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절제술 케이스스터디 (교수님 피드백 적용 완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편도절제술 케이스스터디 (교수님 피드백 적용 완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사례연구의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편도선의 구조 및 기능
2. 편도염(Tonsillitis)
3. 치료
가. 비수술적 치료
나. 편도절제술(Tonsillectomy)

Ⅲ. 건강사정

Ⅳ. 약물

Ⅴ. 진단검사 소견

Ⅵ. 치료경과 및 계획

Ⅶ. 간호진단 (3개 포함)

Ⅷ. 결론

본문내용

혈소판(Platelet)
로 보고 있으므로 수술에 영향을 미칠만한 수치는 아니었다.
Ⅵ. 치료경과 및 계획
1. 현재 치료내용 :
환자는 2년 전부터 인후통, 기침, 가래 증상이 있었으며, 1년 전부터 증상이 심해졌고 약물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아 수술 치료를 위해 입원하였다. 수술 전 혈액검사, 소변검사, 심전도, chest x-ray 등의 진단검사를 시행하였고, 검사 결과 Routince CBC PLT외 모두 정상소견을 보였다. ‘22.04.28일 대상자는 편도선 절제술(tonsillectomy)을 받고 head up 자세 유지하며 침상안정 중이다.
2. 향후 치료계획 :
현재 대상자는 수술 후 gas-out, 자가배뇨, 장음청진 후 sips of water 중이다. 이후 아이스크림과 얼음조각 머금어서 수술 부위 염증을 줄이고 부종을 호전시킬 계획이다. 수술 후 1주 정도는 차가운 죽으로 식사를 진행하고, 활력징후와 목뒤 검사를 통해 출혈 여부를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Ⅶ. 간호진단
1. 간호진단
가.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나. 수술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다. 침습적 수술로 인한 수술 부위 감염의 위험
2. DAR
#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D:
“무언가 삼킬 때 수술부위가 따끔따끔하게 아픕니다.”
“수술부위 통증 2점 정도로 아픕니다.”
.tonsil OP site
-pain(+, NRS 2점, 삼킬 때, 따끔거리는)
-redness/swelling(+/+)
-heating sense/itching sense(-/-)
.V/S: 37-66-16-129/86-98%
.chilling sense/sweating(-/-)
.abdominal pain/discomfort(-/-)
.general weakness(-)
.nausea/vomiting(-/-)
A:
.NRS 통증사정 도구 이용하여 통증 사정함.
.목 부위에 ice pack 적용하고 Ice pack의 상태를 점검함.
.대상자에게 이완요법, 음악, 호흡 방법, 통증경감요법 사용을 교육함.
-신체적 안정이 정신적 안정과 연관되어 있음을 설명하고 팔과 다리 어깨 근육의 긴장을 풀어보라고 권함.
.통증심화 및 특이증상 발현 시 근무자에게 알리도록 함.
.V/S 30분 간격으로 측정함.
-15:00 37-66-16-129/86-98%
-15:30 37.1-68-16-121/87-99%
-16:00 36.8-65-16-131/88-99%
.병실 내 환경 건조하지 않도록 물수건 걸어놓도록 함.
R.
대상자 1시간 뒤 재사정 함.
.통증 2점으로 감소하였다고 표현하며 인상을 찌뿌리기 보단 웃는 모습 보임.
.목에 지속적으로 Ice pack 적용하며 침상안정 중임.
# 수술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D:
“피 맛이 나거나 목뒤로 넘어가는 듯한 느낌은 없습니다.”
“불안하거나 침을 자주 삼키지 않습니다.”
.tonsil OP site
-white patch(+, both)
-bleeding(-)
-pain(+, NRS 2점, 삼킬 때, 따끔거리는)
-redness/swelling(+/+)
-heating sense/itching sense(-/-)
.V/S: 37-66-16-129/86-98%
.chilling sense/sweating(-/-)
.nausea/vomiting(-/-)
A:
.펜 라이트 이용하여 목 뒤 검사하여 출혈여부 사정하고 자주 삼키는 행동이 있는지 관찰함.
.V/S 30분 간격으로 측정함.
-15:00 37-66-16-129/86-98%
-15:30 37.1-68-16-121/87-99%
-16:00 36.8-65-16-131/88-99%
.30도 head up 자세 유지하게 함.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은 대부분 수술 후 24시간 이내 발생, 지연성 출혈은 수술 후 5-7일에 호발 됨을 설명하고, 피 맛이 느껴지거나, 목 뒤로 흐르는 느낌이 들 경우 근무자에게 알리도록 함.
.수술 후 1∼2주 동안 기침, 코 세게 풀기, 격렬한 운동, 무거운 짐 드는 것은 피하도록 교육함.
.1주일간 차가운 죽 섭취해야 함을 교육하고 저녁 식이 확인함.
-1/3 tray 섭취함.
.빨대는 상처를 건드리거나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을 금지됨을 설명함.
.양념이 강한 음식, 거칠거나 삼키기 어려운 음식을 피하도록 교육함.
.목 부위에 ice pack 적용하고 Ice pack의 상태를 점검함.
.병실 내 환경 건조하지 않도록 물수건 걸어놓도록 함.
R.
대상자 1시간 뒤 재사정 함.
.피 맛이 느껴지거나 목 뒤로 흐르는 느낌 없다고 환자가 표현함.
.펜 라이트로 목 뒤 검사 시 출혈 없이 유지되고 있음.
.30도 head up 자세 유지하며 침상안정 중임.
Ⅷ. 결론
602병동에는 편도염이나 편도의 비대로 입원하여 비수술적 치료를 받는 환자들도 많고, 편도선 절제술을 위해 입원한 케이스도 많다. 앞으로 자주 마주치게 될 편도 질환 환자들에게 정확하고 전문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이번 케이스를 선택하게 되었다.
케이스 스터디를 하다 보니 편도염(tonsillitis)과 편도선 절제술(tonsillectomy) 환자들에게 제공해야 하는 간호중재가 조금씩 다른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식이 관련해서 편도염 환자들은 고단백, 고칼로리 식이를 진행하고 하루 2∼3L의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한 반면, 편도선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들은 수술 후 붓기 감소를 위해 아이스크림이나 얼음 조각을 머금고 있고 1주간은 차가운 죽을 섭취하고 2주 이후부터 정상식이를 진행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편도절제술 후에 멈추지 않는 출혈이나 기도 폐쇄 등 여러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목 뒤 검사, 활력징후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멈추지 않는 출혈이 있을 경우 담당의에게 노티해야 함을 배우게 되었다.
이번 케이스스터디를 통해 편도염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고, 편도선 절제술의 방법과 간호중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 이비인후과 병동에서 만나게 될 편도염, 편도선절제술 환자들에게 알맞은 간호중재를 제공하여 빠른 치유와 회복에 힘쓸 수 있겠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2.06.08
  • 저작시기202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03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