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A new resource for conflict management
02. The relation of conflict strategies to a society’s calues and organizational theories
03. Readiness for improving conflict management
04. Inadequacies in prevailing methods for coping with conflict
05. The effectiveness of System 4T
06. The role of supportive behavior in System 4 leadership
07. The role of system 4 leadership in problem solving
08. Intergrative goals and consensus in problem solving
09. Deemphasizing status and Depersonalizing problem solving(지위를 낮추는 것과 문제 해결의 객관화)
10. The structure of the System 4 interaction-influence network: Linked multiple overlapping groups
...
02. The relation of conflict strategies to a society’s calues and organizational theories
03. Readiness for improving conflict management
04. Inadequacies in prevailing methods for coping with conflict
05. The effectiveness of System 4T
06. The role of supportive behavior in System 4 leadership
07. The role of system 4 leadership in problem solving
08. Intergrative goals and consensus in problem solving
09. Deemphasizing status and Depersonalizing problem solving(지위를 낮추는 것과 문제 해결의 객관화)
10. The structure of the System 4 interaction-influence network: Linked multiple overlapping groups
...
본문내용
거의 해결되지 못했고, 그동안 무기사용 등으로 인해 모든 인류는 갈등을 더 심각하게 겪고있다.
▶The label does not matter
시스템 4T 적용할 때, 라벨(이름)은 중요치 않으며, 필요한 것은 문제해결과 상호작용-영향 과정인데, 이를 우리가 편하게 부르기 위해 시스템4T라 명명한다.
---------------------------------------------------------
17. Looking to the future
요약 : 물리·생물학은 갈등을 증대시키는 사회를 촉진하였고, 한편 현재의 윈-로즈 접근법은 이를 해결하지 못하니, 대규모 접근법을 통해 국가를 연결하고, 사회과학연구에 투자해 시스템4 네트워크를 사회 전면에 작용하자.
우리가 물리학과 생물학에 투자함으로써 인류는 많은 이점을 얻은 동시에 이로써 인류는 파괴할 수 있는 자원과 개발을 이룩했다. (예: 핵폭탄, 미사일, 생태학 무기, 신경가스, 공기·물의 오염)
- 이런 강력한 무기와 힘을 만들었으나, 이를 통제할 사회적인 시스템과 국제적인 문제해결 자원이 없다.
미국 등의 사회과학 연구의 지원은 너무 적어 물리학·생물학 분야에 비견되는 발전을 이루지 못했고, 여전히 우리의 연구와 개발에 대한 비용은 불균형하다.
물리학과 생물학 연구에 많이 투자하는 것은 더 복잡하고 독립적인 사회와 증대된 갈등을 생산한다.
증가하는 문제에 대해 “세계 물 공급 위협”(1972.2. 국제개발조사)기사가 논했다.
우리는 문제를 해결할 기술 자원이 있으나, 모든 국가와 각 국가가 기꺼이 실행할 윈-윈에 도달할 구조와 문제해결 메커니즘, 협력적인 해결책이 부족하다.
현존하는 문제해결은 전형적인 경쟁 윈-로즈(zerosum)로 한 국가의 이득이 다른 국가의 손실이 된다.
윈-로즈 경쟁적 문제해결은 물부족과 같은 문제에 대해 세계적으로 협력적인 협동을 하지 못하게 한다.
. James Restone(1974.3.20)의 칼럼을 보자.
독일 재무장관 슈미트는 세계경제가 최근의 호황에도 불구하고 불안정의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 선진국 사이에 분열이 일어나는 것에 우울해한다. 그는 대부분이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고 공동의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협력 계획을 회피하는 등의 투쟁을 펼치고 있다고 본다.
“국가들은 다가올 문제의 크기, 세계 상품을 분배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현재의 시스템의 취약성을 잘못 판단하고 있다. 유가 투쟁은 내일 다른 수입 원재료의 가격을 둘러싼 비슷한 투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1970년대 오일쇼크
위태로운 것은 세계 경제의 평화와 세계국가의 번영이기 때문에 이 위험한 싸움에서 이기려면 정치적으로 건전한 철학 시스템4를 암시함.
