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문헌고찰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징후
치료(수술포함)
간호
2. 간호 사정
일반적 사항
현병력
과거력
현재 건강상태
3. 검사
4. 약물치료
Ⅱ. 본론
1.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1. 문헌고찰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징후
치료(수술포함)
간호
2. 간호 사정
일반적 사항
현병력
과거력
현재 건강상태
3. 검사
4. 약물치료
Ⅱ. 본론
1.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RP 수치를 모니터한다.
감염 징후,증상을 관찰한다.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2) 처방수행
처방받은 항생제을 정확히 투여한다.
(Fucidin Oint 10g 도포)
드레싱 교환을 하고 무균술을 유지하여
관리한다.
3) 교육
보호자에게 대장자와 접촉 전, 후 손을 씻고
대상자에게도 손씻기를 교육한다.
- Vital sign 측정은 가장 기본적인 대상자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척도이다.
정상 수치의 이상의 CRP의 상승은 대상자의
감염의 지표이다.
감염 증상으로 압통, 피부발적, 삼출액,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피부상태 사정은 피부 통합성 유지의 기본적
토대가 된다.
- 항생제는 균에 작용하여, 세균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작용을 한다.
무균법의 사용은 병원균의 전파 및
전염기회를 줄인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신체적 부위의 접촉을
통해 표면에 있는 병원균의 감염을 퍼뜨릴 수 있다. 손씻기는 이러한 위험요소를 낮춰준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대상자의 V/S을 측정함.
05/03
08:55
10:47
12:47
15:05
혈압
142/83
147/80
174/98
136/85
체온
36.7
36.8
36.6
36.6
맥박
51
48
47
52
호흡수(회/min)
18
18
18
18
2. CRP의 수치를 모니터링 함.
일시
항목
정상범위
결과
2022-05-30
C- reactive protein C
0. ~ 5
(mg/dL)
▲ 10.39 mg/dL
3. 감염 증상과 징후인 발열, 상처부위 발적, 종창을 확인함
발적 관찰
4.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함
5. 처방받은 항생제를 정확하게 투여하고 드레싱 교환을 시행함
- Fucidin Oint 10g 도포함
- Flumarin inj
수술부위 드레싱 교환 시행
6. 대상자 침상에 손소독제를 배치하여 자주 사용할 것을 교육하였고, 화장실 사용 후 꼭 물과 비누를 이용하여 손 씻을 것을 교육함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외래병동이라 CRP 모니터링을 잘 못함. (단기목표 달성실패)
퇴원 시 수술 후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 없었음. (장기목표 달성)
#3.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
주관적 자료
“통증이 너무 심해서 힘들어.”
“나 나을 수 있는 건 맞아 간호사?”
객관적 자료
불안한 표정을 지으면서 자꾸 두리번 거림
Beck 불안척도 검사 결과 24점 check
(22~26점: 불안, 27~31점: 심한 불안 상태 32점: 극심한 불안)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불안
간호계획 (Nursing plan)
단기목표: 대상자는 6시간 이내에 불안 척도 점수가 22점 미만이 될 것이다.
장기목표: 퇴원 시 까지, 대상자는 수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고 괜찮아졌다고 말할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사정
대상자의 불안 수준을 사정한다.
(공포와 불안의 증후, 증상 사정)
2) 처방수행
대상자에게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환자와 함께 있어주며 침착하고 일관성 있게 신뢰감 주는 태도를 유지한다.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3) 교육
대상자가 현재의 감정에 대한 대처기술,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 불안의 사정하는 척도를 이용하여 환자의
불안의 정도를 알 수 있다.
수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은 환자의 수술
에 대한 불안을 어느정도 감소 시켜 줄 수 있다.
환자가 불안을 느낄 때 같이 있어 주는 것으
로도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불안은 자극적인 환경에서 증가한다.
불안해하는 환자의 경우 주의를 분산시키고 이완시키며 인지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불안을 줄일 수 있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의 불안의 원인과 정도를 사정함.
대상자에게 불안의 이류, 정도를 표현하도록 하고 사정함.
BECK의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정도 총 24점으로 불안상태인 것을 알 수 있음.
