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중재
6) 합병증 및 예후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검사
3. 치료 및 경과
4. 간호과정
Ⅵ. 결론
사례 대상자에 대한 요약과 예후 및 자기 성찰
Ⅴ. 참고 문헌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 및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중재
6) 합병증 및 예후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진단검사
3. 치료 및 경과
4. 간호과정
Ⅵ. 결론
사례 대상자에 대한 요약과 예후 및 자기 성찰
Ⅴ. 참고 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분류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부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정한다.
2. 피부를 사정한다.
① 영향 요인을 사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② 부동으로 인한 피부자극과 파괴를 예방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1. 수술하지 않은 쪽으로 눕도록 하고 수술한 부위는 처방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2. 재활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며 일상 생활활동(ADL)을 하도록 격려한다.
① 수술 부위의 보철의 탈구를 예방하고 피부와 조직의 압력을 지연시키며 조직의 손상과 허혈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② 근력의 강화와 근육량의 증가는 순환을 촉진시키고 욕창을 예방하며 ADL을 통해 자존감을 높이고 독립심과 조절력을 증가시킨다.
교육적 계획
1. 침범 받지 않는 관절의 ROM 운동을 교육 한다.
① 퇴행성 관절 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경우 활동이 제한되는 동안 관절의 기능이 빨리 감소되기 때문이다.
수행
[진단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부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정했다.( 통증, 다른 부위의 관절염 및 이동에 대한 두려움 등이 있다.)
② 대상자의 피부를 사정했다.(특히 피부의 붉은 부분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처방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했다. → 인공관절 치환술시 수술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주며 체위변경 시 수술 받지 않는 부위를 침상과 맞닿게 했다.
② 수술 후 재활 활동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 수술 자체도 중요하지만 관절 유지의 가장 중요한 것은 수술 후 재활활동임을 강조한다. 또한 증상이 없더라도 적어도 1년에 한 번씩은 정기 검진과 방사선 촬영을 하는 것이 인공 관절을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함.
[교육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ROM 운동을 교육했다.
(발목과 발목 운동, 무릎펴기 운동, 다리들기 운동등을 교육했다.)
∴발목과 발목운동: 누운상태에서 발목을 위와 아래로 끌어 잡아당기거나 회전을 한다.
∴무릎펴기 운동: 누운상태에서 5초동안 완전히 펴지도록 유지한다.
∴다리들기 운동: 발 끝에 힘을주고 다리는 펴고 천천히 다리를 들어올려 5초정도 유지한다.
→ 운동시간에 대하여 교육했다.(한번에 10~20번 반복, 하루에 3번 실시)
평가
① 대상자는 침상활동을 유지할 것이고 일상생활활동 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 평가 못함.
② 대상자는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구축없이 기능을 유지할 것이다. → 평가 못함.
날짜: 2022년 2월 27일
간호진단 3) 부동과 관련된 변비
사정
주관적 자료
· “화장실을 못가니 답답허네.”
· “볼 일을 봐야되는데”
객관적 자료
· 복부가 팽만 됨.
· 수술 이후 대변을 보지 않았음.
· 다리 때문에 움직이지 못하고 계속 누워있음.
간호목표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3일 이내 배변 장애 없이 원활히 배변을 볼 수 있을 것이다.
② 대상자는 3일 이내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일 것이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2주일 이내정상적인 대변 양상을 회복 할 것이다.
분류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배변 양상을 사정한다.
(정상적인 장 배설은 하루 3회에서 3일에 한번 까지 정도가 다양함.)
① 변의 상태를 사정하여 배변장애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치료적 계획
1. 고섬유식이 및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2. 부동 상태가 지속될 경우, 소화가 잘 되는 음식 위주로 조금씩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3. 대상자가 원활한 배변을 하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4. 의사에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① 식이요법을 시행하여 변을 묽게 하고 배변활동을 원활히 한다.
② 섬유소와 물을 섭취하여 대변의 양을 늘려주고 부드럽게 해주므로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③ 배변장애는 심리적인 요인도 있으므로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④ 필요시 약물을 투여함에 따라 배변활동을 돕는다.
교육적 계획
1. 규칙적인 배변습관과 식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① 적절한 운동과 positioning을 통해 장운동을 촉진시킨다.
