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간호 사정
일반적 사항
현병력
과거력
현재 건강상태
2. 문헌고찰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징후
치료(수술포함)
간호
3. 검사
4. 약물치료
Ⅱ. 본론
1.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1. 간호 사정
일반적 사항
현병력
과거력
현재 건강상태
2. 문헌고찰
정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징후
치료(수술포함)
간호
3. 검사
4. 약물치료
Ⅱ. 본론
1.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Protein
6.5~8.3 (g/dL)
▼6.1
▼5.5
6.7
Albumin
3.5~5.3 (g/dL)
3.7
3.9
4.3
ALP
106~332 (U/L)
160
168
174
AST
0~40 (U/L)
17
18
15
ALT
0~40 (U/L)
9
10
10
BUN
10~25 (mg/dL)
10.3
12.0
11.5
Creatine
0.6~1.5 (mg/dL)
0.65
0.61
0.73
Cluocose
70~110
(mg/dL)
80
83
88
3. 대상자의 체중을 매일 아침 공복에 측정함.
05/02
05/03
05/04
05/05
05/06
05/07
05/08
05/09
54.6kg
54.3kg
53.5kg
53.8kg
54.2kg
55.0kg
55.1kg
55.3kg
4. 대상자의 식욕부진 유발원인을 사정함.
오심이나 구토 등 증상 없음
입맛이 없고 병원 밥이 맛이 없다고 함
5. 대상자에게 적절한 식이제공을 함.
열량이 높은 음식
소량씩 자주 제공
6. 처방받은 약물을 투여함.
- 멸균생리식염수500mL + 타미풀주 IV
7. 식이와 영양상태에 대한 교육을 함.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식욕이 증진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단기목표 달성)
퇴원 시 대상자는 정상 체중을 유지함. (장기목표 달성)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3. 기관지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
주관적 자료
“숨쉬기가 힘들어서 잠을 잘 수가 없어요.”
“기침 때문에 자꾸 잠에서 깨요.”
객관적 자료
V/S: RR: 28회 , SpO2: 91%
잦은 가래 섞인 기침 관찰됨
현재 수면양상: 깊이 잠들지 못하고 중간에 계속 깸
눈이 충혈되어 있고 피곤하고 졸려보임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지속적인 기침과 기관지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계획 (Nursing plan)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내에 기침이 나아졌다고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퇴원 시 까지, 수면 중 깨지 않고 하루 7시간 이상 숙면을 취할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사정
호흡양상을 2시간 마다 사정한다.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 지속적으로 수면 중에도 SPO2 수치를
모니터링한다.
2) 처방수행
처방받은 약물요법을 제공한다.
객담을 묽게 하기 위한 공기의 습화를 유지한다.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를 차단할 수 있는
도구의 사용을 격려한다.
(이어플러그, 수면안대 등)
- 계속해서 객담 배출을 격려하고 특히 자기 전 객담을 충분히 뱉어내도록 한다.
환의, 침구를 편안하고 청결하게 유지한다.
3) 교육
낮에 15~20분 정도 충분한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한다.
- 호흡곤란이 주 증상이므로 호흡수를 주의깊게 관찰해야 하며 폐렴의 증상으로 고체온, 빈맥이 동반될 수 있다.
- 사정을 통해 수집된 정보는 대상자에게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고 중재를 평가하기 위한 근거가 된다.
- 간편하고 비침습적으로 동맥혈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고 큰 불편감 없이 수면 중에도
사용하여 산소화 정도를 관찰할 수 있다.
- 적절한 도구로 외부 자극을 차단하여 수면도입개선과 자극으로 인한 수면 중 각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 객담 제거로 기도 환기를 최대화한다. 취침 전에 객담을 제거하여 자는 동안 기도 환기 증진 및 수면 중의 호흡곤란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안위를 증진하여 질적인 수면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수면 호르몬(멜라토닌)이 체내에 충분히 생성
되도록 하여 밤에 수면 유도를 돕는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활력 징후를 측정하고, 수면 중에는 pulse oximeter를 통해 맥박, 호흡수를 확인했다.
