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요로결석 개념
2. 요로결석 발생원인
3. 요로결석의 유병률
4. 요로결석 증상
5. 요로결석 병태생리
6. 요로결석 검사법
7. 요로결석 경과 및 합병증
8. 요로결석 치료방법
(1) 외과적 치료
(2) 내과적 치료
2. 요로결석 발생원인
3. 요로결석의 유병률
4. 요로결석 증상
5. 요로결석 병태생리
6. 요로결석 검사법
7. 요로결석 경과 및 합병증
8. 요로결석 치료방법
(1) 외과적 치료
(2) 내과적 치료
본문내용
면 신장기능이 저하되기 시작한다. 요로결석에 요로 감염이 동반되면 신우신염이나 농신증, 패혈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8. 요로결석 치료방법
(1) 외과적 치료
1) 체외충격파쇄석술(ESWL)
- 방법 : 높은 에너지의 충격파를 발생시켜 이를 신장이나 요관의 결석에 집중적으로 쏘아 직경 2mm 이하의 작은 가루로 부순 후 소변과 자연 배출되게 함. 시술 중 가장 비침습적인 방법
① 신결석
- 2cm 이하의 크기 : 체외충격파쇄석술이 1차 치료
2cm 이하의 신석이라도 하신배에 위치하는 경우는 경피적 신쇄석술을 선호
- 2cm 이상의 크기 : 경피적신쇄석술이 1차 치료, 경피적 신쇄석술 후 잔석은 2차석으로 체외충격파쇄석술이나 요관경을 이용해 치료할 수 있음.
- 성공률
1.5cm 이상 신우결석 - 3개월 치료성공률 75%
1.5cm 이하 신우결석 - 3개월 치료 성공률 90%
1.5cm 이상 하신배결석 - 3개월 치료성공률 50%
1.5cm 이하 하신배결석 - 3개월 치료 성공률 70%
1.5cm 이하 중신배결석 - 3개월 치료 성공률 75%
② 요관결석
- 결석의 위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
- 직경 1cm 이하 상부요관결석 : 체외충격파쇄석술을 1차 치료로 선택. 실패시 경피적 신쇄석술 또는 요관경수술을 시행하며 이마저 실패시 복강경수술이나 절개수술을 시행함.
- 중부요관석
형광투시기를 이용한 체외충격파쇄석술이 어렵기 때문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행함.
- 하부요관결석
형광투시기나 초음파 이용가능, 중부나 하부요관결석의 체외충격파쇄석술은 치료의 성공 여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한번에 치료 끝내려면 요관경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임.
- 체외충격파쇄석술 금기
요로결석 하방의 요로폐색, 출혈 경향이 있는 사람, 신동맥류, 임신부 등
2) 요관경배석술
- 하부 및 중부 요관결석에서 효과적인 방법
- 방법
구경이 작은 내시경(요관경)을 요도와 방광을 경유하여 요관 내에 삽입한 후 작은 요로결석은 그대로 제거하고 요로결석이 큰경우에는 쇄석기로 분쇄한 다음 제거함.
3) 경피적 신쇄석술(percutaneous nephrolithotripsy, PNL)
- 직경이 2cm 이상의 큰 신장결석이나 하신배결석의 1차적 선택치료이며 체외충격파쇄석술에 실패한 신장결석 이나 상부요관결석에도 적용
- 방법
옆구리에 작은 구멍을 내어 신내시경을 신루를 통해 삽입하여 결석을 직접 보면서 작은 결석은 그대로 꺼내고 큰 결석일 경우에는 초음파, 레이저, 전기수압충격파 등으로 분쇄하여 제거
4) 복강경수술 및 개방수술
- 개방수술
체외충격파쇄석술이나 경피적 신쇄석술로도 요석을 제거할 수 없을 경우 및 신우요관이행부성형술이나 신부분 절제술 등과 같이 동반수술이 필요한 경우 적용되나 매우 제한적
- 신절제술
완전폐색으로 심한 수신증과 신기능저하가 있어 요석을 제거해도 신기능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시행하며 복강경 수술이 개방
(2) 내과적 치료
결석환자에 대한 보전적 관리는 폐색이 없거나 통증이 조절되었거나 구강으로 수분섭취 가능하거나 결석의 크기가 5mm이하인 경우 적합합다
1) 약물치료
- 칼슘결석
: 특별한 치료 약물은 없음
- 요산결석
: allpourinol 투여 -> 요산을 낮춤
- 통증완화
: 마취제(narcotics), 항경련제(antispasmodics) 투여
2) 식이치료
- 결석의 성분 확인-> 재발방지를 위해 식이변경
- 저 수산염 식이
: 수산결석 재발 예방
- 저 퓨린 식이
: 요산결석의 재발방지에 필요
☞ 과거 칼슘결석 재발예방을 위해 저 칼슘식이를 권장했으나 최근에는 칼슘의 충분한 섭취를 권장
8. 요로결석 치료방법
(1) 외과적 치료
1) 체외충격파쇄석술(ESWL)
- 방법 : 높은 에너지의 충격파를 발생시켜 이를 신장이나 요관의 결석에 집중적으로 쏘아 직경 2mm 이하의 작은 가루로 부순 후 소변과 자연 배출되게 함. 시술 중 가장 비침습적인 방법
① 신결석
- 2cm 이하의 크기 : 체외충격파쇄석술이 1차 치료
2cm 이하의 신석이라도 하신배에 위치하는 경우는 경피적 신쇄석술을 선호
- 2cm 이상의 크기 : 경피적신쇄석술이 1차 치료, 경피적 신쇄석술 후 잔석은 2차석으로 체외충격파쇄석술이나 요관경을 이용해 치료할 수 있음.
