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거래화폐수량설 및 현금잔고수량설)과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설, 그리고 프리드먼의 신화폐수량설을 각각의 이론이 제시하는 화폐수요함수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시오.
2. 통화승수를 이론적으로 도출하고, 도출한 공식을 이용하여 화폐공급의 내생성에 대해 서술하시오.
3. 이자율 결정에 관한 이론들 중 고전학파의 자연이자율이론과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설, 그리고 현대적 대부자금설을 각각 설명하고 차이점을 비교하시오.
2. 통화승수를 이론적으로 도출하고, 도출한 공식을 이용하여 화폐공급의 내생성에 대해 서술하시오.
3. 이자율 결정에 관한 이론들 중 고전학파의 자연이자율이론과 케인즈의 유동성선호설, 그리고 현대적 대부자금설을 각각 설명하고 차이점을 비교하시오.
본문내용
터 장래의 소비에 대한 지배력을 어떻게 보유할 것인가에 관한 의사결정을 가지고 있다. 즉, 이를 유동적으로 보유할 것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인데 케인즈는 자율 이자율 이론이 이를 무시하고 생각한 이론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케인즈는 이자율이란 항상 유동성을 내놓는 것에 대한 보수이기 때문에 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화폐에 대하여 그들의 유동적인 지배력을 내놓는 것에 대해 판단하는 척도가 된다고 보았다. 즉, 이자율은 투자용 자금에 대한 수요, 그리고 현재의 소비를 억제하기 위하여 균형시키는 가격이 아닌 자신의 부를 현금의 형태로 보유하려고 한 의도와 이를 이용 가능한 현금의 양으로 균형 맞추기 위한 가격이라고 본 것이다.
3.3 현대적 대부자금설
올린으로부터 시작된 대부자금설은 유동성 선호설과 마찬가지로 이자율이란 저축과 투자를 일치하는 조건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또, 이자율이 사전적인 저축, 투자를 일치시키는 것이라고도 표현하지 않았다. 대부자금설에 의하면 이자율이란 신용의 가격이기 때문에 신용의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표현하였다. 신용을 창출할 수 있는 은행 시스템은 어느 정도 이자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때로는 은행이 이자율을 결정한다고 가정하였다. 물론, 이는 가계와 기업의 저축 의도 등과 무관하게 이자율이 결정된다고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이 서로 간접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보았다. 로버트슨은 올린의 대부자금설에 추가하여 이에 대한 몇 가지 평가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이 이론에서 수요자와 공급자는 어느 정도 동일인이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자율에 대하여 이들은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는 가정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인정하였다. 두 번째로 수요와 공급을 현존하는 채권과 화폐스톡의 교환으로 다룰 경우 발생하는 어려움은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자율은 이미 충분히 움직였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는 이자율 분석은 특정 시점에서 사람들의 행동의지를 다루었기 때문에 이는 주어진 시점에서의 사람들의 선택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저축이나 퇴장 등 거래가 끝난 후 생겨난 화폐스톡은 분석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참고문헌
박하섭, (2000). 고전학파의 거시경제이론,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황재홍, (2001). 케인즈 화폐 이론의 발전 과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 이동우, (2006). 전자화폐의 발전에 따른 기업과 가계의 화폐 수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3.3 현대적 대부자금설
올린으로부터 시작된 대부자금설은 유동성 선호설과 마찬가지로 이자율이란 저축과 투자를 일치하는 조건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또, 이자율이 사전적인 저축, 투자를 일치시키는 것이라고도 표현하지 않았다. 대부자금설에 의하면 이자율이란 신용의 가격이기 때문에 신용의 수요와 공급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표현하였다. 신용을 창출할 수 있는 은행 시스템은 어느 정도 이자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때로는 은행이 이자율을 결정한다고 가정하였다. 물론, 이는 가계와 기업의 저축 의도 등과 무관하게 이자율이 결정된다고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이 서로 간접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보았다. 로버트슨은 올린의 대부자금설에 추가하여 이에 대한 몇 가지 평가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로 이 이론에서 수요자와 공급자는 어느 정도 동일인이라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자율에 대하여 이들은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는 가정은 현실적이지 않다고 인정하였다. 두 번째로 수요와 공급을 현존하는 채권과 화폐스톡의 교환으로 다룰 경우 발생하는 어려움은 없다고 주장하였다. 이자율은 이미 충분히 움직였기 때문이다. 세 번째로는 이자율 분석은 특정 시점에서 사람들의 행동의지를 다루었기 때문에 이는 주어진 시점에서의 사람들의 선택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저축이나 퇴장 등 거래가 끝난 후 생겨난 화폐스톡은 분석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참고문헌
박하섭, (2000). 고전학파의 거시경제이론, 전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황재홍, (2001). 케인즈 화폐 이론의 발전 과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 이동우, (2006). 전자화폐의 발전에 따른 기업과 가계의 화폐 수요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