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석(tide)
2. 만조와 간조
3. 사리와 조금
2. 만조와 간조
3. 사리와 조금
본문내용
이를 조수간만의 차이라고 하며 흔히 이를 줄여 조차라고 부른다.
만조와 간조는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되는데 만조에서 만조까지, 혹은 간조에서 간조까지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조석주기(tidal period)라고 한다. 만약,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지 않는다면 조석주기는 정확히 12시간이 될 것이지만 실제로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므로 조석주기는 12시간 25분이 된다.
3. 사리와 조금
만조와 간조가 하루를 기준으로 2번씩 나타나는 현상이라면 사리(spring tide)와 조금(neap tide)는 한 달을 기준으로 2번씩 나타나는 현상이다. 먼저,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상에 놓일 때, 달, 태양과 마주보는 면에는 달과 태양의 기조력이 보강되어 만조 시기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이전보다 높아지는 반면, 간조 시기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이전보다 낮아진다. 이 시기를 사리(spring tide)라고 하며 반대로 태양, 지구, 달이 직각 상태로 위치할 때 달과 태양의 기조력이 상쇄되어 만조 시기에 해수면의 높이가 그다지 높아지지 않으며 간조 시기 때도 마찬가지로 해수면의 높이가 그리 낮아지지 않는다. 이 시기를 조금(neap tide)이라고 한다.
만조와 간조는 일정한 시간을 두고 반복되는데 만조에서 만조까지, 혹은 간조에서 간조까지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조석주기(tidal period)라고 한다. 만약,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지 않는다면 조석주기는 정확히 12시간이 될 것이지만 실제로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므로 조석주기는 12시간 25분이 된다.
3. 사리와 조금
만조와 간조가 하루를 기준으로 2번씩 나타나는 현상이라면 사리(spring tide)와 조금(neap tide)는 한 달을 기준으로 2번씩 나타나는 현상이다. 먼저, 지구, 달, 태양이 일직선상에 놓일 때, 달, 태양과 마주보는 면에는 달과 태양의 기조력이 보강되어 만조 시기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이전보다 높아지는 반면, 간조 시기에는 해수면의 높이가 이전보다 낮아진다. 이 시기를 사리(spring tide)라고 하며 반대로 태양, 지구, 달이 직각 상태로 위치할 때 달과 태양의 기조력이 상쇄되어 만조 시기에 해수면의 높이가 그다지 높아지지 않으며 간조 시기 때도 마찬가지로 해수면의 높이가 그리 낮아지지 않는다. 이 시기를 조금(neap tide)이라고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