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역아동센터의 개념
2. 지역아동센터 관련 정책
1) 지역아동센터의 기능
2) 지역아동센터 관련 정책
3. 지역아동센터 관련 정책 사업 방향
1) 제도화를 통한 공공성 강화
2) 보편화를 통해 이용아동 확대
3) 네트워크화를 통해 접근성 강화
4) 아동 관점에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지역아동센터의 개념
2. 지역아동센터 관련 정책
1) 지역아동센터의 기능
2) 지역아동센터 관련 정책
3. 지역아동센터 관련 정책 사업 방향
1) 제도화를 통한 공공성 강화
2) 보편화를 통해 이용아동 확대
3) 네트워크화를 통해 접근성 강화
4) 아동 관점에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도 이어져 아동의 맞춤형 돌봄 서비스 이용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최근 방과후 돌봄 영역에 대한 공공의 역할과 비중이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지역아동센터 공공성 강화를 위해 민관 거버넌스와 네트워크를 강화하면서 공공성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적극적으로 보완해 나아갈 할 것이다.
4) 아동 관점에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이용자는 아동이다. 따라서 당사자인 아동 관점에서 아동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동들이 다채로운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아동의 욕구를 파악하고 돌봄, 놀이, 학습, 발달 등 아동 생활영역 전반에 걸쳐서 우선 지원 대상 규정을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면서 보편적으로 모든 아동이 종합적인 복지지원을 누릴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우리나라의 아동복지법(제52조 제1항 제8호)에서의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와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종합적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지역사회 내 아동 돌봄에 대한 사전예방과 사후연계의 역할을 담당한다. 지역아동센터의 정책 방향은 ①취약계층아동에 대해 국가와 지역사회 차원에서 적극적 해결책을 강구하고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의 연계와 활용을 통해 통합적인 아동지원체계를 구축하도록 한다. ②부모 입장에서 양질의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신뢰감 및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사회 차원에서 공적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정도의 운영수준을 담보한다. ③이용하는 아동의 성장발달에 부합하고 부모의 기대수준에 맞는 내용과 질이 담보되는 과정을 추구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홈페이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오미희, 임명희 외 3명 저, 아동권리와 복지, 파워북, 2022
김현자, 이명숙 외 3명 저, 아동권리와 복지, 어가, 2022
정익중 저, 아동복지론, 학지사, 2021
노혜련, 김미원 외 1명 저, 아동복지론, 학지사, 2021
조미애 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심리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 대학원, 2014
박태정, 박형원, 이희연 저, 지역아동센터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이혜경 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 아동 관점에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이용자는 아동이다. 따라서 당사자인 아동 관점에서 아동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동들이 다채로운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아동의 욕구를 파악하고 돌봄, 놀이, 학습, 발달 등 아동 생활영역 전반에 걸쳐서 우선 지원 대상 규정을 상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면서 보편적으로 모든 아동이 종합적인 복지지원을 누릴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우리나라의 아동복지법(제52조 제1항 제8호)에서의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와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종합적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지역사회 내 아동 돌봄에 대한 사전예방과 사후연계의 역할을 담당한다. 지역아동센터의 정책 방향은 ①취약계층아동에 대해 국가와 지역사회 차원에서 적극적 해결책을 강구하고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의 연계와 활용을 통해 통합적인 아동지원체계를 구축하도록 한다. ②부모 입장에서 양질의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신뢰감 및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역사회 차원에서 공적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정도의 운영수준을 담보한다. ③이용하는 아동의 성장발달에 부합하고 부모의 기대수준에 맞는 내용과 질이 담보되는 과정을 추구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 홈페이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오미희, 임명희 외 3명 저, 아동권리와 복지, 파워북, 2022
김현자, 이명숙 외 3명 저, 아동권리와 복지, 어가, 2022
정익중 저, 아동복지론, 학지사, 2021
노혜련, 김미원 외 1명 저, 아동복지론, 학지사, 2021
조미애 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심리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기독대 대학원, 2014
박태정, 박형원, 이희연 저, 지역아동센터는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가?,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이혜경 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 및 임파워먼트와 심리사회적 적응,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