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행동수정기법의 개념과 기법
2. 행동수정법을 이용한 문제행동 치료의 예
1) 정적강화
2) 부적강화
3) 자기주장훈련
4) 타임아웃
5) 소거
6) 토큰경제법
7) 이완훈련
8) 용암법
참고문헌
2. 행동수정법을 이용한 문제행동 치료의 예
1) 정적강화
2) 부적강화
3) 자기주장훈련
4) 타임아웃
5) 소거
6) 토큰경제법
7) 이완훈련
8) 용암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하는 방법이 있다.
⑧ 둔감법
불안을 일으키는 사물이나 대상에 대해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불안감을 둔화시키는 방법으로 하나는 불안을 일으키는 사물에 대한 불안 야기 순서를 정하여 가장 적게 불안을 일으키는 정도에서 점점 불안 정도가 높은 것에 노출시킴으로써 불안대상을 직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불안을 일으키는 대상과 편안함을 주는 대상을 동시에 제시함으로써 불안한 감정과 편안한 감정이 서로 상쇄되어 불안한 감정이 중성화되면서 점차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2. 행동 수정법을 이용한 문제행동 치료의 예
1) 정적강화
정적강화(positive reinforcement)란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그가 좋아하는 것을 주어 그 행동의 빈도(또는 그 행동이 일어날 확률)가 높아 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일례로 아동이 인사할 때마다 머리를 쓰다듬어 줌으로써 인사하는 행동을 촉발시켰다.
2) 부적강화
어떤 사람이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그가 싫어하는 것을 제거해 주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을 부적강화(negative reinforcement)라고 한다. 즉 부적강화는 어떤 자극이 조건부로 제거되었을 때, 즉 감해졌을 때 반응을 강화하는 모든 자극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숙제를 잘 해오는 학생들에게 화장실청소를 철회시켜 주었더니 숙제를 잘 해 왔다.
3) 자기주장훈련
자신감이 부족하고 열등감이 많은 장애아동이 주장훈련을 통하여 말이나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방식으로 반복훈련 시킨 후에 행동으로 옮기게 함으로써 소극적이고 의존적인 장애아동에게 열등감을 제거하고 자신감을 키워주었다.
4) 타임아웃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감소하기 위해 긍정적 보상을 박탈하는 방법으로 아동이 현재 즐기고 있는 상황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격리시키는 것이다. 벌의 한 형태로서 정적 강화에로의 접근을 일정한 시간동안 차단함으로써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행동수정의 한 방법이다. 사례로 보면 수업시간에 떠드는 아이를 교실에서 내쫓아 복도에 있는 생각하는 의자에 앉혀두었더니 더 이상 수업시간에 떠들지 않았다.
5) 소거
소거는 바람직하지 않는 행동을 중단시키려면 그 행동을 한 후에는 완전히 무시하고 어떤 강화도 받지 못하도록 상황을 조절하는 것이다. 아동이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해 지나치게 불안과 공포행동을 보이는 경우에 그 자아소나 상황에 그냥 있게 하고 아무런 관심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아동이 문제행동을 멈추고 다른 바람직한 행동을 할 때에는 칭찬과 보상으로 관심을 보이면서 집중적으로 강화해서 자신의 불안과 공포행동이 더 이상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하였다.
6) 토큰경제법
우울증이 심한 아동의 경우 아동과 함께 목표행동을 정해 놓고 또래들과 잘 어울리거나 명랑한 표정과 함께 자신감 있는 행동을 할 때마다 그 보상으로 토큰을 하나씩 준다. 처음에는 보상의 시간을 짧게 하다가 점차적으로 시간을 늘려나간다. 모아진 토큰과 증표의 수에 따라 아동이 원하는 것을 보상물로 제공해서 아동의 우울 감정을 해소 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자신의 행동을 적극적으로 강화할 수 있게 하였다.
7) 이완훈련
아동이 주의산만하거나 충동적인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주의를 주고 신체적 근육이완훈련이나 심상훈련을 시킨다. 처음에는 부모나 교사와 함께 강제로 조끔씩 시키고 점차 시간을 늘려나가면서 아동이 혼자서 자신의 부주의와 충동성을 조절해 나갈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해서 훈련하여 증세를 완화할 수 있다.
8) 용암법
틱장애를 가진 아동이 심리적으로 긴장하는 숙제나 공부를 할 때 옆에서 격려하고 보조해 주어서 문제행동이 출현하지 않도록 한다. 처음에는 다 끝마칠 때까지 함께 있어서 틱행동 발생을 지켜보다가 점차적으로 함께하는 시간을 줄여나간다. 이때 아동을 감시하는 태도로 보지 말고 또한 도중에 틱 행동이 발생했을 때에도 질책하거나 심리적으로 위협해서는 안 되며, 조용히 얼굴을 만져주거나 자세를 바로 잡아준다.
