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명을 포함한 학교 이름
2. 미국의 지명에는 왜 ‘New’가 많을까?
3. 사람들이 장소에 붙여준 별명, 실리콘 밸리
4. 영화 속 장소가 주는 인식
5. 마무리
2. 미국의 지명에는 왜 ‘New’가 많을까?
3. 사람들이 장소에 붙여준 별명, 실리콘 밸리
4. 영화 속 장소가 주는 인식
5. 마무리
본문내용
높은 집값을 가지는 지역의 대명사로 불릴 수도 있겠다.
4. 영화 속 장소가 주는 인식
영화라는 작품은 한번 틀어지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영원히 남아있으며, 사람들의 기억에도 남아있기 때문에 영화 제작을 하는 사람들은 영화에 나오는 장소를 정할 때 상징성을 고심해서 정할 것이다. 이에 사례를 몇 개 찾아보았다.
1) 영화 ‘아이언맨(Iron Man)’
마블의 영화인 ‘아이언맨’ 속에서 주인공인 토니 스타크는 절벽 끝에 지어진 웅장한 집에 사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블 스튜디오에서 소개 한 정보에 의하면 토니 스타크의 집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 말리부의 포인트 듐(point dume)에 위치한 것으로 설정하였다고 한다. 말리부(Malibu)는 유명인들의 별장이 모여 있으며 길게 뻗은 해변가 옆 도로에 스포츠카들이 종종 달리는 미국의 부촌이다. 실제 말리부의 이미지를 이용해 토니 스타크는 매우 부유하고 자동차와 같은 기계를 좋아한다는 이미지를 주고 싶었던 것 같다.
2) 영화 ‘반지의 제왕(The Lord of the Rings)
영국의 소설가 J. R. R. 톨킨이 쓴 판타지 소설을 영화로 만든 작품이다. 이 소설에 나오는 키가 작은 사람들을 칭하는 호빗들이 살고 있는 마을이 있었다. 영화의 맨 처음 나오는 이 장소는 매우 평화로우며 동화 속의 장소로 잘 표현된 곳이다. 이곳의 이름은 샤이어(The Shire)이다.
샤이어는 영국의 지방을 칭하는 말인 ’~shire‘에서 따온 것이라고 사람들이 추측한다. 이를 사용한 지명에는 영국의 요크셔(Yorkshire)가 있다. 즉 우리나라로 번역하자면 ’~리‘, ’~골‘에 해당하는 말을 톨킨은 지명으로 사용하여서 시골과 같은 평화로운 느낌을 주고자 한 것 같다. 톨킨은 소설가이기 전에 언어학자이기도 하여서, 그가 새롭게 만든 언어 체계 중에서도 요정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흔히 ’요정어(Elvish)‘라고 부르는데 샤이어 외의 장소들의 지명은 그의 요정어에서 비롯하여 지었다고 한다.
3) 영화 ’겨울 왕국(Frozen)’
영화 ‘겨울 왕국’은 추운 도시를 모티브 삼기 위해 북유럽 중에서도 노르웨이를 선택하였다고 한다. 영화 속에 나오는 아렌델 왕국(Kingdom of Arendelle)은 노르웨이의 주요 항구도시인 아렌달(Arendal)을 모티브로 하여 디즈니가 새로 만든 왕국이다.
아렌델은 과거 북유럽에서 사용했던 언어인 고대 노르드어로 지은 이름이며 독수리(rn, erne)의 계곡(dalr, dale)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지리적인 모양이 가파른 산들 사이에 위치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지었다고 생각한다. 또한 북유럽의 이미지가 바이킹 문화를 상징하기도 하기 때문에 영화 속에서는 그러한 갑옷을 입은 사람들이 다수 등장한다. 이러한 이미지를 모두 고려해본다면 아렌델 왕국은 추운 지방에 위치한 곳으로, 노르웨이와 연관 지어서 생각해본다면 바이킹이 생각나는 곳이다. 이에 바이킹들은 몸집이 우람하고 용감하고 활발하다는 설정도 관객들이 미리 예상하고 볼 수 있다.
4. 영화 속 장소가 주는 인식
영화라는 작품은 한번 틀어지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영원히 남아있으며, 사람들의 기억에도 남아있기 때문에 영화 제작을 하는 사람들은 영화에 나오는 장소를 정할 때 상징성을 고심해서 정할 것이다. 이에 사례를 몇 개 찾아보았다.
1) 영화 ‘아이언맨(Iron Man)’
마블의 영화인 ‘아이언맨’ 속에서 주인공인 토니 스타크는 절벽 끝에 지어진 웅장한 집에 사는 것으로 나타난다.
마블 스튜디오에서 소개 한 정보에 의하면 토니 스타크의 집은 미국 캘리포니아 주 말리부의 포인트 듐(point dume)에 위치한 것으로 설정하였다고 한다. 말리부(Malibu)는 유명인들의 별장이 모여 있으며 길게 뻗은 해변가 옆 도로에 스포츠카들이 종종 달리는 미국의 부촌이다. 실제 말리부의 이미지를 이용해 토니 스타크는 매우 부유하고 자동차와 같은 기계를 좋아한다는 이미지를 주고 싶었던 것 같다.
2) 영화 ‘반지의 제왕(The Lord of the Rings)
영국의 소설가 J. R. R. 톨킨이 쓴 판타지 소설을 영화로 만든 작품이다. 이 소설에 나오는 키가 작은 사람들을 칭하는 호빗들이 살고 있는 마을이 있었다. 영화의 맨 처음 나오는 이 장소는 매우 평화로우며 동화 속의 장소로 잘 표현된 곳이다. 이곳의 이름은 샤이어(The Shire)이다.
샤이어는 영국의 지방을 칭하는 말인 ’~shire‘에서 따온 것이라고 사람들이 추측한다. 이를 사용한 지명에는 영국의 요크셔(Yorkshire)가 있다. 즉 우리나라로 번역하자면 ’~리‘, ’~골‘에 해당하는 말을 톨킨은 지명으로 사용하여서 시골과 같은 평화로운 느낌을 주고자 한 것 같다. 톨킨은 소설가이기 전에 언어학자이기도 하여서, 그가 새롭게 만든 언어 체계 중에서도 요정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흔히 ’요정어(Elvish)‘라고 부르는데 샤이어 외의 장소들의 지명은 그의 요정어에서 비롯하여 지었다고 한다.
3) 영화 ’겨울 왕국(Frozen)’
영화 ‘겨울 왕국’은 추운 도시를 모티브 삼기 위해 북유럽 중에서도 노르웨이를 선택하였다고 한다. 영화 속에 나오는 아렌델 왕국(Kingdom of Arendelle)은 노르웨이의 주요 항구도시인 아렌달(Arendal)을 모티브로 하여 디즈니가 새로 만든 왕국이다.
아렌델은 과거 북유럽에서 사용했던 언어인 고대 노르드어로 지은 이름이며 독수리(rn, erne)의 계곡(dalr, dale)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지리적인 모양이 가파른 산들 사이에 위치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을 지었다고 생각한다. 또한 북유럽의 이미지가 바이킹 문화를 상징하기도 하기 때문에 영화 속에서는 그러한 갑옷을 입은 사람들이 다수 등장한다. 이러한 이미지를 모두 고려해본다면 아렌델 왕국은 추운 지방에 위치한 곳으로, 노르웨이와 연관 지어서 생각해본다면 바이킹이 생각나는 곳이다. 이에 바이킹들은 몸집이 우람하고 용감하고 활발하다는 설정도 관객들이 미리 예상하고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