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따돌림의 이해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따돌림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의의

2. 원인과 특성
1) 개인적· 심리적 원인
2) 환경적 원인
3) 개인적·심리적 특성
가) 가해자들의 특성
나) 방관자들의 특성
다) 피해자들의 특성
4) 집단따돌림(bullying)의 결과

참고문헌

본문내용

켰다. 그 이후 집 그녀의 유일한 탈출구였다고 한다(“Suicide of Dawn-Marie Wesley”, , 2014년. 12. 12. 최종방문; “B.C. girl convicted in school bullying tragedy”, CBC NEWS Canada, 2002년. 3. 26, , 2014년. 12. 12. 최종방문).는 2학년에 학급에서 누군가에 의하여 꼬집힘(picking)을 당하여 화가 나서 집에 돌아 왔는데 이를 모가 학교로 찾아가 교사에게 알린 다음부터 불링이 시작되어 14세 생일이 지 난 직후 불링에 의한 우울증으로 총기자살을 하였다고 한다. 그 5년 후 South Dakota 주에서는 불링에 대한 호소를 보호하는 것을 포함하는 불링방지법을 제정하기에 이른다(“Parents To Share Daughter\'s Story In Pierre”, KELOLAND.COM, 2009년. 2. 10, , 2014년. 12. 12. 최초방문).
Cherice Moralez는 14세에 48세인 교사로부터 반복적으로 성적 침해를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급우들로부터 불링을 당하게 되어 그녀의 모 침대에서 총기자살을 하였다. 그러나 2007년 당시 그 교사는 불과 30일간의 징역이 선고되어 사회적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고 한다(Mail Online, 2013년. 8. 29, , 2014년. 12. 11. 최종방문).
통계적으로, 미국에서 보통 연쇄살인범은 중하위계층의 20·30대의 백인 남성이 가장 많다고 한다. 그들 중 많은 사람은 자신들의 부모들에 의하여 신체적 또는 감정적으로 학대를 당하였고, 일부는 입양되었다. 어린 시절, 그들은 방화, 동물 학대, 침대에서 오줌을 쌌다고 하는데 이러한 행위들은 여러 징후 중 ‘3중 화음’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뇌손상이 있었다. 일부는 대단히 지적이고 성공적인 직업인으로 대단한 전도유망함을 보여주기도 한다.
(다) 역발상-긍정적인 발전(Positive development) 어떤 사람들은 집단따돌림이 인생의 교훈을 가르쳐주고 힘을 불어넣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집단따돌림의 표적(target)이 되는 것은 아동· 청소년에 게 논쟁을 다루게 되고, 다른 아동들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방법을 가르쳐 줄 수 있고 한다. 그래서 교사들은 끼어들어서는 안 되며, 아동· 청소년 자신들이 집단따돌림에 반응하도록 내버려 두어야 한다는 주장이 처음 제기되었을 때 이에 대해 많은 반론이 일어나게 되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자신들이 집단따돌림의 표적이 되었을 때 그러한 표적이 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위해를 입었다고 느끼게 된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소수 견해이지만, 집단따돌림 행위로부터 몇몇 잠재적인 긍정적 결과를 가져온다고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어떤 이들은 집단따돌림 행위로 표적이 된 결과, 집단따돌림의 “표적”이 된 특정 소수는 이전 힘의 불균형(imbalance)을 ‘재조정(re-balance)’하면서 ‘자신들을 지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다양한 대응 전략들(coping strategies)을 개발하는 과정을 통하여 그들이 집단따돌림을 경험함으로서 사실상 ‘유능’하게 되는 것을 경험했다고 한다. 그리하여 이 전에 집단따돌림의 표적이었던 그들은 집단따돌림의 가혹한 시련의 결과 ‘보다 나은 사람이 되었다’라고 한다. 표적이 된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게 집단따돌림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들을 가르침으로서 집단따돌림의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개인들에 대한 소중한 기능들(valuable skill-set)을 갖추도록 하는데 효과적인 장기적 수단이 된다고 한다.
위에서 살펴본 집단따돌림의 개념 및 원인을 종합해보면, 집단따돌림은 다른 유형의 학교사고나 학교폭력보다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는 집단따돌림과 관련하여 교사의 보호 감독 의무위반을 판단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첫째, 집단따돌림의 가해자와 피해자가 같은 학교와 같이 같은 집단에 속하는 자들이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그 집단에 속하는 자 즉, 학교 측은 집단따돌림에 대한 정보를 얻을 기회가 많지만, 학교 밖에 있는 부모는 그 정보를 접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둘째, 싸움과 같은 학교사고는 우연으로 발생하고 대부분은 1회 적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집단따돌림은 수개월 혹은 수년에 걸쳐 계획적, 지속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셋째, 집단따돌림은 음습성(陰濕性)을 지니고 있다. 집단따돌림의 피해 학생은 부모에게 걱정을 끼치지 않겠다는 생각이나 자존심, 가해자에 의한 보복 때문에 이를 적극적으로 드러내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 가운데서 우선 세 번째 특성은 교사가 집단따돌림 및 이로 인한 사고를 예측하기 힘들게 하며 그 결과 교사의 주의의무 위반 및 학교 측의 책임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반면 두 번째 특성 때문에 집단 따돌림은 우발적인 폭행 사고와는 달리 교사가 주의 깊게 관찰하면 예측할 수도 있으며, 그 결과 이는 교사의 주의의무 위반 및 학교 측의 책임을 긍정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끝으로 첫 번째 특성은 뒤에 살펴볼 학교 측의 정보제공의무 기초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성폭력상담소 상담현황보고서, 2006.
한국청소년개발원, “학교폭력의 최근 동향과 문제점에 대한 고찰” 2001.
한국형사정책연구원, “학교주변폭력의 실태와 대책”, 1997.
김선애, “학교주변 폭력에 대한 일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0.
김창호,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박경숙, 손희권, 송혜정. “학생의 왕따(집단따돌림 및 괴롭힘)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998.
박효정 외, “학교폭력 대처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한국 청소년개발원, “학교폭력의 최근 동향과 문제점에 대한 고찰” 2001.
한경아 외 3인, “학교폭력의 이해와 진단”, 한국교육개발원, 2005.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2.03.30
  • 저작시기202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6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