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스터디교육 기업 분석 자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가스터디교육 기업 분석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yy)
- 고등학생 사교육 참여율 : 64.6% (+3%p yy)
입시 사교육 수요 강세 전망
- EBS 연계율 축소
- 정시 모집 비중 확대 추세
→ 주요 대학 평균 정시 모집 비율 : 19년도 27% → 22년도 38% → 23년도 40%
→ 이에 따라 수능 고득점을 노리는 재수생 비중도 늘어난 상황
→ 수능교육 사업자 1위인 동사의 실적 레벨업 기대
- 문과, 이과 통합 수능 시행
→ 불확실성 확대로 사교육 업체들에 대한 수요 증가 예상
→ 특히, 수리 영역에 대한 니즈가 더욱 증폭될 것으로 전망
→ 현우진 강사(수리영역 1타 강사)를 보유한 동사가 가장 강력한 수혜
<메가패스>
메가패스 관련 시장 현황 (22년 3월 자료 / 출처 : 한국리서치)
- 주로 수강하는 \'전 과목 패스\' 상품 M/S 1위 (69.1%)
→ 2위 업체인 대성마이맥(21.2%)보다 3.3배 높은 점유율
- \'전 과목 패스\' 상품 유료 수강률 1위
→ 업계에서 유일한 플러스 상승 기록 (+16.9% yy)
고등 부문의 \'메가패스\' 누적 결제 금액 (21.10~22.01) : +30% (YoY)
고3/N수 \'메가패스\' 구매자의 \'평균 교재 구매 금액\' : 58만원
교재 매출 성장률 (21년도 상반기 기준) : +112% (YoY)
계속되는 \'메가패스\' 단가인상 흐름 : 연 6~7% 수준
→ 최근, 고3뿐만 아니라 고1/고2도 메가패스 상품 구매 보편화
→ 약학대학 등 자연계열 모집 인원 증가로 N수생 유입 증가
→ 프리미엄 제품군 수요 증대로 실질적 가격 인상 효과는 더욱 클 전망
향후 \'메가패스\' 상품 전망
- 전과목에 걸친 스타 강사 라인업 → 수강생들의 \'메가패스\' 구독 니즈 유지 예상
- \'메가패스\' 판매량 증가 → 스타 강사들이 메가스터디 플랫폼에 락인되는 효과 발생
- \'메가패스\' 환급제도에서 적용되는 대학 / 환급률 감소 → 수익성 개선


<초중등사업부>
초,중등 교과 과정 기간 : 총 9년
→ 고등부 대비 전체 인구수가 약 3배 많은 상황
→ 또한, 해당 사업부의 경우 아직까지 온라인 침투율이 낮은 상황
→ 미래 성장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

초,중등부 실적(1Q22)
- 매출액 : 590억 원 (+30.1% YoY)
- 영업이익 : 66억 원 (+50.3% YoY)
초등부(\'엘리하이\') - 성장률이 가장 높은 사업부
- 서비스 6개월만에 판매액 100억 원 돌파
- 2년만에 회원수 10배 증가
- M/S : 19년도 5% → 22년도 20%
→ 후발주자임에도 빠른 점유율 상승 기록
초등생 교육 시장 현황 (21년도 기준 / 출처 : 통계청)
- 초등생 사교육비 시장 규모 : 10조 5천억원 (+28.3% yy)
- 초등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 32만 8천원 (+39.4% yy)
- 초등생 사교육 참여율 : 82% (+12.3%p yy)
중등(\'엠베스트\')
- 3년간 연평균 38% 성장세 기록 (매출액 기준)
- M/S : 19년도 56% → 22년도 75%
→ 압도적 1위 사업자로 과점 지위 형성
중등생 교육 시장 현황 (21년도 기준 / 출처 : 통계청)
- 중등생 사교육비 시장 규모 : 6조 3천억원 (+17.7% yy)
- 중등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 32만 8천원 (+14.6% yy)
- 중등생 사교육 참여율 : 73.1% (+5.9%p yy)
<일반 성인사업부 (편입, 공무원)>
일반 성인사업부 매출 (최근 3년간)
- 19년도 607억원 → 20년도 752억원 → 21년도 1,084억원
- 1Q22 매출액 : 248억 원 (+21% YoY)
일반 성인사업부 영업이익 (1Q22)
- 편입 부문 : 4억 원 영업손실
- 공무원 부문 : 61억 원 영업손실
→ 온라인 매출 고성장 (1Q21 : +150% YoY)에 따른 마진율 개선 고무적
→ 23년도 상반기 내 BEP 달성 가능할 것으로 추정
→ 향후, 코딩교육 / 간호교육 등 새로운 포트폴리오 구축 전망
편입(\'김영편입\') 부문
- 아이비김영 인수를 통해 편입학 시장 1위 등극
공무원(\'메가공무원\') 부문
- 최근 2년간 연평균 매출 성장률 : 70% 상회
- M/S : 21년도 6% → 22년도 18%
→ 사업 개시 5년차임을 감안시, 높은 침투율
2022년도 공무원 시험 개편 → 공무원 시장의 판도를 흔들 수 있는 기회
- 고교선택과목 폐지
- 행정학 비중 급증 (85% 의무응시)
→ 동사는 선제적으로 행정학 분야의 스타 강사 영입
→ 행정학 교재 부문의 강자인 \'위메스\' 인수합병


<학령인구 감소에 대한 과도한 우려>
- 21년도 수능을 응시한 03년도 출생자 수 : 약 49만 명
- 30년도 수능을 응시한 12년도 출생자 수 : 약 48만 명
→ 향후 10년간 학령인구 변동성은 10% 내외
- 최근 3년간 Flow
→ 학령인구 : 7.3% 감소 (59만 2000명)
→ 동사 연결기준 매출 : 61% 증가 (2,666억 원)

P(\'메가패스\' 수강료)는 연평균 7%씩 성장 중 → Q(학령인구 감소) 변동성 일부 상쇄 가능
초중등 / 일반 성인 대상 온라인 교육 사업 공격적 확장 → 오히려, 고객 수 순 증가세
작년, 폐업한 \'스카이에듀\' 일부 수요 확보 → 향후, 중소형 교육업체들 수요 흡수 기회 존재
업계에서 가장 다양한 교육 포트폴리오 보유 / 자금여력 우수
<1Q22 연결 실적>
매출액(1Q) : 2,161억원 (+25.5% YoY)
영업이익(1Q) : 255억원 (+98.1% YoY) → OPM : 11.8%
당기순이익(1Q) : 195억 원 (+80.6% YoY)
→ 5분기 연속 어닝서프라이즈 달성
→ 초/중/고/대학, 취업 등 전 사업 부문에서 20% 이상 매출 성장 기록
→ 강사료 비중 꾸준한 하락세 : 19년도 21.6% → 20년도 20.0% → 21년도 19.5%

<밸류에이션>
- 2022E EPS : 9,885원 (상상인증권 / NH투자증권 / 교보증권 3사 추정 EPS 평균값)
- Target PER : 13 (Peer group인 일본 교육업체 12개월 선행 PER에 50% 할인된 수치)
- 목표주가(원) : 128,000원 (백단위 절하)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2.06.14
  • 저작시기202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07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