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란 무엇인가 책 개요
2. 책 핵심내용 요약
3. 작품해설
4. 내가 생각하는 정의의 개념
5. 이 책을 읽고 새롭게 알게된 점
6. 독후감
2. 책 핵심내용 요약
3. 작품해설
4. 내가 생각하는 정의의 개념
5. 이 책을 읽고 새롭게 알게된 점
6. 독후감
본문내용
좋은 삶을 생각해보지 않고 정의를 고민하기란 불가능하거나 어쩌면 바람직하지 않은 일일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 좋은 삶, 즉 정의에 대한 고민엔 도덕적 종교적 논란이 되는 문제를 포함 할 수밖에 없다.
자유주의자들은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개인에게 특정한 가치를 강조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도덕 문제에 개입하지 않는 정치는 시민의 삶을 메마르게 한다. 그런 정치는 편협하고 배타적인 도덕주의로 흐르기 십상이다. 정의와 권리에 관한 논의를 좋은 삶에 대한 논의에서 분리하려는 시도는 두 가지 이유로 잘못이다. 본질적인 도덕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정의와 권리의 문제를 결정할 수 없고, 설령 그럴 수 있다 해도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낙태, 동성혼, 줄기세포 문제 등은 도덕적 종교적 입장을 정리하지 않고서는 해결할 수 없는 대표적인 문제들이다.
개인적으로 케네디의 연설문 부분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정치철학을 가진 정치인이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비슷한 시대에 우리나라는 박정희 대통령이 경제에만 집중해서 높은 경제성장률만을 얻었고, 20년전 까지도 국민들 몰래 자기이익이만 챙기려하는 대통령이 있었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의에 관한 어렴풋한 것, 그러니까 생각에 스며들어 있지만 인식하지 못했던 것을 꺼내서 깨끗하게 정리하는 그런 느낌이 들었다. 책을 읽기 전에 정의라는 말은 그냥 이 책에도 나온 대로 미덕이나 칭찬받을만한 행동에 대한 애매한 느낌이었는데, 이번기회에 확실한 정도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고, 더 나아가 더 깊은 의미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시간에 쫓겨 급하게 읽느라 책을 짧은 기간 내에 봐야했기 때문에 내용을 더 여유롭게 생각할 시간이 부족했던 점이다. 오늘날의 정의란 올바른 분배만의 문제는 아니다. 올바른 가치 측정의 문제이기도 하다. 도덕에 기초하는 정치는 회피하는 정치보다 시민의 사기 진작에 더 도움이 된다. 더불어 정의로운 사회 건설에 더 희망찬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이 시대의 정의가 결코 한 사람이 주장하는 철학으로 판단될 수 없고, 연대의식과 시민정신, 그리고 적극적인 참여와 봉사를 통해서 이런 논의들이 대중들을 통해 도덕적으로 성숙되었을 때 정의로운 사회 건설에 더 희망찬 기반을 제공한다고 이야기하면서, 책을 마치는데, 이것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것이 우리에게 요구 되는 것 같다.
자유주의자들은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개인에게 특정한 가치를 강조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도덕 문제에 개입하지 않는 정치는 시민의 삶을 메마르게 한다. 그런 정치는 편협하고 배타적인 도덕주의로 흐르기 십상이다. 정의와 권리에 관한 논의를 좋은 삶에 대한 논의에서 분리하려는 시도는 두 가지 이유로 잘못이다. 본질적인 도덕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정의와 권리의 문제를 결정할 수 없고, 설령 그럴 수 있다 해도 바람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낙태, 동성혼, 줄기세포 문제 등은 도덕적 종교적 입장을 정리하지 않고서는 해결할 수 없는 대표적인 문제들이다.
개인적으로 케네디의 연설문 부분을 읽으면서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정치철학을 가진 정치인이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비슷한 시대에 우리나라는 박정희 대통령이 경제에만 집중해서 높은 경제성장률만을 얻었고, 20년전 까지도 국민들 몰래 자기이익이만 챙기려하는 대통령이 있었다는 사실이 안타까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의에 관한 어렴풋한 것, 그러니까 생각에 스며들어 있지만 인식하지 못했던 것을 꺼내서 깨끗하게 정리하는 그런 느낌이 들었다. 책을 읽기 전에 정의라는 말은 그냥 이 책에도 나온 대로 미덕이나 칭찬받을만한 행동에 대한 애매한 느낌이었는데, 이번기회에 확실한 정도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고, 더 나아가 더 깊은 의미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시간에 쫓겨 급하게 읽느라 책을 짧은 기간 내에 봐야했기 때문에 내용을 더 여유롭게 생각할 시간이 부족했던 점이다. 오늘날의 정의란 올바른 분배만의 문제는 아니다. 올바른 가치 측정의 문제이기도 하다. 도덕에 기초하는 정치는 회피하는 정치보다 시민의 사기 진작에 더 도움이 된다. 더불어 정의로운 사회 건설에 더 희망찬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이 시대의 정의가 결코 한 사람이 주장하는 철학으로 판단될 수 없고, 연대의식과 시민정신, 그리고 적극적인 참여와 봉사를 통해서 이런 논의들이 대중들을 통해 도덕적으로 성숙되었을 때 정의로운 사회 건설에 더 희망찬 기반을 제공한다고 이야기하면서, 책을 마치는데, 이것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것이 우리에게 요구 되는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올해최신A+자료]정의란무엇인가독후감[정의란무엇인가독서감상문][정의란 무엇인가서평][마...
[독후감/서평] 마이클 샌델의‘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 진정한 정의를 찾는 길
[서평]정의란 무엇인가+
[독후감/서평/후기] 정의란 무엇인가(Justice : what’s the right thing to do) _ 마이클 샌...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한 (본인이 원하는 페이지를 읽은뒤 독후감) _ 마이크샌델 저
정의란 무엇인가 독후감 감상문 서평 마이클 샌델!!!!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독후감]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_ 마이클 샌델 저, 독서 감상문
크리톤 독후감 크리톤 독서감상문 크리톤 줄거리 크리톤 분석 크리톤 이해 크리톤 서평철학비...
[독후감] 정의란 무엇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