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문제와보호] 학교폭력 청소년문제와 집단따돌림문제 - 원인 분석, 당면 문제, 실태 및 대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문제와보호] 학교폭력 청소년문제와 집단따돌림문제 - 원인 분석, 당면 문제, 실태 및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학교폭력 청소년문제
1. 학교폭력의 개념과 유형
2. 학교폭력의 원인
3. 학교폭력청소년의 특성과 당면문제
4. 학교폭력의 실태와 대책

Ⅱ. 집단따돌림문제
1. 집단따돌림의 개념과 유형
2. 집단따돌림의 원인
3. 집단따돌림청소년의 특성과 당면문제
4. 집단따돌림의 실태와 대책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험하였으며, 가장 심각하게 따돌림현상을 경험하고 있는 대상은 중학생들이다. 이들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대책을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상담, 치료 : 피해학생을 대상으로 개별상담과 집단상담을 통해 심리적 지지와 정서적 안정을 되찾게 하고 적응력을 높이도록 한다. 가해학생을 대상으로는 분노, 적대감, 가학성 등의 상태를 통제할 수 있도록 도우며, 예방을 위해 도래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다.
2) 교육 및 훈련의 기회 제공 : 따돌림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자기주장 훈련, 의사소통 훈련, 대인관계 훈련, 인권교육 등을 실시하며, 따돌림 문제 해결 방법, 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3) 환경 조정 : 학교 교육 체제의 개선, 학교 내 민주화 및 환경 개선, 청소년의 권익 보호를 위한 옹호자, 대변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4) 부모에 대한 교육정보 제공 : 효과적인 부모 역할 수행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훈련을 실시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여론을 환기시킨다.
5) 학교에 대한 지원 : 학교 운영자 및 교사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따돌림 예방 활동을 전개하며, 지역 사회 등 외부와의 연결을 돕는다.
6) 지역사회에 대한 개입 : 유해환경 개선, 건전문화 공간 확보를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관련 기관과의 협력 체계 구축을 돕는다.
참고문헌
김향초 저, 가출청소년의 이해와 상담, 학지사 2009
김향초 저, 가출청소년 이해와 지원 프로그램, 학지사 2005
홍준표 저, 집단 따돌림의 진단과 치료방안, 집문당 2002
한상철, 김혜원 외 저, 청소년 문제행동, 학지사 2003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9.13
  • 저작시기2013.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92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