)
6. 결론 및 제언
2주일이라는 시간 동안 재택, 교내 실습을 병행하여 성인 간호학Ⅲ 실습을 진행한 탓에 시나리오 하나에만 의존 할 뿐, 직접 위·장관 출혈 대상자를 사정하며 직접 환자와 환자 곁에 상주하는 보호자에게 질문하고 소통하여 여러 가지 정보를 얻고, 환자에 맞는 간호 과정을 적용하는 것을 직접 관찰하며 자연스럽게 질병에 대하여 하나 둘 알아 갈 수 없는 것이 아쉽게 느껴졌다.
허나 역으로 생각하면 EMR과 관찰에 의존하던 기존의 Case Study와는 다르게 질병과 간단한 시나리오만 주어진 상태에서 하나부터 열까지 스스로 공부해가며 채워 갈 수 있다는 것이 뿌듯하게 느껴졌던 것도 사실이다.
위·장관 출혈에 대한 사전지식이 희박하던 상태부터 시작해서 질병에 관한 정의, 원인, 진단 및 간호, 치료 방법에 대해 공부하며 머릿속에 존재하는 가상의 환자와 어떻게 소통을 하면 좋을지, 어떤 간호를 제공하면 좋을지, 어떤 태도로 대하면 좋을지 처음부터 끝까지 오롯이 나의 결정과 나의 생각으로 답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다.
이번 성인간호학Ⅲ 실습은 내가 직접 시행하고 수행하는 것들이나 선생님들께서 대상자를 직접 간호하시는 모습을 관찰하고 실제로 치료적 의사소통을 활용해보면서, 대상자에게 다가가기 위해서 어떤 노력들을 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는 기회들에는 너무나도 큰 한계가 있었지만, 해당 연구를 통해 보다 더 많은 자료를 찾아보고 더 많은 생각들을 펼쳐 보며 간호 과정을 세울 때 간호 이외의 지식 또한, 효과적인 간호 계획을 세우기 위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간호학뿐만 아니라 해당 질병에 대한 지식과 치료적 의사소통 등에 대해서도 폭넓게 알고 활용할 수 있어야 대상자에게 좀 더 편안하고 보다 나은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상자들에게 좀 더 전문적이고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부족한 지식을 쌓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 과정을 적용하는 연습을 많이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서울 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 2020.06.15.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 2020.06.15.
김금순 외(2016), 성인간호학Ⅰ, 대한민국 : 수문사
양선희 외(2014), 기본간호학Ⅰ, 대한민국 : 현문사
양선희 외(2014), 기본간호학Ⅱ, 대한민국 : 현문사
삼성 서울 병원, 질환 정보 센터 www.samsunghospital.com
연대 암 세브란스 병원 https://sev.iseverance.com canc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