2. 대상자에게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과학적 지식을 제공
흡입마취를 하여 수술진행
3. 대상자와 함께 있어주면서 신뢰감을 주는 태도로 대상자를 대함.
보호자가 계시지 않을 때나 수술 가기 전 준비하기 까지 환자 곁에 있어주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신뢰감을 형성
4.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
5. 대상자에게 현재의 감정에 대한 대처기술, 이완요법을 교육시킴심호흡
가장 기본적인 기술로 폐에서 가능한 한 많은 산소를 받아들일 때 긴장을 풀어지면 불안감 감소, 우울, 불안정, 근육긴장, 피로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하루 3~4회 씩 또는 긴장되었다고 느껴질 때마다 5~10분 동안 심호흡한다.
자기암시법
현실에서 이상적인 자아를 만들어 그 자아와 상담하여 사건을 해결하는 것으로, “나는 오늘 일이 잘 풀릴 것이다.” 라는 자기암시를 통해 하루에 대한 효능을 올리는 것
명상요법
조용한 장소에서 편안한 자세를 취하고, 하나의 대상 또는 깊이를 생각하고 싶은 것을 선택하게 하여 하루 10~15분씩 주의를 집중한다.
심상법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반응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상상을 사용한다.
.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 중재 후 대상자의 Beck 불안척도 검사 결과 22점 미만 check. (단기목표 달성)
- 퇴원 시에 대상자는 전보다 많이 나아졌다고 말함. (장기목표 달성)
Ⅲ.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상권(7판). 현문사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하권(7판). 현문사
성미혜 외(2013).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kdca.go.kr/)
경희대학교 건강센터 - (http://healthsc.khu.ac.kr/)
네이버 건강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MSD 매뉴얼 - (https://www.msdmanuals.com/ko-kr)
기본간호학Ⅱ (양선희) 현문사, 2020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retrived 09.24
감염 징후,증상을 관찰한다.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한다
2) 처방수행
처방받은 항생제을 정확히 투여한다.
(Fucidin Oint 10g 도포)
드레싱 교환을 하고 무균술을 유지하여
관리한다.
3) 교육
보호자에게 대장자와 접촉 전, 후 손을 씻고
대상자에게도 손씻기를 교육한다.
- Vital sign 측정은 가장 기본적인 대상자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척도이다.
정상 수치의 이상의 CRP의 상승은 대상자의
감염의 지표이다.
감염 증상으로 압통, 피부발적, 삼출액, 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피부상태 사정은 피부 통합성 유지의 기본적
토대가 된다.
- 항생제는 균에 작용하여, 세균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작용을 한다.
무균법의 사용은 병원균의 전파 및
전염기회를 줄인다.
대상자와 보호자는 신체적 부위의 접촉을
통해 표면에 있는 병원균의 감염을 퍼뜨릴 수 있다. 손씻기는 이러한 위험요소를 낮춰준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대상자의 V/S을 측정함.
05/03
08:55
10:47
12:47
15:05
혈압
142/83
147/80
174/98
136/85
체온
36.7
36.8
36.6
36.6
맥박
51
48
47
52
호흡수(회/min)
18
18
18
18
2. CRP의 수치를 모니터링 함.
일시
항목
정상범위
결과
2022-05-30
C- reactive protein C
0. ~ 5
(mg/dL)
▲ 10.39 mg/dL
3. 감염 증상과 징후인 발열, 상처부위 발적, 종창을 확인함
발적 관찰
4. 대상자의 피부상태를 사정함
5. 처방받은 항생제를 정확하게 투여하고 드레싱 교환을 시행함
- Fucidin Oint 10g 도포함
- Flumarin inj
수술부위 드레싱 교환 시행
6. 대상자 침상에 손소독제를 배치하여 자주 사용할 것을 교육하였고, 화장실 사용 후 꼭 물과 비누를 이용하여 손 씻을 것을 교육함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외래병동이라 CRP 모니터링을 잘 못함. (단기목표 달성실패)
퇴원 시 수술 후 감염으로 인한 합병증 없었음. (장기목표 달성)
#3.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불안
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
주관적 자료
“통증이 너무 심해서 힘들어.”
