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마을숲의 개념
2. 마을숲의 형성배경
1) 전통문화
2) 기능적 배경
3) 경관적 배경
3. 마을숲의 현대적 의미
4. 마을숲의 기능
5. 마을숲의 유형 분석
1) 위치와 기능에 따른 마을숲의 유형
2) 마을숲의 기능 유형
6. 마을숲의 발전방향
7. 참고자료
2. 마을숲의 형성배경
1) 전통문화
2) 기능적 배경
3) 경관적 배경
3. 마을숲의 현대적 의미
4. 마을숲의 기능
5. 마을숲의 유형 분석
1) 위치와 기능에 따른 마을숲의 유형
2) 마을숲의 기능 유형
6. 마을숲의 발전방향
7. 참고자료
본문내용
류화현상이 나타나고, 이용답압에 의해 토양이 견밀화되어 배수불량이 되므로 토양개량 및 경운하여 산도의 조절 및 통기성이 좋게 하여야 한다. 에를 들아 숲 내 산책로 주변부는 토양의 경도가 높게 나타나고 토양의 물리성이 약화되기가 쉬우므로 순환식 산책로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 김학범(2003).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문화재정.
③ 마을숲 개발계획은 ‘마을’이라는 최소 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미시계획이며 구체적인 행동방안을 요구하는 실행계획이므로 마을 주민이 주체가 되는 관리와 개발이 될 때 성공을 거둘 수 있다. 이현정(2004). 마을숲의 환경지리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④ 다른 마을 자원과 연계를 이루는 개발이 되어야 한다. 마을숲을 기존의 단절된 녹지체계와 연계시켜 개발함으로써 마을 뒷산과 하천을 연결하는 강한 녹지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을숲을 포함하는 생태자원군과 마을의 문화자원군을 연계하여 각 자원군간의 접근성을 강화라고 산발적인 자원배치로부터 오는 문제점을 최소화한다. 이현정(2004). 마을숲의 환경지리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⑤ 지역 마케팅을 위한 마을숲 관련 전통지식과 향토자원 활용
마을숲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지식의 감성적 가치를 지역의 향토자원에 추가하여 차별성을 제시하고 지역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수요자에게 명확하게 인식시켜주기 위한 지역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마을숲과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지식을 농산물 및 농산가공품, 특산물 및 특산품, 관광마을 및 관람시설, 향토축제 등 지역의 향토자원과 연계하는 마케팅 전략이 가능할 것이다. 농촌진흥청(2016). 세시풍속과 전통 마을숲을 활용한 축제·체험 콘텐츠 개발. 농촌진흥청.
⑥ 지역 마케팅과 연계한 마을숲 콘텐츠의 지속적인 활용 방안
마을숲을 활용한 문화콘텐츠는 생태체험과 문화체험을 활성화하고 마을 및 지역축제, 브랜드 개발, 농산품 홍보 등 다양한 분야의 마케팅과 연계할 수 있다. 마을숲 콘텐츠는 생태박물관, 농산물판매장, 마을전시관 등의 설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동제, 농악, 민속놀이, 돌탑, 장승, 솟대와 같은 전통문화를 보전하고 주민해설사 활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 축제와 체험 운영을 통한 농촌관광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2016). 세시풍속과 전통 마을숲을 활용한 축제·체험 콘텐츠 개발. 농촌진흥청.
7. 참고자료
김수희(2010). 해안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선(2011). 원주 성황림의 상징성과 공간성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학범(2003).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문화재정.
농촌진흥청(2016). 세시풍속과 전통 마을숲을 활용한 축제·체험 콘텐츠 개발. 농촌진흥청.
신상섭(2006). 전북의 아름다운 마을숲 10선. 우석대학교 자원개발 및 환경계획연구소.
이현정(2004). 마을숲의 환경지리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③ 마을숲 개발계획은 ‘마을’이라는 최소 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미시계획이며 구체적인 행동방안을 요구하는 실행계획이므로 마을 주민이 주체가 되는 관리와 개발이 될 때 성공을 거둘 수 있다. 이현정(2004). 마을숲의 환경지리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④ 다른 마을 자원과 연계를 이루는 개발이 되어야 한다. 마을숲을 기존의 단절된 녹지체계와 연계시켜 개발함으로써 마을 뒷산과 하천을 연결하는 강한 녹지축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을숲을 포함하는 생태자원군과 마을의 문화자원군을 연계하여 각 자원군간의 접근성을 강화라고 산발적인 자원배치로부터 오는 문제점을 최소화한다. 이현정(2004). 마을숲의 환경지리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⑤ 지역 마케팅을 위한 마을숲 관련 전통지식과 향토자원 활용
마을숲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지식의 감성적 가치를 지역의 향토자원에 추가하여 차별성을 제시하고 지역의 이미지와 정체성을 수요자에게 명확하게 인식시켜주기 위한 지역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마을숲과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지식을 농산물 및 농산가공품, 특산물 및 특산품, 관광마을 및 관람시설, 향토축제 등 지역의 향토자원과 연계하는 마케팅 전략이 가능할 것이다. 농촌진흥청(2016). 세시풍속과 전통 마을숲을 활용한 축제·체험 콘텐츠 개발. 농촌진흥청.
⑥ 지역 마케팅과 연계한 마을숲 콘텐츠의 지속적인 활용 방안
마을숲을 활용한 문화콘텐츠는 생태체험과 문화체험을 활성화하고 마을 및 지역축제, 브랜드 개발, 농산품 홍보 등 다양한 분야의 마케팅과 연계할 수 있다. 마을숲 콘텐츠는 생태박물관, 농산물판매장, 마을전시관 등의 설립을 용이하게 하고 이를 통해 동제, 농악, 민속놀이, 돌탑, 장승, 솟대와 같은 전통문화를 보전하고 주민해설사 활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 축제와 체험 운영을 통한 농촌관광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2016). 세시풍속과 전통 마을숲을 활용한 축제·체험 콘텐츠 개발. 농촌진흥청.
7. 참고자료
김수희(2010). 해안마을숲의 문화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선(2011). 원주 성황림의 상징성과 공간성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학범(2003). 마을숲 문화재 자원조사 연구보고서. 문화재정.
농촌진흥청(2016). 세시풍속과 전통 마을숲을 활용한 축제·체험 콘텐츠 개발. 농촌진흥청.
신상섭(2006). 전북의 아름다운 마을숲 10선. 우석대학교 자원개발 및 환경계획연구소.
이현정(2004). 마을숲의 환경지리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