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수요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화폐수요이론

Ⅰ 화폐수요의 개요

Ⅱ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
1. 교환방정식(고전적 화폐수량설)
2. 현금잔고수량설

Ⅲ 케인즈의 유동성 선호설
1. 기초개념
2. 화폐수요이론의 도출
3. 유동성선호설의 평가

Ⅳ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
1. 배 경
2. 화폐수요이론의 도출
3. 신화폐수량설의 평가

Ⅴ 각 이론별 비교

본문내용

(MD)와 화폐공급(MS)이 일치하는 수준에서 결정된다.
r
MS
r0
MD
거래적동기 투기적동기
0 M0 화폐량
④ 경기호황시
→화폐수요(MD)중 LT(거래적 화폐수요)의 비중은 높게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LS(투기적 화폐수요)의 비중은 낮게 나타난다.
r
MS
r0
MD
거래적 동기 투기적동기
0 M0 화폐량
< 경기호황시 >
⑤ 경기불황시
→화폐수요(MD)중 LT(거래적 화폐수요)의 비중은 낮게 나타나고, 상대적으로
LS(투기적 화폐수요)의 비중은 높게 나타난다.
r
MS
r0 MD
거래적동기 투기적동기
0 M0 화폐량
< 경기불황시 >
⑥ 경기가 극심한 불황시
화폐수요(MD)중 LT(거래적 화폐수요)의 비중은 매우 낮은 상태이고, 화폐수요(MD)의
대부분이 LS(투기적 화폐수요)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통화당국이 이자율을 변화시키고자 통화량을 늘려도(확대금융정책), 화폐공급의 증가분이 모두 투기적 화폐수요로 모두 흡수되므로 금융정책은 아무런 효과가 없다.
r MS MS'
확대통화정책
r0 MD
투기적 동기
0 M0(예,100억) M0‘(예,150억) 화폐량
< 경기가 극심한 불황시 >
주. 경기가 극도로 불황의 시기였던 경제대공황(1930년대)때에는 금융정책이 무력하다고 케인즈는 주장하였고, 재정정책을 통한 총수요의 증가만이 경기를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3. 유동성선호설의 평가
(1) 의 의
① 화폐의 가치저장기능에 입각한 투기적 화폐수요를 강조하였고, 투기적 화폐수요를 결정하는 이자율을 통해서 실물부문과 화폐부문이 상호작용한다고 보았다.
→고전파의 이분법(화폐의 베일관)을 비판함
② 금융정책의 파급경로
화폐공급(MS)
화폐수요(MD)
총수요(YD)
국민소득
총생산(YS)
투 자(I)
이자율(r)
← ← ← ← ←
총수요, 총공급
r
MS MS' YD1
YD0
r0
r1
MD
0 MO M1 화폐량 0 Y0 Y1 국민소득
< 금융부문 > < 실물부문 >
위의 그림에서
통화량(MS)증가 →이자율(r)하락 →투자수요(I)증가 →총수요(YD)증가 →국민소득(Y)증가
주 이자율이 하락하면 투자는 증가한다.
YD0 = C + I(r0) + G + (X-M)
YD1 = C + I(r1) + G + (X-M)
YD0 : 통화량(MS) 인 경우의 총수요
YD1 : 통화량(MS')인 경우의 총수요
ΔI : 이자율하락에 따른 투자수요(I)의 증가분
I(r0): 이자율이 r0인 경우에 투자수요
I(r1): 이자율이 r1인 경우에 투자수요
I(r1) = I(r0) + ΔI
③ 그러나, 만약 화폐수요가 유동성 함정이나 투자의 이자율탄력성이 매우 낮은 경우 에는 금융정책의 효과는 매우 미약하다
MS MS'
r
YD0 (=YD0‘)
YD0
확대금융정책
r0 MD
0 M0(100억) M0‘(150억) M 0 Y0 Y
유동성함정의 경우 확대금융정책을 사용해도 이자율은 불변이고, 투자수요도 변하지 않으므로 국민소득은 증가하지 않는다(불변).
투자의 이자율탄력성이 낮은 경우
→아무리 이자율이 많이 하락하여도 투자의 증가는 아주 미비하므로 국민소득의 증 가효과는 미비하다.
→투자의 이자율탄력성 =
Ⅳ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
1. 배 경
① 고전학파는 화폐의 자산으로서의 기능을 무시하였다.
→교환의 매개수단으로써의 기능만을 강조함.
② 그에 반해 케인즈는 화폐를 하나의 자산으로써 보유하는 가치저장의 기능을
중시하여다.
③ 프리드만은 화폐를 자산으로 보유하는 가치저장의 기능을 인정하였지만 케인즈와는
다르게 화폐수요는 매우 안정적이라고 주장하였다.
2. 화폐수요이론의 도출
(1) 화폐수요의 결정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에서 화페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는 항상소득(YP)과 채권수익률, 주식수익률, 화폐수익률 등이 있다.
(2) 화폐수요함수
= f(YP,w,rb,re,rm,Pe,…)
→ = k(rb,re,rm)YP
YP : 항상소득, w : 현재부
Pe : 예상물가상승률, rb : 채권수익률
re : 주식수익률, rm : 화폐수익률
(3) 화폐공급의 결정
화폐공급은 통화당국에 의해 결정된다.
(4) 화폐수요이론
① 사람들은 화폐를 수요할 때 명목화폐가 아닌 실질화폐를 수요한다.
② 실질화폐수요()는 이자율(채권수익률, 주식수익률, 화폐이자율등)과
항상소득(YP)에 의해 결정된다.
③ 그러나, 이자율등이 실질화폐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므로 화폐수요는
개인의 항상소득(YP)에 의해 결정된다.
④ 따라서, 신화폐수량설에서는 화폐수 요가 매우 안정적이라고 본다.
⑤ 화폐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항상소득이다.
(5) 화폐수요의 탄력성
① 화폐수요의 이자율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이자율변화가 화폐수요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다.
② 화폐수요의 소득탄력성()은 1에 가깝다.
→화폐수요와 항상소득은 거의 정비례관계이다.
3. 신화폐수량설의 평가
① 통화량은 명목국민소득결정에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이다.
→화폐는 중요하다(Money does matter).
② 통화지표로써 통화량을 중시하였다.
③ 규칙적인 일정율(k%)의 통화준칙을 실시하라고 주장하였다.
Ⅴ 각 이론별 비교
화폐수량설
유동성선호설
신화폐수량설
배 경
완전고용
불완전고용
장기에 자연국민소득
화폐의 기능
교환의 매개수단 강조
가치저장수단을 강조
가치저장수단을 강조
화폐수요결정요인
소 득
소득과 이자율
→이자율 강조
소득과 이자율
→소득 강조
화폐유통속도(V)
일정(외생적 결정변수)
가변적
(이자율에 의해 결정)
안정적
(항상소득에 의해 결정)
화폐수요함수
MD = PY 혹은
MD = kPY
MD = LT(Y) + LS(r)
MD = k( …)PY
화페수요함수의 안정성
매우 안정적
매우 불안정적
매우 안정적
화폐수요의 이자율탄력성
완전 비탄력적(이자율과
화폐수요는 무관)
탄력적 (이자율은 화폐수요에 큰 영향을 미친다)
비탄력적 (이자율이 화폐수요에 미치는 효과는 미비)
화폐수요의 소득탄력성
1 (단위탄력적)
매우 비탄력적
1 에 가깝다
화폐관
화폐의 베일관
(실물과 화폐는 별개)
실물부문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준다.
단기 : 물가, 실질국민소득에 영향
장기: 물가에만 영향
(장기에 화폐의 중립성)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2.05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8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