이 필요하다.“
이 같은 상황은 세계적으로 조정된 해결책을 요구하는 많은 다른 문제에도 적용된다. 대기오염, 식량난, 원자재와 광물 부족, 에너지 위기, 인구과잉은 윈로즈 방식으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윈루즈 방식은 일정 기간 문제를 억제할 수 있지만 이는 증오와 공포가 증가하는 교착 상태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갈등을 악화시키고 심화시킬 뿐 해결하지는 못한다. 즉, 분쟁에 관련된 모든 이가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산출하는 문제해결 방법이 필요하다.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심각한 문제에 대한 합의를 달성할 수 있는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 보다 효과적인 기관을 발견하고 운영하기 위한 연구와 응용 노력이 시급하다. 기존 시스템에 비해 시스템 4T의 두드러진 우위는 우리의 사회 기관을 건설하고 운영하는 훨씬 더 강력한 모델이 연구를 통해 발견되고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이 원자폭탄이 필요하다고 결정했을 때, 그것을 만들기 위해 연구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 부었고, 몇 년 안에 그것을 갖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10년 안에 사람을 달에 착륙시키기로 한 결정이 내려지자 NASA는 수백억 달러를 연구 개발 하드웨어 제작 인력 양성 등에 투자하였다.
이러한 대규모 접근법은 국제 분쟁을 건설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국가 간 및 국가 내 상호 작용-영향 네트워크 구축을 가속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한 네트워크의 특성과 국가 내에서 그리고 그들 사이에서 이러한 더 나은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연구 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및 국제기구에서 요구되는 훨씬 더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사용하도록 관련자들을 훈련할 수 있는 대규모 훈련 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네트워크와 기술은 국가 차원에서 큰 가치가 있을 것이고, 그것을 소유한 국가들은 산업 생산, 교육, 의료, 그리고 정부와 같은 모든 활동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및 행동 프로그램에 필요한 총액은 미국과 같은 단일 국가 또는 직접 또는 유엔을 통해 활동하는 국가의 컨소시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사업에 자금을 대는 국가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단일 국가가 아니기에 민족주의적 저항을 줄일 가능성이 있다.
항구적인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서, 일부 국가들은 연간 국방 예산에 투입한 상당의 액수를 이 연구와 행동 프로그램에 써야 할지도 모른다. (참고로 미국의 국방 예산은 1974년에 800억 달러였다.)
초기엔 훈련된 연구원과 행동요원이 부족하겠지만, 필요한 연구와 행동 능력을 갖춘 인력이 늘어나면 그에 따라 지출 비율을 높여야 한다.
NASA의 경우와 같이, 연구 개발 노력과 조치 단계의 행정은 이러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완전히 유능한 사람들에 의해 처리되어야 한다. 그 사업은 매우 유능한 행정을 보장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자금과 조직화 되어야 한다.
미국과 다른 나라들은 물리학과 생물학에 막대한 돈을 쓰고 있고 앞으로도 그렇게 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개발로 얻은 지식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갈등과 문제를 많이 일으키고 있다. 우리는 지금 우리의 심각한 사회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만들기 위해 사회과학에 동등하거나 더 많은 금액을 지출하는 결정에 직면해 있다.
우리는 분명히 그렇게 할 필요가 있다.
▶The label does not matter
시스템 4T 적용할 때, 라벨(이름)은 중요치 않으며, 필요한 것은 문제해결과 상호작용-영향 과정인데, 이를 우리가 편하게 부르기 위해 시스템4T라 명명한다.
---------------------------------------------------------
17. Looking to the future
요약 : 물리·생물학은 갈등을 증대시키는 사회를 촉진하였고, 한편 현재의 윈-로즈 접근법은 이를 해결하지 못하니, 대규모 접근법을 통해 국가를 연결하고, 사회과학연구에 투자해 시스템4 네트워크를 사회 전면에 작용하자.
우리가 물리학과 생물학에 투자함으로써 인류는 많은 이점을 얻은 동시에 이로써 인류는 파괴할 수 있는 자원과 개발을 이룩했다. (예: 핵폭탄, 미사일, 생태학 무기, 신경가스, 공기·물의 오염)
- 이런 강력한 무기와 힘을 만들었으나, 이를 통제할 사회적인 시스템과 국제적인 문제해결 자원이 없다.
미국 등의 사회과학 연구의 지원은 너무 적어 물리학·생물학 분야에 비견되는 발전을 이루지 못했고, 여전히 우리의 연구와 개발에 대한 비용은 불균형하다.
물리학과 생물학 연구에 많이 투자하는 것은 더 복잡하고 독립적인 사회와 증대된 갈등을 생산한다.
증가하는 문제에 대해 “세계 물 공급 위협”(1972.2. 국제개발조사)기사가 논했다.
우리는 문제를 해결할 기술 자원이 있으나, 모든 국가와 각 국가가 기꺼이 실행할 윈-윈에 도달할 구조와 문제해결 메커니즘, 협력적인 해결책이 부족하다.
