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유와 평등의 이미지를 끌어와 사용하였던 뒤늦은 개발 국가였기 때문에 처음에 이를 위해 희생하고 노력한 선진국들의 변화발전과정을 좀처럼 편하게 이해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미국의 이러한 귀화법 변화 과정 또한 지금의 미국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이라 생각하고 그들이 좀 더 나은 나라로 발전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사람들의 인식 속에 차별은 분명 고쳐져야 할 점이라 생각한다. 프랭클린의 사랑스러운 백인의 나라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사랑스러운 백인이 주도하는 나라임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미국을 특히 우상화 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자유의 나라라 보이는 미국을 있는 모습 그대로 받아드리지 않고 그 나라의 역사의 흐름과 발전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조산족과 탈북자 문제에 대해..
반 이민법으로 본 미국 사회의 양면성
다문화 가족 아동의 복지서비스 현황과 문제
고용허가제의 정의, 고용허가제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고용허가제의 주요내용, 고용허가제의 ...
재미한국인 문학과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 이창래의『Native Speaker』,미라 스타우트의『천...
조선족(재중동포)과 탈북자 문제 실태와 정책에 대한 보고
여성복지 각 분야중 개인별 관심 분야를 정하여 -이주여성- 1. 해당 분야의 욕구와 복지적 문...
[인권법 B형] 이주노동자 인권보장을 위한 국제적 기준과 우리 실정법상의 인권기준을 비교하...
[청소년복지] 사회통합에 대한 이해(이민자 및 탈북청소년을 중심으로) - 사회통합의 개념, ...
긍정 이데올로기 - 문화현상으로서 나타나는 긍정 이데올로기 탐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