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논리적 사고력의 정의
3. 논리적 사고력의 유형
4. 논리적인 사람의 정의
5. 자신이 생각하는 ‘논리적인 사람’의 의미
6. 학창시절 본인이 가장 좋아했던 선생님과 그 이유
7. 결론(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훌륭한 교사)
8. 참고자료
2. 논리적 사고력의 정의
3. 논리적 사고력의 유형
4. 논리적인 사람의 정의
5. 자신이 생각하는 ‘논리적인 사람’의 의미
6. 학창시절 본인이 가장 좋아했던 선생님과 그 이유
7. 결론(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훌륭한 교사)
8. 참고자료
본문내용
설을 세울 가능성이 높아진다.
셋째, 속도의 향상. 논리적으로 사고하면 불필요한 생각이 줄어들어 사고의 속도가 향상된다. 가설을 세우고 검증을 하므로 각 단계에서 필요한 일과 다음 단계에서 해야 할 일을 빠르게 파악하여 행동에 옮길 수 있다.
6. 학창시절 본인이 가장 좋아했던 선생님과 그 이유
학창시절 제가 가장 좋아했던 선생님은 고등학교 때 학원 영어 선생님이다.
수업 시간에는 오로지 영어 사용이 원칙이었고 나름의 교재가 있었으나 좋아하는 노래, 외국 가수들, 국내 가수들에 관해서도 길게 이야기하고 저를 마냥 어리게 보지 않고 즐거운 대화 친구로 대해 주셨던 부분이 좋았다.
교재도 재밌었던 것 같다. 외국의 이슈를 이야기하다보니 흥미로웠던 점이 많았다. 생각하고 이야기하는 시간도 자유롭다보니 더 능률이 올랐다. 단어를 유추하고 문맥을 파악하는 기본적인 공부법도 포함되었지만 재미있었다. 한번은 한국 노래를 영어로 번역해오는 숙제가 있었다. 너무 재밌게 밤새서 노래를 고르고 번역해 갔다.
7. 결론(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훌륭한 교사)
제가 생각하는 가장 훌륭한 교사는 교육에서 아이들에게 더불어 사는 삶의 공동체 의식을 깨우쳐주고, 그것을 생활화하는 습관을 기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이 있다. 어릴 때의 좋은 습관이 일생을 좌우하므로 좋은 습관은 어릴 때 익히도록 지도되어야 한다.
유아 인성교육은 교사가 의도적으로 계획한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서도 이루어진다. 교사의 잠재적 교육에 의한 역할은 교사의 주도에 의해 민주적이면서도 서로 배려하는 도덕적인 교실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교사의 역할 중에서 모델로서의 역할은 인성교육에서 특히 중요하게 작용한다. 교사가 존중의 덕목을 가르치려고 하는 것보다 교사 스스로가 유아를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자연스럽게 유아가 보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사의 모습을 통해 유아는 민주적이며 도덕적인 분위기 속에서 생활 자체를 통해 인성덕목을 습관적으로 내면화할 수 있게 된다.
가정과의 연계교육에 있어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유아에게 최초의 교사는 부모이며 인성교육을 실천하는 일차적인 장소가 가정임을 인식하고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인성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훌륭한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가정 내에 인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부모교육을 통해 인성교육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방법을 공유하도록 해야 한다.
8. 참고자료
서경혜.(2004).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교육과정연구,22(4),165-187.
류말순( 2019 ) .유치원 인성교육 실태와 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경남 대학교석사학 논문.
강서정 (2018). 보육교사의 영유아 인성교육 인식과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이.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관계를 통한 개념 면담의 효과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서울
강영식, 박창옥, 오경숙, 김중기, 심성희, 임영옥 (2019). 영유아교사를 위한 보육실습실무. 서울: 어가.
계영애, 강정원 (2014).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인성적 덕목과 교수 전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론집, 5(1), 56-75.
교육과학기술부 (2019).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교육과학현창혁 역, 2015, 로지컬씽킹의 기술, HR인스티튜트 저.
기술부 (2017).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셋째, 속도의 향상. 논리적으로 사고하면 불필요한 생각이 줄어들어 사고의 속도가 향상된다. 가설을 세우고 검증을 하므로 각 단계에서 필요한 일과 다음 단계에서 해야 할 일을 빠르게 파악하여 행동에 옮길 수 있다.
6. 학창시절 본인이 가장 좋아했던 선생님과 그 이유
학창시절 제가 가장 좋아했던 선생님은 고등학교 때 학원 영어 선생님이다.
수업 시간에는 오로지 영어 사용이 원칙이었고 나름의 교재가 있었으나 좋아하는 노래, 외국 가수들, 국내 가수들에 관해서도 길게 이야기하고 저를 마냥 어리게 보지 않고 즐거운 대화 친구로 대해 주셨던 부분이 좋았다.
교재도 재밌었던 것 같다. 외국의 이슈를 이야기하다보니 흥미로웠던 점이 많았다. 생각하고 이야기하는 시간도 자유롭다보니 더 능률이 올랐다. 단어를 유추하고 문맥을 파악하는 기본적인 공부법도 포함되었지만 재미있었다. 한번은 한국 노래를 영어로 번역해오는 숙제가 있었다. 너무 재밌게 밤새서 노래를 고르고 번역해 갔다.
7. 결론(본인이 생각하는 가장 훌륭한 교사)
제가 생각하는 가장 훌륭한 교사는 교육에서 아이들에게 더불어 사는 삶의 공동체 의식을 깨우쳐주고, 그것을 생활화하는 습관을 기르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이 있다. 어릴 때의 좋은 습관이 일생을 좌우하므로 좋은 습관은 어릴 때 익히도록 지도되어야 한다.
유아 인성교육은 교사가 의도적으로 계획한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잠재적 교육과정을 통해서도 이루어진다. 교사의 잠재적 교육에 의한 역할은 교사의 주도에 의해 민주적이면서도 서로 배려하는 도덕적인 교실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교사의 역할 중에서 모델로서의 역할은 인성교육에서 특히 중요하게 작용한다. 교사가 존중의 덕목을 가르치려고 하는 것보다 교사 스스로가 유아를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자연스럽게 유아가 보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사의 모습을 통해 유아는 민주적이며 도덕적인 분위기 속에서 생활 자체를 통해 인성덕목을 습관적으로 내면화할 수 있게 된다.
가정과의 연계교육에 있어 교사의 역할도 중요하다. 유아에게 최초의 교사는 부모이며 인성교육을 실천하는 일차적인 장소가 가정임을 인식하고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인성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훌륭한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가정 내에 인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부모교육을 통해 인성교육의 중요성과 구체적인 방법을 공유하도록 해야 한다.
8. 참고자료
서경혜.(2004).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교육과정연구,22(4),165-187.
류말순( 2019 ) .유치원 인성교육 실태와 인성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경남 대학교석사학 논문.
강서정 (2018). 보육교사의 영유아 인성교육 인식과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현이.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관계를 통한 개념 면담의 효과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서울
강영식, 박창옥, 오경숙, 김중기, 심성희, 임영옥 (2019). 영유아교사를 위한 보육실습실무. 서울: 어가.
계영애, 강정원 (2014).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인성적 덕목과 교수 전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론집, 5(1), 56-75.
교육과학기술부 (2019). 유아교육 선진화 추진계획. 서울: 교육과학기술부.교육과학현창혁 역, 2015, 로지컬씽킹의 기술, HR인스티튜트 저.
기술부 (2017). 유치원 기본과정 내실화를 위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