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Ⅰ. 갯벌의 정의와 형성과정
Ⅱ. 갯벌이 가지는 기능
Ⅲ. 갯벌에 있어서 조석의 역활
Ⅳ.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군
Ⅴ. 갯벌 감소에 대한 문제점
Ⅵ. 외국의 갯벌보존 노력
Ⅶ. 우리나라 갯벌의 보존방안
결론
본론
Ⅰ. 갯벌의 정의와 형성과정
Ⅱ. 갯벌이 가지는 기능
Ⅲ. 갯벌에 있어서 조석의 역활
Ⅳ.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군
Ⅴ. 갯벌 감소에 대한 문제점
Ⅵ. 외국의 갯벌보존 노력
Ⅶ. 우리나라 갯벌의 보존방안
결론
본문내용
및 특성에 적합한 관리수단을 마련하여 지자체간 갯벌관리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지역협의체의 기능
① 갯벌보전 및 활용에 대한 프로그램 발굴 및 실천에 대한 역할분담
② 갯벌 주변 지역주민의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의 공동개발
③ 갯벌 생태계의 변환에 대한 공동 관찰 및 대처
④ 탐방객을 위한 시설의 설치, 정보제공 및 각종 프로그램의 공동제작
< 결론 >
생태계의 기능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없었던 시대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갯벌을 황무지로 여겼다. 이러한 생각은 최근까지도 이어져 갯벌을 당장의 개발만을 위하여 매립, 준설 등을 통해 다른 용지로 바꿔도 되는 곳으로 여기거나 도시 오염 물질의 야적장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 최근 외국에서는 수산 자원과 환경 보존 그리고 기타 문화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갯벌의 경제적 가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농경지에 비해 100배, 외해역에 비해 거의 40배나 된다고 한다. 이는 지금까지 국토 확장을 위하여 갯벌을 흙으로 메우기에 급급하였던 우리에게 경종을 울리는 사실이다. 이처럼 갯벌 생태계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아직까지도 갯벌의 생물 다양성은 물론 생물 군집의 구조, 생태계의 기능, 부영양화와 적조로 이어지는 오염 문제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도 구체적인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제는 갯벌 생태계의 보존을 위한 연구 와 대책 마련을 더 이상 미루어서는 안 된다. 선진국에서는 연안역을 보존하고 오히려 복원하는 추세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연안역 보존의 중요성을 아직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연안역을 적절히 관리, 보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조차 없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따라서 이제는 단순히 경제적 논리만으로 갯벌을 단기적으로 이용하려 하기보다는 돈으로 계산할 수 없는 문화적 가치와 장기적 이익을 고려하여 보존 위주의 습지보전법이나 연안역관리법 등을 제정하여야 한다. 이를 계기로 갯벌의 무분별하게 개발을 막고 훼손된 환경을 복원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시급한 일은 우리나라 모든 연안의 갯벌에 대해 전문 학자들이 생태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그나마 잘 보존되고 있는 일부 갯벌을 보존 위주의 국립공원이나 자연 생태계 보존 지역으로 또는 람사협약 등록 습지로 지정한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갯벌의 보존 운동은 단순히 갯벌의 특정 생물을 보호하는 차원의 자연 보호 운동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속에서 우리의 생명을 지켜 나가기 위한 '생태 운동'으로 발전하여야 한다. 더불어 우리 후손에게 길이 물려줄 자연 유산인 갯벌에 매립과 준설을 계속하고 공장 폐수와 생활 하수 등을 쉽게 버려도 되는 장소로 생각하는 일부 몰지각한 공장주나 일반인들의 사고 방식도 바뀌어야 한다. 갯벌은 더 이상 쓸모없는 땅이 아니다. 오래 전부터 갯벌은 인간의 삶과 대단히 밀접하였으며, 식탁에 오르는 해산물을 우리는 여전히 즐겨 먹는다. 그리고 갯벌은 현세대의 것이 아닌 우리 미래세대의 것으로 미래세대의 자연유산을 빼앗는 범죄행위이며 갯벌에 의존하며 살아가는 인간 이외 다양한 생물들의 생존공간을 빼앗는 범죄행위이다. 이제 올바른 결단만이 남아 있으며 이러한 결단은 우리 공동의 미래를 밝게 할 것이다.