현존하는 문제해결은 전형적인 경쟁 윈-로즈(zerosum)로 한 국가의 이득이 다른 국가의 손실이 된다.
윈-로즈 경쟁적 문제해결은 물부족과 같은 문제에 대해 세계적으로 협력적인 협동을 하지 못하게 한다.
. James Restone(1974.3.20)의 칼럼을 보자.
독일 재무장관 슈미트는 세계경제가 최근의 호황에도 불구하고 불안정의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 시점에 선진국 사이에 분열이 일어나는 것에 우울해한다. 그는 대부분이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고 공동의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협력 계획을 회피하는 등의 투쟁을 펼치고 있다고 본다.
“국가들은 다가올 문제의 크기, 세계 상품을 분배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현재의 시스템의 취약성을 잘못 판단하고 있다. 유가 투쟁은 내일 다른 수입 원재료의 가격을 둘러싼 비슷한 투쟁으로 이어질 수 있다. 1970년대 오일쇼크
위태로운 것은 세계 경제의 평화와 세계국가의 번영이기 때문에 이 위험한 싸움에서 이기려면 정치적으로 건전한 철학 시스템4를 암시함.
이 필요하다.“
이 같은 상황은 세계적으로 조정된 해결책을 요구하는 많은 다른 문제에도 적용된다. 대기오염, 식량난, 원자재와 광물 부족, 에너지 위기, 인구과잉은 윈로즈 방식으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윈루즈 방식은 일정 기간 문제를 억제할 수 있지만 이는 증오와 공포가 증가하는 교착 상태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갈등을 악화시키고 심화시킬 뿐 해결하지는 못한다. 즉, 분쟁에 관련된 모든 이가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산출하는 문제해결 방법이 필요하다.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심각한 문제에 대한 합의를 달성할 수 있는 국가 및 국제 수준에서 보다 효과적인 기관을 발견하고 운영하기 위한 연구와 응용 노력이 시급하다. 기존 시스템에 비해 시스템 4T의 두드러진 우위는 우리의 사회 기관을 건설하고 운영하는 훨씬 더 강력한 모델이 연구를 통해 발견되고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이 원자폭탄이 필요하다고 결정했을 때, 그것을 만들기 위해 연구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 부었고, 몇 년 안에 그것을 갖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10년 안에 사람을 달에 착륙시키기로 한 결정이 내려지자 NASA는 수백억 달러를 연구 개발 하드웨어 제작 인력 양성 등에 투자하였다.
이러한 대규모 접근법은 국제 분쟁을 건설적으로 해결하는 데 필요한 국가 간 및 국가 내 상호 작용-영향 네트워크 구축을 가속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필요한 네트워크의 특성과 국가 내에서 그리고 그들 사이에서 이러한 더 나은 네트워크로 이동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연구 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및 국제기구에서 요구되는 훨씬 더 효과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사용하도록 관련자들을 훈련할 수 있는 대규모 훈련 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네트워크와 기술은 국가 차원에서 큰 가치가 있을 것이고, 그것을 소유한 국가들은 산업 생산, 교육, 의료, 그리고 정부와 같은 모든 활동을 훨씬 더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및 행동 프로그램에 필요한 총액은 미국과 같은 단일 국가 또는 직접 또는 유엔을 통해 활동하는 국가의 컨소시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사업에 자금을 대는 국가들로 구성된 컨소시엄은 단일 국가가 아니기에 민족주의적 저항을 줄일 가능성이 있다.
항구적인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서, 일부 국가들은 연간 국방 예산에 투입한 상당의 액수를 이 연구와 행동 프로그램에 써야 할지도 모른다. (참고로 미국의 국방 예산은 1974년에 800억 달러였다.)
초기엔 훈련된 연구원과 행동요원이 부족하겠지만, 필요한 연구와 행동 능력을 갖춘 인력이 늘어나면 그에 따라 지출 비율을 높여야 한다.
NASA의 경우와 같이, 연구 개발 노력과 조치 단계의 행정은 이러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완전히 유능한 사람들에 의해 처리되어야 한다. 그 사업은 매우 유능한 행정을 보장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자금과 조직화 되어야 한다.
미국과 다른 나라들은 물리학과 생물학에 막대한 돈을 쓰고 있고 앞으로도 그렇게 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개발로 얻은 지식은 세계에서 가장 심각한 갈등과 문제를 많이 일으키고 있다. 우리는 지금 우리의 심각한 사회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자원을 만들기 위해 사회과학에 동등하거나 더 많은 금액을 지출하는 결정에 직면해 있다.
우리는 분명히 그렇게 할 필요가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