05/03
06:00
10:00
14:00
20:00
혈압
120/80
110.70
110/50
110/70
체온
37.1
36.9
36.8
36.7
맥박
74
76
78
78
호흡수(회/min)
30
29
23
22
SpO₂(%)
89%
90%
92%
94%
05/04
06:00
10:00
14:00
20:00
혈압
118/70
110/70
120/76
110/70
체온
36.7
36.8
36.6
37.1
맥박
87
83
82
91
호흡수(회/min)
23
25
30
24
SpO₂(%)
93%
94%
90%
92%
05/05
06:00
10:00
14:00
20:00
혈압
110/70
116/70
100/70
100/70
체온
36.6
37.0
37.1
37.1
맥박
70
66
63
69
호흡수(회/min)
24
22
25
28
SpO₂(%)
94%
96%
94%
91%
2. 대상자의 수면 양상을 관찰하고, 아침 기상 후 문진을 통해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에 대해
사정했다.
3. SPO2 측정기를 야간에도 계속 유지하게 하였다.
4. 주치의 처방에 따라 투약을 시행하였다.
- Atrovent-UDV Nebulizer Solution 500mcg
5. 수면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30°도 정도 침상 머리를 올려 앉은 자세를 유지하여 자도록 했다. 대상자에게 물어 편안한지 확인하고, 수면 중에 대상자의 자세가 밀려 내려오지 않는지 관찰했다.
6. 흉부물리요법(타진법, 진동법) 및 체위배액으로 객담 배출을 돕고 자기 전 저녁 8~9시 사이에 객담 배출을 격려했다: 대상자 협조하였으며 누런 객담이 다량 배출되었다.
7. 이어플러그, 수면안대 등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를 차단하는 도구를 사용하게 하여 편안한
숙면을 도모하였다.
8. 낮에 외출을 허락함으로써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 중재 후 대상자는 기침이 나아졌다고 말하였다. (단기목표 달성)
- 퇴원 시 까지, 수면 중 깨지 않고 하루 7시간 이상 숙면을 취하였다. (장기목표 달성)
Ⅲ. 결론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상권(7판). 현문사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하권(7판). 현문사
성미혜 외(2013).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retrived 09.24
6.5~8.3 (g/dL)
▼6.1
▼5.5
6.7
Albumin
3.5~5.3 (g/dL)
3.7
3.9
4.3
ALP
106~332 (U/L)
160
168
174
AST
0~40 (U/L)
17
18
15
ALT
0~40 (U/L)
9
10
10
BUN
10~25 (mg/dL)
10.3
12.0
11.5
Creatine
0.6~1.5 (mg/dL)
0.65
0.61
0.73
Cluocose
70~110
(mg/dL)
80
83
88
3. 대상자의 체중을 매일 아침 공복에 측정함.
05/02
05/03
05/04
05/05
05/06
05/07
05/08
05/09
54.6kg
54.3kg
53.5kg
53.8kg
54.2kg
55.0kg
55.1kg
55.3kg
4. 대상자의 식욕부진 유발원인을 사정함.
오심이나 구토 등 증상 없음
입맛이 없고 병원 밥이 맛이 없다고 함
5. 대상자에게 적절한 식이제공을 함.
열량이 높은 음식
소량씩 자주 제공
6. 처방받은 약물을 투여함.
- 멸균생리식염수500mL + 타미풀주 IV
7. 식이와 영양상태에 대한 교육을 함.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식욕이 증진되었다고 말할 것이다. (단기목표 달성)
퇴원 시 대상자는 정상 체중을 유지함. (장기목표 달성)
#2.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3. 기관지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사정 (Nursing Assessment)
주관적 자료
“숨쉬기가 힘들어서 잠을 잘 수가 없어요.”
“기침 때문에 자꾸 잠에서 깨요.”
객관적 자료
V/S: RR: 28회 , SpO2: 91%
잦은 가래 섞인 기침 관찰됨
현재 수면양상: 깊이 잠들지 못하고 중간에 계속 깸
눈이 충혈되어 있고 피곤하고 졸려보임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지속적인 기침과 기관지 분비물 축적과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계획 (Nursing plan)
단기목표: 대상자는 1일 내에 기침이 나아졌다고 말할 것이다.