- 성공률
1.5cm 이상 신우결석 - 3개월 치료성공률 75%
1.5cm 이하 신우결석 - 3개월 치료 성공률 90%
1.5cm 이상 하신배결석 - 3개월 치료성공률 50%
1.5cm 이하 하신배결석 - 3개월 치료 성공률 70%
1.5cm 이하 중신배결석 - 3개월 치료 성공률 75%
② 요관결석
- 결석의 위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음
- 직경 1cm 이하 상부요관결석 : 체외충격파쇄석술을 1차 치료로 선택. 실패시 경피적 신쇄석술 또는 요관경수술을 시행하며 이마저 실패시 복강경수술이나 절개수술을 시행함.
- 중부요관석
형광투시기를 이용한 체외충격파쇄석술이 어렵기 때문에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행함.
- 하부요관결석
형광투시기나 초음파 이용가능, 중부나 하부요관결석의 체외충격파쇄석술은 치료의 성공 여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한번에 치료 끝내려면 요관경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임.
- 체외충격파쇄석술 금기
요로결석 하방의 요로폐색, 출혈 경향이 있는 사람, 신동맥류, 임신부 등
2) 요관경배석술
- 하부 및 중부 요관결석에서 효과적인 방법
- 방법
구경이 작은 내시경(요관경)을 요도와 방광을 경유하여 요관 내에 삽입한 후 작은 요로결석은 그대로 제거하고 요로결석이 큰경우에는 쇄석기로 분쇄한 다음 제거함.
3) 경피적 신쇄석술(percutaneous nephrolithotripsy, PNL)
- 직경이 2cm 이상의 큰 신장결석이나 하신배결석의 1차적 선택치료이며 체외충격파쇄석술에 실패한 신장결석 이나 상부요관결석에도 적용
- 방법
옆구리에 작은 구멍을 내어 신내시경을 신루를 통해 삽입하여 결석을 직접 보면서 작은 결석은 그대로 꺼내고 큰 결석일 경우에는 초음파, 레이저, 전기수압충격파 등으로 분쇄하여 제거
4) 복강경수술 및 개방수술
- 개방수술
체외충격파쇄석술이나 경피적 신쇄석술로도 요석을 제거할 수 없을 경우 및 신우요관이행부성형술이나 신부분 절제술 등과 같이 동반수술이 필요한 경우 적용되나 매우 제한적
- 신절제술
완전폐색으로 심한 수신증과 신기능저하가 있어 요석을 제거해도 신기능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될 경우 시행하며 복강경 수술이 개방
(2) 내과적 치료
결석환자에 대한 보전적 관리는 폐색이 없거나 통증이 조절되었거나 구강으로 수분섭취 가능하거나 결석의 크기가 5mm이하인 경우 적합합다
1) 약물치료
- 칼슘결석
: 특별한 치료 약물은 없음
- 요산결석
: allpourinol 투여 -> 요산을 낮춤
- 통증완화
: 마취제(narcotics), 항경련제(antispasmodics) 투여
2) 식이치료
- 결석의 성분 확인-> 재발방지를 위해 식이변경
- 저 수산염 식이
: 수산결석 재발 예방
- 저 퓨린 식이
: 요산결석의 재발방지에 필요
☞ 과거 칼슘결석 재발예방을 위해 저 칼슘식이를 권장했으나 최근에는 칼슘의 충분한 섭취를 권장
추천자료
수술의 정의와 절차(30개정도 수술& 각각 그림포함 )
총담관결석 CASE (Common Bile Duct stone) 진단3개
[Case]요로결석 ER
[간호사례 연구 성인실습3] 신결석(Calculus of kidney) 경피적 신쇄석술(PNL, Percutaneous ...
신부전 (진단명 : Postrenal AKI, HT, DM, Rt.extraperitonal hematoma) 케이스 스터디 (Case...
신결석, 신장결석, 결석, 요로결석
요로결석 케이스
요로감염 간호과정 및 간호진단 - 요로감염 원인,병태생리 및 증상,합병증 및 요로감염 치료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