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음성장애
II. 유창성장애
III. 청각장애
* 참고문헌
II. 유창성장애
III. 청각장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한 이 아동들은 행동의 갑작스러운 변화를 보이는 반면, 운동 및 인지발달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장애를 청각처리장애(auditory processing disorder)라고 한다. 청각처리장애 아동이 청각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난청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뇌의 청각적 처리과정의 수용능력을 방해받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이러한 장애를 청각처리장애(auditory processing disorder)라고 한다. 청각처리장애 아동이 청각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난청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뇌의 청각적 처리과정의 수용능력을 방해받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참고문헌
이상행동의 심리학 / 이현수, 이인혜 외 3명 저 / 대왕사 / 201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정신장애 사례연구 / 김청송 저 / 학지사 / 2002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