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아동관찰및행동연구 ) 인터넷에서 유아들의 놀이상황 영상을 찾거나, 주변에 유아들의 놀이상황을 관찰하여 빈도사건표집법과 ABC 사건표집법, 행동목록법과 평정척도법, 시간표집법을 모두 사용하여 관찰기록을 작성하시오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1아동관찰및행동연구 ) 인터넷에서 유아들의 놀이상황 영상을 찾거나, 주변에 유아들의 놀이상황을 관찰하여 빈도사건표집법과 ABC 사건표집법, 행동목록법과 평정척도법, 시간표집법을 모두 사용하여 관찰기록을 작성하시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인터넷에서 유아들의 놀이상황 영상을 찾거나, 주변에 유아들의 놀이상황을 관찰하여 빈도사건표집법과 ABC 사건표집법, 행동목록법과 평정척도법, 시간표집법을 모두 사용하여 관찰기록을 작성하시오(반드시, 다섯 가지 기록양식을 모두 사용할 것).
2. 유아들의 놀이상황이나 가족 등 주변사람의 상황 등 관찰행동을 지정하고 30분을 관찰하여 일화기록을 2매로 작성하시오.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는 oo이가 하고 싶은 거만 하면 안 돼. 양보할 줄 알아야 돼. 아빠니까 oo이한테 양보해주는 거야.”라고 말한다. 아동은 부의 말에 어떠한 대답도 하지 않고 부를 쳐다보지 않으며 게임 할 준비를 한다. 게임을 하는 과정에서 부의 동전이 떨어지자 아동은 부를 향해 “아빠 진짜 못해. 내가 진짜 잘해.”라고 말한다. 아동은 부의 동전이 떨어질 때마다 반복적으로 부에게 같은 말을 한다. 아동이 3번쯤 말을 했을 때 부는 보드게임을 아동에게 살짝 밀며 “oo아 친구가 게임을 못하면 도와줘야지. 친구한테 나쁜 말하면 안 돼.”라고 한다. 이에 아동이 “나 나쁜 말 한 적 없는데?”라고 하며 궁금하다는 얼굴로 부를 본다. 이에 부가 얼굴을 살짝 찡그리며 “너 지금 계속 아빠한테 못한다고 얘기했잖아. 아빠도 그런 말 들으면 기분 나빠. 네가 친구들한테도 게임할 때 못한다고 하면 친구들도 기분 나빠.”라고 한다. 아동의 부의 말에 관심이 없다는 듯 게임을 쳐다보며 “응응 알았어. 이거 하자.”라고 답한다. 부는 아동의 이러한 행동에 화가 난 듯 얼굴을 다시 한 번 찡그리며, “잘못을 했으면 사과를 해야지. ‘아빠 미안해.’라고 해.”라고 사과를 강요한다. 아동은 “아빠 미안해. 이제 게임하자.”라고 가볍게 대답한다. 부가 “아빠 이 게임 안 할래. oo이가 진심으로 사과를 하지 않았어. 아빠는 다른 거 가지고 놀래.”라고 하며 일어나서 장난감 장식장으로 간다. 이에 아동은 갑자기 큰 소리로 울며 “아~ 왜~ 게임하자. 게임할래. 게임해.”라고 말한다. 부는 아동이 하는 말이 들리지 않는 듯 장난감 장식장에서 장난감을 고르는 행동을 보이며, 아동을 쳐다보지 않는다. 아동은 부가 자신을 쳐다보지 않자 더 큰 소리로 울며 부를 쳐다본다. 부가 계속해서 반응이 없자, 아동은 교실 문을 열고 나가버린다.
5) 평가
부모 모두 아동의 마음을 공감해주고 이해해주기 보다는 아동에게 지시적인 편이다.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아동은 공감 받고 이해받는 경험을 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또래와의 관계에서 적절히 상호작용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방법이 미숙할 것으로 보인다.
III. 결론
아동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각각의 관찰법과 기록법 마다 장단점이 있다. 하지만 행동마다 어떻게 관찰하고 기록하는 것이 좋은지의 여부가 다르다. 직접 작성을 하는 경험을 통해 아동의 어떤 행동은 ABC 사건표집법이 적절했고, 어떤 행동은 시간표집법이 적절했다. 아동의 행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중요한 경우에는 ABC 사건표집법을 통해 원인을 알아보고 원인을 제거해줌으로써 행동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어떤 행동이 빈번하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시간표집법으로 행동을 관찰하여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파악하여 행동을 수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관찰법과 기록법에 대하여 충분히 숙지하고 반복적인 경험을 함으로써 관찰자로서의 완전함을 추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IV. 참고문헌
성미영 외 4인(2017).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학지사.
  • 가격4,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2.07.26
  • 저작시기202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731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