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_인간환경선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UN_인간환경선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UN인간환경선언이란!!
UN인간환경선언에 대한 평가
기본 원칙
해석상의 차이가 발생할수 있기에 원문을 붙입니다.

본문내용

international law regarding liability and compensation for the victims of pollution and other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activities within the jurisdiction or control of such States to areas beyond their jurisdiction.
Principle 23
Without prejudice to such criteria as may be agreed upon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r to standards which will have to be determined nationally, it will be essential in all cases to consider the systems of values prevailing in each country, and the extent of the applicability of standards which are valid for the most advanced countries but which may be inappropriate and of unwarranted social cost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Principle 24
International matters concerning the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should be handled in a co-operative spirit by all countries, big or small, on an equal footing. Co-operation through multilateral or bilateral arrangements or other appropriate means is essential to effectively control, prevent, reduce and eliminate adverse environmental effects resulting from activities conducted in all spheres, in such a way that due account is taken of the sovereignty and interests of all States.
Principle 25
States shall ensure tha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play a co-ordinated, efficient and dynamic role for the protection and improvement of the environment.
Principle 26
Man and his environment must be spared the effects of nuclear weapons and all other means of mass destruction. States must strive to reach prompt agreement, in the relevant international organs, on the elimination and complete destruction of such weapons.
지금 현재를 사라가는 우리에게 서서히 하지만 확실한 위협으로 찾아오는것이라면 무엇이 있을까. 모두가 알지만 실천하기 힘든 것은 무엇이 있을까. 이러한 물음은 누구나 가져봤을겁니다. 지금 우리주위엔 자연이 얼마나 남아있을까요? 지금 우리의 환경은 과거와 비교해 어떨까요. 그 옛날 푸른물 푸른강산이 많은 우리나라는 단 50여년만에 눈부신 공업화와 그리고 더러워진 환경만 남았습니다. 단, 50년만이었습니다. 우리의 선조가 자랑하던 우리 부모님이 자랑하던 우리나라의 맑은 공기 많은 물 이제는 주위를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습니다. 주위를 둘러보면 매쾌한 매연냄새와 자외선, 그리고 버려진 쓰레기등이 보입니다. 그러한 환경안에서 우리는 서서히 죽어감을 느낍니다. 이러한 우리의 위협을 느끼고 더 이상 환경을 파괴할 경우 인류의 큰 위험이 올거라 생각한 생각하여 113개국이 모여 더 이상 자연의 파괴를 줄이기 위한 최초의 국제적 행동이 UN인간환경선언입니다.
사람은 태여나면서부터 자연환경속에서 살아가게 되는 동물입니다. 아니 인간이 아닌 모든 생물이 또한 그렇습니다. 그리고 후에는 다시 자연환경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하지만, 오늘날, 자연 환경은 과도하고 성급한 자원 개발과 낭비로 인하여 자원고갈, 수질과 대기 오염, 생물종의 멸절이나 삼림 지역의 감소, 사막화등등의 많은 문제를 낳았고, 또한 그러한 문제는 기형아 출산, 출산율 저하등의 다른 문제를 낳게 된겁니다. 인간은 자신들의 이득을 위해 자연 환경을 희생시켰지만 지금 자연환경의 피해는 다시 사람에게 돌아오고 있는겁니다. 이러한 자연환경의 파괴를 막기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예전처럼 인간은 자연의 정복자, 지배자라는 생각을 바꾸고 자연의 일부이자 동반자라는 사고방식의 변화가 있어야 할것입니다. 또한 자연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자연친화적인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결코 한 개인,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힘듭니다.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온 인류가 함께 노력하여야만 해결될 수 있는 것입니다.
1972년 6월에 스톡홀롬에서 일어난 UN인간환경선언은 인류 최초의 환경대책을 위한 의견이었고 이후에 지구 기후변화문제의위기로 인한 IPCC설립, 오존층 보호를 위한 빈협약, 라우선언등의 여러 국제간의 협약과 기구를 만들어 환경을 생각하는 사회의 교두보의 역할을 하였다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공업화로 인해 만들어지는 여러 중금속과 산업폐기물등은 지구상에 있는 어떠한 물질보다 강한 오염원이 되며 바소, 안티몬, 카드늄, 크롬, 시안, PCB, 다이옥신등의 물질은 소량만 섭취해도 돌이킬수 없는 문제를 만들어냅니다. 이제 우리는 지구를 위해서 또한 우리를 위해서 그리고 우리의 후손을 위해서도 자연을 최대한 보호하며 공존하며 살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7.0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9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