수행
[진단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변의 냄새, 색이나, 경도, 양, 빈도 등을 사정한다. → 매일 배변을 했다면 2~3일 동안, 2~3일에 한번 씩 배변을 해왔다면 5~6일 동안 대변을 보지 못했을 때 사정함.
[치료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흰쌀 보다는 현미, 보리, 콩, 수수, 귀리 등 잡곡을 섭취하게 한다. 과일과 채소는 껍질 째 섭취하고, 두류를 자주 이용하게 한다. 또한 적어도 하루에 1.5~2L의 수분을 섭취하며(8~10컵 이상), 특히 아침에 일어나서 차가운 물을 마셔 장 운동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② 식사에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 및 채소, 과일, 콩류, 견과류의 식품을 사용하며 이때 과일이나 야채는 즙이나 쥬스 상태보다는 생것을 이용하도록 한다.
③ 환자에게 변비는 부동으로 인해 생긴 일시적인 것이므로 편안히 마음을 먹도록 격려한다. → 무리하게 힘을 주면 항문 주위에 상처가 생겨 이차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함.
④ Duphalac SYR을 PRN으로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침상에서 할 수 있는 스트레칭과 적절한 시간에 대해 교육한다.(1일 3번 10~30분간 침상활동을 유지한다)
평가
① 배변양상을 사정한 결과 정상적인 양상을 나타날 것이다.
② 배가 묵직한 것은 없어졌다고 말할 것이다.
Ⅴ. 결론
수술실 실습을 하면서 많은 환자들의 표정을 하나하나씩 쳐다봤다. 상당히 불안해하고 떨고 있었다. 그런 환자들에게 의료진이 잠깐이나마 대화를 함으로써 긴장을 풀게 해주는 모습을 보았다. 이러한 정서적인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 것 같다.
Ⅵ. 참고문헌
* 김금순 외 공저(2018), 「일곱번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 김명희 외 공저(2018), 「성인간호 실무교육 수술환자 간호」, 수문사
* 송경애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 Lilley 외 공저(2018),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주)학지사
* 성미혜 외 공저(201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 www.naver.com
* www.google.co.kr
분류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부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정한다.
2. 피부를 사정한다.
① 영향 요인을 사정하여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② 부동으로 인한 피부자극과 파괴를 예방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1. 수술하지 않은 쪽으로 눕도록 하고 수술한 부위는 처방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2. 재활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며 일상 생활활동(ADL)을 하도록 격려한다.
① 수술 부위의 보철의 탈구를 예방하고 피부와 조직의 압력을 지연시키며 조직의 손상과 허혈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② 근력의 강화와 근육량의 증가는 순환을 촉진시키고 욕창을 예방하며 ADL을 통해 자존감을 높이고 독립심과 조절력을 증가시킨다.
교육적 계획
1. 침범 받지 않는 관절의 ROM 운동을 교육 한다.
① 퇴행성 관절 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경우 활동이 제한되는 동안 관절의 기능이 빨리 감소되기 때문이다.
수행
[진단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부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정했다.( 통증, 다른 부위의 관절염 및 이동에 대한 두려움 등이 있다.)
② 대상자의 피부를 사정했다.(특히 피부의 붉은 부분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치료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처방된 자세를 유지하도록 했다. → 인공관절 치환술시 수술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주며 체위변경 시 수술 받지 않는 부위를 침상과 맞닿게 했다.
② 수술 후 재활 활동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 수술 자체도 중요하지만 관절 유지의 가장 중요한 것은 수술 후 재활활동임을 강조한다. 또한 증상이 없더라도 적어도 1년에 한 번씩은 정기 검진과 방사선 촬영을 하는 것이 인공 관절을 오래 사용할 수 있다고 말함.
[교육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ROM 운동을 교육했다.
(발목과 발목 운동, 무릎펴기 운동, 다리들기 운동등을 교육했다.)
∴발목과 발목운동: 누운상태에서 발목을 위와 아래로 끌어 잡아당기거나 회전을 한다.
∴무릎펴기 운동: 누운상태에서 5초동안 완전히 펴지도록 유지한다.
∴다리들기 운동: 발 끝에 힘을주고 다리는 펴고 천천히 다리를 들어올려 5초정도 유지한다.
