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성공하는 것은 아님
* 포식동물의 행동: 매번 사냥에 성공하는 것은 아님.
* VR 희롱
간격계획
고정간격
FI
강화받기 전 경과하는 시간 간격은 동일함.
FI60초 : 반응이 다시 강화되기 위해 강화 후 60초 경과.
고정간격 부채꼴(FI scallop) 강화직후에는 낮은 비율로 반응하지만, 이 비율이 꾸준히 증가되고 다음 강화가 있기 바로 직전에 최고에 이른다.(순환됨)
예)
* 자연환경에서는 찾기가 힘듦.
* 인간의 경우 많음(시계를 보고 산다)
- 고정간격으로 시험 치름.
:시험직후 공부x, 서서히, 전날 벼락공부
- 버스기다리기, 고구마 삶기.
변동간격
VI
강화받기 전 경과하는 시간 간격이 변화함.
VI60초 : 평균 60초 (간격이 5초, 2분이 될수도 있음
강화가 어떤 시점에서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남 (직선)
예)
* 사장이 순회(불규칙하게)하는 바로 그 순간에 열심히 일하는 사람에게 보너스? 꾸준히 일함.
* 표범(사냥꾼)의 매복: 언제 먹이가 나타날지 모름
관련하여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은 비행이나 범죄의 조응성 분석에 많이 적용되는 이론으로(Bandura, 1977) 사람은 어떤 행동에 직접적으로 연루되지 않고도 관찰을 통해 그 행동을 배우거나 모방하게 된다는 것을 기본가정으로 한다(Kovaric, 1980; Amir Abbassi & S. Dean Aslinia: 19-20에서 재인용). 사람들은 자신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인이나 집단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의 행동을 평가하도록 학습된다는 것으로, 학습과정을 차별적 접촉과 차별적 강화, 정의와 모방의 4가지 개념으로 설명한다(Akers, 1985). 여기서 차별적 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란 행동 후에 기대되거나 혹은 실제로 일어나는 보상과 벌의 균형을 말하며(Akers, 1985) 개인이 특정 행동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는, 행동에 따르는 과거, 현재, 그리고 기대되는 보상과 벌에 달려있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모방이란, 다른 사람이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을 보고 그 행동을 하는 것(정효진 김왕식, 2000 ) 혹은 타인의 비슷한 행동을 기반삼아 그 행동을 목격한 이후에 행하는 행동을 말한다(황성현, 2012).
참고문헌
보육과정 김연진 외 3명 태영출판사 Page 187~197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 포식동물의 행동: 매번 사냥에 성공하는 것은 아님.
* VR 희롱
간격계획
고정간격
FI
강화받기 전 경과하는 시간 간격은 동일함.
FI60초 : 반응이 다시 강화되기 위해 강화 후 60초 경과.
고정간격 부채꼴(FI scallop) 강화직후에는 낮은 비율로 반응하지만, 이 비율이 꾸준히 증가되고 다음 강화가 있기 바로 직전에 최고에 이른다.(순환됨)
예)
* 자연환경에서는 찾기가 힘듦.
* 인간의 경우 많음(시계를 보고 산다)
- 고정간격으로 시험 치름.
:시험직후 공부x, 서서히, 전날 벼락공부
- 버스기다리기, 고구마 삶기.
변동간격
VI
강화받기 전 경과하는 시간 간격이 변화함.
VI60초 : 평균 60초 (간격이 5초, 2분이 될수도 있음
강화가 어떤 시점에서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에 걸쳐 일관되게 나타남 (직선)
예)
* 사장이 순회(불규칙하게)하는 바로 그 순간에 열심히 일하는 사람에게 보너스? 꾸준히 일함.
* 표범(사냥꾼)의 매복: 언제 먹이가 나타날지 모름
관련하여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은 비행이나 범죄의 조응성 분석에 많이 적용되는 이론으로(Bandura, 1977) 사람은 어떤 행동에 직접적으로 연루되지 않고도 관찰을 통해 그 행동을 배우거나 모방하게 된다는 것을 기본가정으로 한다(Kovaric, 1980; Amir Abbassi & S. Dean Aslinia: 19-20에서 재인용). 사람들은 자신에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타인이나 집단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스로의 행동을 평가하도록 학습된다는 것으로, 학습과정을 차별적 접촉과 차별적 강화, 정의와 모방의 4가지 개념으로 설명한다(Akers, 1985). 여기서 차별적 강화(differential reinforcement)란 행동 후에 기대되거나 혹은 실제로 일어나는 보상과 벌의 균형을 말하며(Akers, 1985) 개인이 특정 행동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는, 행동에 따르는 과거, 현재, 그리고 기대되는 보상과 벌에 달려있다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모방이란, 다른 사람이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을 보고 그 행동을 하는 것(정효진 김왕식, 2000 ) 혹은 타인의 비슷한 행동을 기반삼아 그 행동을 목격한 이후에 행하는 행동을 말한다(황성현, 2012).
참고문헌
보육과정 김연진 외 3명 태영출판사 Page 187~197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추천자료
스키너 : 자신이 누군가의 표적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실제 사용해본 적 있는 강화계획을 작...
(교육심리학 공통) 2.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교육심리학]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
[행동주의이론]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조작적 조건화, 강화와 처벌, 강화계...
[교육심리학] 1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계속적 ...
(A+학점) ‘강화계획’은 어떤 표적행동을 강화시키기 위한 계획을 의미하는 것으로, 연속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