장기목표: 퇴원 시 까지, 수면 중 깨지 않고 하루 7시간 이상 숙면을 취할 것이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1) 사정
호흡양상을 2시간 마다 사정한다.
대상자의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 지속적으로 수면 중에도 SPO2 수치를
모니터링한다.
2) 처방수행
처방받은 약물요법을 제공한다.
객담을 묽게 하기 위한 공기의 습화를 유지한다.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를 차단할 수 있는
도구의 사용을 격려한다.
(이어플러그, 수면안대 등)
- 계속해서 객담 배출을 격려하고 특히 자기 전 객담을 충분히 뱉어내도록 한다.
환의, 침구를 편안하고 청결하게 유지한다.
3) 교육
낮에 15~20분 정도 충분한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교육한다.
- 호흡곤란이 주 증상이므로 호흡수를 주의깊게 관찰해야 하며 폐렴의 증상으로 고체온, 빈맥이 동반될 수 있다.
- 사정을 통해 수집된 정보는 대상자에게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고 중재를 평가하기 위한 근거가 된다.
- 간편하고 비침습적으로 동맥혈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수 있고 큰 불편감 없이 수면 중에도
사용하여 산소화 정도를 관찰할 수 있다.
- 적절한 도구로 외부 자극을 차단하여 수면도입개선과 자극으로 인한 수면 중 각성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 객담 제거로 기도 환기를 최대화한다. 취침 전에 객담을 제거하여 자는 동안 기도 환기 증진 및 수면 중의 호흡곤란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안위를 증진하여 질적인 수면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수면 호르몬(멜라토닌)이 체내에 충분히 생성
되도록 하여 밤에 수면 유도를 돕는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활력 징후를 측정하고, 수면 중에는 pulse oximeter를 통해 맥박, 호흡수를 확인했다.
05/03
06:00
10:00
14:00
20:00
혈압
120/80
110.70
110/50
110/70
체온
37.1
36.9
36.8
36.7
맥박
74
76
78
78
호흡수(회/min)
30
29
23
22
SpO₂(%)
89%
90%
92%
94%
05/04
06:00
10:00
14:00
20:00
혈압
118/70
110/70
120/76
110/70
체온
36.7
36.8
36.6
37.1
맥박
87
83
82
91
호흡수(회/min)
23
25
30
24
SpO₂(%)
93%
94%
90%
92%
05/05
06:00
10:00
14:00
20:00
혈압
110/70
116/70
100/70
100/70
체온
36.6
37.0
37.1
37.1
맥박
70
66
63
69
호흡수(회/min)
24
22
25
28
SpO₂(%)
94%
96%
94%
91%
2. 대상자의 수면 양상을 관찰하고, 아침 기상 후 문진을 통해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에 대해
사정했다.
3. SPO2 측정기를 야간에도 계속 유지하게 하였다.
4. 주치의 처방에 따라 투약을 시행하였다.
- Atrovent-UDV Nebulizer Solution 500mcg
5. 수면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30°도 정도 침상 머리를 올려 앉은 자세를 유지하여 자도록 했다. 대상자에게 물어 편안한지 확인하고, 수면 중에 대상자의 자세가 밀려 내려오지 않는지 관찰했다.
6. 흉부물리요법(타진법, 진동법) 및 체위배액으로 객담 배출을 돕고 자기 전 저녁 8~9시 사이에 객담 배출을 격려했다: 대상자 협조하였으며 누런 객담이 다량 배출되었다.
7. 이어플러그, 수면안대 등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를 차단하는 도구를 사용하게 하여 편안한
숙면을 도모하였다.
8. 낮에 외출을 허락함으로써 햇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간호평가 (Nursing Evaluation)
- 중재 후 대상자는 기침이 나아졌다고 말하였다. (단기목표 달성)
- 퇴원 시 까지, 수면 중 깨지 않고 하루 7시간 이상 숙면을 취하였다. (장기목표 달성)
Ⅲ. 결론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상권(7판). 현문사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하권(7판). 현문사
성미혜 외(2013).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retrived 09.24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