< 소감 >
교수님께서 처음에 '인간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 에 대해서 아무 것이나 쓰라고 할 때는 무엇을 해야할 지도 몰랐고 평소에 환경에 대해서 생각해 보질 못 해서 막막하기만 했습니다. 점점 레포트를 내야할 날짜가 다가옴에 따라서 무엇을 해야할지 곰곰히 생각했습니다. 오랜 시간을 생각한 끝에 새만금 간척사업에 대해서 써야겠다는 마음을 갖고 글에 대한 전체적인 구상을 하고 주말을 이용해서 부안을 가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차편이 불편한 관계로 친구차를 긴 시간동안 타고 새만금 간척사업 현장을 막상 가보니 볼 것도 없어서 허망한 마음도 가졌습니다. 그래도 건설 현장을 찍을려고 디지틀 카메라도 가져갔지만 공사는 중지된 상태였고 비도 왔습니다. 그래서 아무 것도 못하고 그냥 올라오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몇 일을 허망하게 인터넷 사이트를 돌아다니다가 갯벌에 대한 내용을 우연히 읽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호기심을 갖게 되었고 많은 것을 찾아보았습니다. 그래서 주제를 새만금 간척사업에서 갯벌로 바꾸어서 쓰게 되었습니다. 갯벌에 대한 내용이 있는 사이트들을 돌아다니며 많은 것을 읽고 보았지만 내용이 거의 비슷해 보였습니다. 하지만 많은 내용을 담고 있는 있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갯벌에 대한 모든 내용을 포함해서 써야겠다는 마음을 갖고 쓰게 되었습니다. 사진이 없는 것이 흠이라고 생각하지만 내용면에서는 충실하다고 자부합니다. 솔직히 저도 사진도 붙이고 하고 싶었지만 어떻게 해야되는지 몰라서 못 했습니다. 갯벌이 만들어 지는데 3만년이란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그리고 갯벌이 없어지면 우리 모두에게 피해가 돌아올 뿐만 아니라 후세에도 그만큼의 피해를 계속 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사실을 알면서 우리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야 되겠다고 느꼈습니다. 이제라도 갯벌뿐만 아니라 자연의 소중함을 느끼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참고 사이트 >
① 해양수산부.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수산개발원. 1999. 우리의 연안습지, 갯벌
② 홍재상. 1998. 한국의 갯벌. 대원사
③ 고철환. 1997. 갯벌, 어떻게 만들어지나
④ 농림부 (http://www.maf.go.kr/)
⑤ 우리나라의 갯벌, 해양수산부, 1998.3.
⑥ 한국의 갯벌 (http://eco.kfem.or.kr/wet/)
⑦ 갯벌 자연 정보 생태시스템 (http://www.wetland.or.kr)
⑧ 갯벌의 기능과 가치 (http://kfem.or.kr/wet/intro/intro6.html)
⑨ 농업기반공사 (http://www.karico.co.kr)
⑩ 녹색연합 (http://www.greenkorea.org)
⑪ 환경운동연합 (http://kfem.or.kr)
⑫ 네이버 (http://www.naver.com)
⑬ 엠파스 (htttp://www.empas.com)
(2) 지역협의체의 기능
① 갯벌보전 및 활용에 대한 프로그램 발굴 및 실천에 대한 역할분담
② 갯벌 주변 지역주민의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의 공동개발
③ 갯벌 생태계의 변환에 대한 공동 관찰 및 대처
④ 탐방객을 위한 시설의 설치, 정보제공 및 각종 프로그램의 공동제작
< 결론 >
생태계의 기능에 대한 과학적 지식이 없었던 시대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갯벌을 황무지로 여겼다. 이러한 생각은 최근까지도 이어져 갯벌을 당장의 개발만을 위하여 매립, 준설 등을 통해 다른 용지로 바꿔도 되는 곳으로 여기거나 도시 오염 물질의 야적장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아직도 많다. 최근 외국에서는 수산 자원과 환경 보존 그리고 기타 문화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갯벌의 경제적 가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농경지에 비해 100배, 외해역에 비해 거의 40배나 된다고 한다. 이는 지금까지 국토 확장을 위하여 갯벌을 흙으로 메우기에 급급하였던 우리에게 경종을 울리는 사실이다. 이처럼 갯벌 생태계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아직까지도 갯벌의 생물 다양성은 물론 생물 군집의 구조, 생태계의 기능, 부영양화와 적조로 이어지는 오염 문제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도 구체적인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제는 갯벌 생태계의 보존을 위한 연구 와 대책 마련을 더 이상 미루어서는 안 된다. 