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과정론 출석 2022년] 1. 비정상 호흡음을 3가지 이상 제시하고, 특성을 설명 2. 심음 청진 방법(청진 순서, 위치, 주위사항 등) 3. 12개 뇌 신경의 각 유형(감각, 운동, 혼합)과 기능 4. 심부건 반사의 예를 3가지 이상 제시하고, 사정 방법 5. 간의 타진 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과정론 출석 2022년] 1. 비정상 호흡음을 3가지 이상 제시하고, 특성을 설명 2. 심음 청진 방법(청진 순서, 위치, 주위사항 등) 3. 12개 뇌 신경의 각 유형(감각, 운동, 혼합)과 기능 4. 심부건 반사의 예를 3가지 이상 제시하고, 사정 방법 5. 간의 타진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비정상 호흡음을 3가지 이상 제시하고, 특성을 설명하시오. (5점)
1) 나음
2) 수포음
3) 천명음
4) 협착음
5) 마찰음
6) 종격동음
7) 진탕음

2. 심음 청진 방법(청진 순서, 위치, 주위사항 등)에 대해 설명하시오. (5점)
1) 심음 청진 순서
2) 심음 청진 위치
3) 주의사항

3. 12개 뇌 신경(cranial nerve)의 각 유형(감각, 운동, 혼합)과 기능을 설명하시오. (10점)
1) 후신경
2) 시신경
3) 동안신경
4) 활차신경
5) 삼차신경
6) 외전신경
7) 안면신경
8) 청신경
9) 설인신경
10) 미주신경
11) 부신경
12) 설하신경

4. 심부건 반사의 예를 3가지 이상 제시하고, 사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5점)
1) 심부건 반사의 예
2) 심부건 반사의 사정 방법

5. 간의 타진 방법을 설명하시오. (5점)

6. 참고자료

본문내용

son, Jean Giddens 저, 이강이 외 2명 역(2013). 건강사정. 현문사.
4. 심부건 반사의 예를 3가지 이상 제시하고, 사정 방법을 설명하시오. (5점)
1) 심부건 반사의 예
심부건 반사에는 삼부근반사, 이두근반사, 상완요골근반사(회외근반사), 슬개근반사(무릎반사), 아킬레스건 반사 등이 있다.
2) 심부건 반사의 사정 방법
(1) 삼두근 반사
대상자에게 검사자의 팔을 편안하게 잡으라고 말한다. 한 손으로 대상자의 팔꿈치를 구부려 잡고 팔꿈치 바로 위에 있는 삼두근을 해머로 가볍게 친다(검진자에 따라 타격 표면이 넓도록 해머의 평평한 쪽을 사용하기도 한다). 삼두근이 눈에 보이거나 손으로 느껴질 정도로 수축해서 팔꿈치가 신전해야 한다. 또한 검진자가 대상자의 상완을 잡고, 팔꿈치를 구부리게 하여 팔을 늘어뜨리게 한 후 건을 쳐도 된다.
(2) 이두근 반사
대상자에게 팔을 편안하게 검진자의 팔에 걸치게 한다. 팔꿈치를 약간 굴곡시킨 검진자의 엄지를 이두건 건위에 올려놓고 그 위를 햄머의 뾰족한 쪽으로 친다. 정상이라면 이두건이 수축하여 팔꿈치가 굴곡해야 한다.
(3) 상완요골근반사(회외근반사)
대상자의 팔을 편안하게 하여 약간 회내시킨 자세로 잡는다. 해머로 손목의 2.5~5cm 가량에 있는 상완요골근건을 직접 친다. 정상이면 전완의 회외운동과 팔꿈치의 굴곡을 나타낸다.
(4) 슬개근반사(무릎반사)
앉은 자세에서 다리를 늘어뜨리게 한다. 또한 앉은 상태나 누워있는 상태에서 대상자의 무릎을 어느 정도 굴곡시킨 상태로 유지시킨다. 슬개골 바로 아래 슬개건을 친다. 정상이라면 사두근이 수축하여 다리가 펴져야 한다. 아무 반응이 없으면 대상자에게 두 손동작을 시켜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린 다음 슬개건을 친다.
(5) 아킬레스건 반사
대상자의 무릎을 굽히고, 발목을 90도로 배굴시킨 자세를 잡고, 다른 손으로 발목복사 부위에 있는 아키레스건을 두드린다. 정상이라면 비복근이 수축하여 발의 족저굴곡(plantar flexion)이 나타난다. Susan Wilson, Jean Giddens 저, 이강이 외 2명 역(2013). 건강사정. 현문사.
5. 간의 타진 방법을 설명하시오. (5점)
간의 타진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대 높이와 우측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지점에서 위쪽으로 타진하여 고장음이 탁음으로 변하는 지점을 볼펜으로 표시한다.
둘째, 유두 부위로부터 우측 중앙 쇄골선을 따라 아래쪽으로 타진하여 공명음이 탁음으로 변하는 지점을 표시한다.
셋째, 확인된 두 지점의 거리를 자로 측정한다.
넷째, 중앙 흉골선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김명자 외(2010). 건강검진. 정문각.
간을 타진해 봄으로써 간의 크기와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아래쪽 간 경계부 탁음은 늑골연이나 그것보다 약간 아래 부위에서 들린다. 위쪽 간 경계부는 폐 공명음 부위에서부터 타진을 시작하여 탁음이 들릴 때까지 우측 중앙쇄골선 아래로 타진한다. 정상적으로 간은 5~7번째 늑간강 사이에 있다. 간의 직경은 간 비대 시 증가하고 간 위축 시 감소한다. 간경화 시 타진하면 사각형을 띤다. 김연숙 외(2013). 건강사정. 포널스출판사.
6. 참고자료
최윤경,이수진(2022). 간호과정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금순 외(2015). 핵심 건강사정 임상증상별 접근. 수문사.
김명자 외(2010). 건강검진. 정문각.
김연숙 외(2013). 건강사정. 포널스출판사.
Joyce M. Black 저, 이영휘 역(2011). 성인간호학. 정담미디어.
Susan Wilson, Jean Giddens 저, 이강이 외 2명 역(2013). 건강사정. 현문사.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2.04.19
  • 저작시기202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675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