“나 나을 수 있는 건 맞아 간호사?”
객관적 자료
불안한 표정을 지으면서 자꾸 두리번 거림
Beck 불안척도 검사 결과 24점 check
(22~26점: 불안, 27~31점: 심한 불안 상태 32점: 극심한 불안)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불안
간호계획 (Nursing plan)
단기목표: 대상자는 6시간 이내에 불안 척도 점수가 22점 미만이 될 것이다.
장기목표: 퇴원 시 까지, 대상자는 수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고 괜찮아졌다고 말할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사정
대상자의 불안 수준을 사정한다.
(공포와 불안의 증후, 증상 사정)
2) 처방수행
대상자에게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환자와 함께 있어주며 침착하고 일관성 있게 신뢰감 주는 태도를 유지한다.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
3) 교육
대상자가 현재의 감정에 대한 대처기술,
이완요법을 교육한다.
- 불안의 사정하는 척도를 이용하여 환자의
불안의 정도를 알 수 있다.
수술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은 환자의 수술
에 대한 불안을 어느정도 감소 시켜 줄 수 있다.
환자가 불안을 느낄 때 같이 있어 주는 것으
로도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불안은 자극적인 환경에서 증가한다.
불안해하는 환자의 경우 주의를 분산시키고 이완시키며 인지를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불안을 줄일 수 있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1. 대상자의 불안의 원인과 정도를 사정함.
대상자에게 불안의 이류, 정도를 표현하도록 하고 사정함.
BECK의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정도 총 24점으로 불안상태인 것을 알 수 있음.
2. 대상자에게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과학적 지식을 제공
흡입마취를 하여 수술진행
3. 대상자와 함께 있어주면서 신뢰감을 주는 태도로 대상자를 대함.
보호자가 계시지 않을 때나 수술 가기 전 준비하기 까지 환자 곁에 있어주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여 신뢰감을 형성
4.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
5. 대상자에게 현재의 감정에 대한 대처기술, 이완요법을 교육시킴심호흡
가장 기본적인 기술로 폐에서 가능한 한 많은 산소를 받아들일 때 긴장을 풀어지면 불안감 감소, 우울, 불안정, 근육긴장, 피로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하루 3~4회 씩 또는 긴장되었다고 느껴질 때마다 5~10분 동안 심호흡한다.
자기암시법
현실에서 이상적인 자아를 만들어 그 자아와 상담하여 사건을 해결하는 것으로, “나는 오늘 일이 잘 풀릴 것이다.” 라는 자기암시를 통해 하루에 대한 효능을 올리는 것
명상요법
조용한 장소에서 편안한 자세를 취하고, 하나의 대상 또는 깊이를 생각하고 싶은 것을 선택하게 하여 하루 10~15분씩 주의를 집중한다.
심상법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반응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상상을 사용한다.
.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 중재 후 대상자의 Beck 불안척도 검사 결과 22점 미만 check. (단기목표 달성)
- 퇴원 시에 대상자는 전보다 많이 나아졌다고 말함. (장기목표 달성)
Ⅲ.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상권(7판). 현문사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하권(7판). 현문사
성미혜 외(2013).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https://health.kdca.go.kr/)
경희대학교 건강센터 - (http://healthsc.khu.ac.kr/)
네이버 건강백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MSD 매뉴얼 - (https://www.msdmanuals.com/ko-kr)
기본간호학Ⅱ (양선희) 현문사, 2020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retrived 09.24
추천자료
[간호실습] 급성 췌장염 케이스 Acute pancreatitis case study
[성인간호학] 결장암 케이스 스터디 (colon cancer case study) 간호과정
자연분만 case [산부인과 실습 자연분만 컨퍼런스 문헌고찰 / 과거력 / 약물 /간호진단등]
골절 케이스
모성 자연분만 케이스 A+ 받았습니다. 간호과정, 간호진단 5개
모성간호실습 케이스 자연분만 간호과정 간호진단
Facial Injury 간호과정 case study
a+++ 꼼꼼한 케이스 여성건강간호학 골반연조직염 (pelvicellulitis) 1. 질병과 관련된 급성...
성인간호학 두개저골절 사례분석 PPT자료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