→ 운동시간에 대하여 교육했다.(한번에 10~20번 반복, 하루에 3번 실시)
평가
① 대상자는 침상활동을 유지할 것이고 일상생활활동 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 평가 못함.
② 대상자는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구축없이 기능을 유지할 것이다. → 평가 못함.
날짜: 2022년 2월 27일
간호진단 3) 부동과 관련된 변비
사정
주관적 자료
· “화장실을 못가니 답답허네.”
· “볼 일을 봐야되는데”
객관적 자료
· 복부가 팽만 됨.
· 수술 이후 대변을 보지 않았음.
· 다리 때문에 움직이지 못하고 계속 누워있음.
간호목표
<단기목표>
① 대상자는 3일 이내 배변 장애 없이 원활히 배변을 볼 수 있을 것이다.
② 대상자는 3일 이내 정상적인 배변양상을 보일 것이다.
<장기목표>
① 대상자는 2주일 이내정상적인 대변 양상을 회복 할 것이다.
분류
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배변 양상을 사정한다.
(정상적인 장 배설은 하루 3회에서 3일에 한번 까지 정도가 다양함.)
① 변의 상태를 사정하여 배변장애가 어느 정도인지 알 수 있다.
치료적 계획
1. 고섬유식이 및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2. 부동 상태가 지속될 경우, 소화가 잘 되는 음식 위주로 조금씩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3. 대상자가 원활한 배변을 하도록 환경을 제공하고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4. 의사에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① 식이요법을 시행하여 변을 묽게 하고 배변활동을 원활히 한다.
② 섬유소와 물을 섭취하여 대변의 양을 늘려주고 부드럽게 해주므로 수분 섭취를 격려한다.
③ 배변장애는 심리적인 요인도 있으므로 대상자에게 정서적 지지를 해준다.
④ 필요시 약물을 투여함에 따라 배변활동을 돕는다.
교육적 계획
1. 규칙적인 배변습관과 식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① 적절한 운동과 positioning을 통해 장운동을 촉진시킨다.
수행
[진단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변의 냄새, 색이나, 경도, 양, 빈도 등을 사정한다. → 매일 배변을 했다면 2~3일 동안, 2~3일에 한번 씩 배변을 해왔다면 5~6일 동안 대변을 보지 못했을 때 사정함.
[치료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흰쌀 보다는 현미, 보리, 콩, 수수, 귀리 등 잡곡을 섭취하게 한다. 과일과 채소는 껍질 째 섭취하고, 두류를 자주 이용하게 한다. 또한 적어도 하루에 1.5~2L의 수분을 섭취하며(8~10컵 이상), 특히 아침에 일어나서 차가운 물을 마셔 장 운동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② 식사에 미역이나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 및 채소, 과일, 콩류, 견과류의 식품을 사용하며 이때 과일이나 야채는 즙이나 쥬스 상태보다는 생것을 이용하도록 한다.
③ 환자에게 변비는 부동으로 인해 생긴 일시적인 것이므로 편안히 마음을 먹도록 격려한다. → 무리하게 힘을 주면 항문 주위에 상처가 생겨 이차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함.
④ Duphalac SYR을 PRN으로 투여한다.
[교육적 계획에 따른 수행]
① 침상에서 할 수 있는 스트레칭과 적절한 시간에 대해 교육한다.(1일 3번 10~30분간 침상활동을 유지한다)
평가
① 배변양상을 사정한 결과 정상적인 양상을 나타날 것이다.
② 배가 묵직한 것은 없어졌다고 말할 것이다.
Ⅴ. 결론
수술실 실습을 하면서 많은 환자들의 표정을 하나하나씩 쳐다봤다. 상당히 불안해하고 떨고 있었다. 그런 환자들에게 의료진이 잠깐이나마 대화를 함으로써 긴장을 풀게 해주는 모습을 보았다. 이러한 정서적인 마음가짐을 가져야 할 것 같다.
Ⅵ. 참고문헌
* 김금순 외 공저(2018), 「일곱번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 김명희 외 공저(2018), 「성인간호 실무교육 수술환자 간호」, 수문사
* 송경애 외 공저(2018),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 Lilley 외 공저(2018),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주)학지사
* 성미혜 외 공저(201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 www.naver.com
* www.google.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