참고문헌
심리학 개론, 저자: Daniel L. Schacter, Daniel T. Gilbert, Daniel M. Wegner, Matthew K. Nock 옮긴이/역자: 민경환, 김명선, 김영진, 남기덕, 박창호, 이옥경, 이주일, 이창환, 정경미, 시그마프레스
<보육과정> 파워북 2010 김익균, 구현아, 김경림, 김영희, 윤정란, 장문규, 정혜숙, 채소희
<보육과정> 신광문화사 2010 박유미, 최인숙, 안연경, 홍정선, 김은아
⑧ 둔감법
불안을 일으키는 사물이나 대상에 대해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불안감을 둔화시키는 방법으로 하나는 불안을 일으키는 사물에 대한 불안 야기 순서를 정하여 가장 적게 불안을 일으키는 정도에서 점점 불안 정도가 높은 것에 노출시킴으로써 불안대상을 직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고 또 하나는 불안을 일으키는 대상과 편안함을 주는 대상을 동시에 제시함으로써 불안한 감정과 편안한 감정이 서로 상쇄되어 불안한 감정이 중성화되면서 점차 불안감을 느끼지 않도록 유도하는 방법이다.
2. 행동 수정법을 이용한 문제행동 치료의 예
1) 정적강화
정적강화(positive reinforcement)란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그가 좋아하는 것을 주어 그 행동의 빈도(또는 그 행동이 일어날 확률)가 높아 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일례로 아동이 인사할 때마다 머리를 쓰다듬어 줌으로써 인사하는 행동을 촉발시켰다.
2) 부적강화
어떤 사람이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그가 싫어하는 것을 제거해 주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을 부적강화(negative reinforcement)라고 한다. 즉 부적강화는 어떤 자극이 조건부로 제거되었을 때, 즉 감해졌을 때 반응을 강화하는 모든 자극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숙제를 잘 해오는 학생들에게 화장실청소를 철회시켜 주었더니 숙제를 잘 해 왔다.
3) 자기주장훈련
자신감이 부족하고 열등감이 많은 장애아동이 주장훈련을 통하여 말이나 생각을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방식으로 반복훈련 시킨 후에 행동으로 옮기게 함으로써 소극적이고 의존적인 장애아동에게 열등감을 제거하고 자신감을 키워주었다.
4) 타임아웃
아동의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감소하기 위해 긍정적 보상을 박탈하는 방법으로 아동이 현재 즐기고 있는 상황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격리시키는 것이다. 벌의 한 형태로서 정적 강화에로의 접근을 일정한 시간동안 차단함으로써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행동수정의 한 방법이다. 사례로 보면 수업시간에 떠드는 아이를 교실에서 내쫓아 복도에 있는 생각하는 의자에 앉혀두었더니 더 이상 수업시간에 떠들지 않았다.
5) 소거
소거는 바람직하지 않는 행동을 중단시키려면 그 행동을 한 후에는 완전히 무시하고 어떤 강화도 받지 못하도록 상황을 조절하는 것이다. 아동이 다른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해 지나치게 불안과 공포행동을 보이는 경우에 그 자아소나 상황에 그냥 있게 하고 아무런 관심도 주지 않았다. 그러나 아동이 문제행동을 멈추고 다른 바람직한 행동을 할 때에는 칭찬과 보상으로 관심을 보이면서 집중적으로 강화해서 자신의 불안과 공포행동이 더 이상 사람들의 관심을 끌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하였다.
6) 토큰경제법
우울증이 심한 아동의 경우 아동과 함께 목표행동을 정해 놓고 또래들과 잘 어울리거나 명랑한 표정과 함께 자신감 있는 행동을 할 때마다 그 보상으로 토큰을 하나씩 준다. 처음에는 보상의 시간을 짧게 하다가 점차적으로 시간을 늘려나간다. 모아진 토큰과 증표의 수에 따라 아동이 원하는 것을 보상물로 제공해서 아동의 우울 감정을 해소 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자신의 행동을 적극적으로 강화할 수 있게 하였다.
7) 이완훈련
아동이 주의산만하거나 충동적인 행동이 일어날 때마다 주의를 주고 신체적 근육이완훈련이나 심상훈련을 시킨다. 처음에는 부모나 교사와 함께 강제로 조끔씩 시키고 점차 시간을 늘려나가면서 아동이 혼자서 자신의 부주의와 충동성을 조절해 나갈 수 있을 때까지 반복해서 훈련하여 증세를 완화할 수 있다.
8) 용암법
틱장애를 가진 아동이 심리적으로 긴장하는 숙제나 공부를 할 때 옆에서 격려하고 보조해 주어서 문제행동이 출현하지 않도록 한다. 처음에는 다 끝마칠 때까지 함께 있어서 틱행동 발생을 지켜보다가 점차적으로 함께하는 시간을 줄여나간다. 이때 아동을 감시하는 태도로 보지 말고 또한 도중에 틱 행동이 발생했을 때에도 질책하거나 심리적으로 위협해서는 안 되며, 조용히 얼굴을 만져주거나 자세를 바로 잡아준다.
참고문헌
심리학 개론, 저자: Daniel L. Schacter, Daniel T. Gilbert, Daniel M. Wegner, Matthew K. Nock 옮긴이/역자: 민경환, 김명선, 김영진, 남기덕, 박창호, 이옥경, 이주일, 이창환, 정경미, 시그마프레스
<보육과정> 파워북 2010 김익균, 구현아, 김경림, 김영희, 윤정란, 장문규, 정혜숙, 채소희
<보육과정> 신광문화사 2010 박유미, 최인숙, 안연경, 홍정선, 김은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