선진국에서는 연안역을 보존하고 오히려 복원하는 추세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연안역 보존의 중요성을 아직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연안역을 적절히 관리, 보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조차 없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따라서 이제는 단순히 경제적 논리만으로 갯벌을 단기적으로 이용하려 하기보다는 돈으로 계산할 수 없는 문화적 가치와 장기적 이익을 고려하여 보존 위주의 습지보전법이나 연안역관리법 등을 제정하여야 한다. 이를 계기로 갯벌의 무분별하게 개발을 막고 훼손된 환경을 복원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 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시급한 일은 우리나라 모든 연안의 갯벌에 대해 전문 학자들이 생태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그나마 잘 보존되고 있는 일부 갯벌을 보존 위주의 국립공원이나 자연 생태계 보존 지역으로 또는 람사협약 등록 습지로 지정한는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이러한 갯벌의 보존 운동은 단순히 갯벌의 특정 생물을 보호하는 차원의 자연 보호 운동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속에서 우리의 생명을 지켜 나가기 위한 '생태 운동'으로 발전하여야 한다. 더불어 우리 후손에게 길이 물려줄 자연 유산인 갯벌에 매립과 준설을 계속하고 공장 폐수와 생활 하수 등을 쉽게 버려도 되는 장소로 생각하는 일부 몰지각한 공장주나 일반인들의 사고 방식도 바뀌어야 한다. 갯벌은 더 이상 쓸모없는 땅이 아니다. 오래 전부터 갯벌은 인간의 삶과 대단히 밀접하였으며, 식탁에 오르는 해산물을 우리는 여전히 즐겨 먹는다. 그리고 갯벌은 현세대의 것이 아닌 우리 미래세대의 것으로 미래세대의 자연유산을 빼앗는 범죄행위이며 갯벌에 의존하며 살아가는 인간 이외 다양한 생물들의 생존공간을 빼앗는 범죄행위이다. 이제 올바른 결단만이 남아 있으며 이러한 결단은 우리 공동의 미래를 밝게 할 것이다.
< 소감 >
교수님께서 처음에 '인간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 에 대해서 아무 것이나 쓰라고 할 때는 무엇을 해야할 지도 몰랐고 평소에 환경에 대해서 생각해 보질 못 해서 막막하기만 했습니다. 점점 레포트를 내야할 날짜가 다가옴에 따라서 무엇을 해야할지 곰곰히 생각했습니다. 오랜 시간을 생각한 끝에 새만금 간척사업에 대해서 써야겠다는 마음을 갖고 글에 대한 전체적인 구상을 하고 주말을 이용해서 부안을 가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차편이 불편한 관계로 친구차를 긴 시간동안 타고 새만금 간척사업 현장을 막상 가보니 볼 것도 없어서 허망한 마음도 가졌습니다. 그래도 건설 현장을 찍을려고 디지틀 카메라도 가져갔지만 공사는 중지된 상태였고 비도 왔습니다. 그래서 아무 것도 못하고 그냥 올라오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몇 일을 허망하게 인터넷 사이트를 돌아다니다가 갯벌에 대한 내용을 우연히 읽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호기심을 갖게 되었고 많은 것을 찾아보았습니다. 그래서 주제를 새만금 간척사업에서 갯벌로 바꾸어서 쓰게 되었습니다. 갯벌에 대한 내용이 있는 사이트들을 돌아다니며 많은 것을 읽고 보았지만 내용이 거의 비슷해 보였습니다. 하지만 많은 내용을 담고 있는 있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갯벌에 대한 모든 내용을 포함해서 써야겠다는 마음을 갖고 쓰게 되었습니다. 사진이 없는 것이 흠이라고 생각하지만 내용면에서는 충실하다고 자부합니다. 솔직히 저도 사진도 붙이고 하고 싶었지만 어떻게 해야되는지 몰라서 못 했습니다. 갯벌이 만들어 지는데 3만년이란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그리고 갯벌이 없어지면 우리 모두에게 피해가 돌아올 뿐만 아니라 후세에도 그만큼의 피해를 계속 안고 살아가야 한다는 사실을 알면서 우리들이 관심을 갖고 지켜야 되겠다고 느꼈습니다. 이제라도 갯벌뿐만 아니라 자연의 소중함을 느끼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참고 사이트 >
① 해양수산부. 한국해양연구소. 해양수산개발원. 1999. 우리의 연안습지, 갯벌
② 홍재상. 1998. 한국의 갯벌. 대원사
③ 고철환. 1997. 갯벌, 어떻게 만들어지나
④ 농림부 (http://www.maf.go.kr/)
⑤ 우리나라의 갯벌, 해양수산부, 1998.3.
⑥ 한국의 갯벌 (http://eco.kfem.or.kr/wet/)
⑦ 갯벌 자연 정보 생태시스템 (http://www.wetland.or.kr)
⑧ 갯벌의 기능과 가치 (http://kfem.or.kr/wet/intro/intro6.html)
⑨ 농업기반공사 (http://www.karico.co.kr)
⑩ 녹색연합 (http://www.greenkorea.org)
⑪ 환경운동연합 (http://kfem.or.kr)
⑫ 네이버 (http://www.naver.com)
⑬ 엠파스 (htttp://www.empas.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