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0] 동국대학교 자연과기술명작세미나 에세이 (멋진신세계) 과학과 윤리의 관계에 대한 고찰-인간배아기술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0] 동국대학교 자연과기술명작세미나 에세이 (멋진신세계) 과학과 윤리의 관계에 대한 고찰-인간배아기술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II-1. ‘멋진신세계’와 ‘과학은 반역이다’에서 볼 수 있는 과학과 윤리의 관련성
II-2. 인간배아복제 기술과 윤리
II-3.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III. 결론

본문내용

짐에도 황우석 사태로 말미암은 생명윤리 경시에 대한 경각심이나 여러 인권단체와 같은 곳의 배아복제 반대 활동으로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신기술의 발전을 저해하기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과학과 윤리에 대해 고찰할 때, 어느 한 쪽의 의견에만 치우쳐 과학, 혹은 윤리를 경시하면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지만 현재 우리가 연구하는 인간배아에 대해서는 아직 개척하지 못한 새로운 차원의 과학이기 때문에, 윤리적 문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무분별한 연구로 인해 맞게 될 문제들을 예방하고 인간의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인지하여 안전하게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IV. 참고문헌
멋진 신세계, 1932, 올더스 헉슬리
과학은 반역이다, 2006, 프리먼 다이슨
인간배아복제 및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 신학적 고찰, 2007, 김상호, 대구가톨릭대 학교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특성 유지와 분화에 있어서 STELLAR (DPPA3/STELLA/PGC7) 유전 자의 기능 분석, 2007, 임지영, 한양대학교
탑스타뉴스, 2019.04.30., 한수지 기자
데일리메디, 2019.04.22., 양보혜 기자
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문제점, 2005, 세포응용연구사업단
대한민국 헌법
HIV/AIDS 감염인에 대한 통합적 서비스 전달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서비스 지원을 중심으로, 2004, 함일우, 중앙대학교
UPI뉴스, 2019, 남국성 기자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2009, 김향미, 고려대학교
V. 부록
[그림1 복제 양 ‘돌리’의 탄생과정, 한국과학창의재단, 작가 김희연]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2.07.11
  • 저작시기201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25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