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저자소개
2. 들어가는 말
3. 제1부 – 과학, 자연을 읽어내는 도구
4. 제2부 – 성경과 과학
5. 제3부. 과학주의 무신론의 도전
6. 제4부. 근본주의와 문자주의의 오류를 넘어
7. 제5부 – 과학과 신학의 대화
8. 에필로그
2. 들어가는 말
3. 제1부 – 과학, 자연을 읽어내는 도구
4. 제2부 – 성경과 과학
5. 제3부. 과학주의 무신론의 도전
6. 제4부. 근본주의와 문자주의의 오류를 넘어
7. 제5부 – 과학과 신학의 대화
8. 에필로그
본문내용
1.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이며 거대 블랙홀과 은하의 진화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다.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 대학교와 UCLA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수여하는 허블 펠로십을 받았다. 그리스도인이자 과학자인 그는 과학과 기독교 신앙이 결코 대립 하지 않으며
과학이야말로 하나님의 창조를 보여주는 일반계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리
는 일을 주요 사역으로 삼아 다양한 강의와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과학과
신학의 대화를 모토로 연구, 교육하는 단체인 『과학과 신학의 대화』 설립자로
대표를 맡고 있으며 과학과 신앙에 대한 글을 담은 『별 아저씨의 집』도 운영
중이다. 모태 신앙인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에서 성장하여 대학생, 대
학원생 시절에는 IVF(한국기독학생회)와 GSF(기독대학원생회), 기독교학문연구
소에서 활동했고, 유학시절에는 KOSTA(국제복음주의 학생연합회)에서 리더와
간사로 섬겼다. 저서로는 『블랙홀 교향곡』,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 『기
원』이 있다. 2. 들어가는 말
이 책의 목적은 21세기 과학이 기독교 신앙에 던지는 도전에 대해 생각하고, 이 도전들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 것인가? 에 대해 알아보려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이며 거대 블랙홀과 은하의 진화를 연구하는
천문학자다. 예일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캘리포니아 대학교와 UCLA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수여하는 허블 펠로십을 받았다. 그리스도인이자 과학자인 그는 과학과 기독교 신앙이 결코 대립 하지 않으며
과학이야말로 하나님의 창조를 보여주는 일반계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리
는 일을 주요 사역으로 삼아 다양한 강의와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다. 과학과
신학의 대화를 모토로 연구, 교육하는 단체인 『과학과 신학의 대화』 설립자로
대표를 맡고 있으며 과학과 신앙에 대한 글을 담은 『별 아저씨의 집』도 운영
중이다. 모태 신앙인으로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 소속 교회에서 성장하여 대학생, 대
학원생 시절에는 IVF(한국기독학생회)와 GSF(기독대학원생회), 기독교학문연구
소에서 활동했고, 유학시절에는 KOSTA(국제복음주의 학생연합회)에서 리더와
간사로 섬겼다. 저서로는 『블랙홀 교향곡』, 『무신론 기자, 크리스천 과학자에게 따지다』, 『기
원』이 있다. 2. 들어가는 말
이 책의 목적은 21세기 과학이 기독교 신앙에 던지는 도전에 대해 생각하고, 이 도전들에 어떻게 반응해야 할 것인가? 에 대해 알아보려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