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나에 대한 정신분석
2) 프로이트 이론의 특징과 나.
3. 결론
- 참고 문헌 -
2. 본론
1) 나에 대한 정신분석
2) 프로이트 이론의 특징과 나.
3.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대해서 내가 가지게 되는 이득, 타인이 가지게 될 이득에 대해서까지 궁극적으로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는 점이다.
이런 점들을 보면 의식하고 있는 나의 성격에 대해서도 적지 않는 영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또한 무의식적인 초자아와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 활동이면서도 의식을 가지고 있는 만큼이나 그에 대한 교육과 지식이 나에게 어느 정도 쌓여있었다는 점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반면에 내가 알아본 나에 대해서 본다면 전의식이라는 기준을 잘 찾기가 어려웠다는 점이다. 의식을 가지고 있는데 전의식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알아보기가 어려웠던 점이 크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내가 가지고 있는 성향이나 그에 대한 의식의 유무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 바라본다면, 크게 두 가지로 보이게 된 것이라고 본다.
3. 결론
끝으로 프로이트의 이론을 두고 나를 보았을 때를 본다면 조금은 기계적인 느낌이 적지 않게 들었다고 본다. 오늘날에 들어서 프로이트의 이론의 원본 그대로 바라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해석하는 사회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본다. 분명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이나 정신학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끼쳤던 사람이기에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그가 가지고 있는 성향이라던가, 여러 요소들은 분명 본받을 점과 본 받지 못할 점들도 존재하지만 그에 대해서, 시시비비를 따지는 건 옳지 못하다고 본다. 그가 만든 이론에 있어서 반박할 요소와 따라야 할 요소, 그리고 따라야 할 요소 중 추후에 바뀔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해서 본다면 그의 이론은 신뢰도가 높은 만큼이나 나중에는 많은 수정과 생각이 들어갈 수 있는 이론 중 하나라고 본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이러한 이론을 통하여 나라는 존재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오히려 나라는 존재에 대해서 나는 어떻게 인식을 하고 있었고 과거의 몇 가지의 사건들을 돌이켜 보게 되는 하나의 계기를 만들게 되었다고 본다. 아직은 어려서 앞만 바라보던 나에게 잠시나마 뒤를 돌아보게 하면서 앞으로는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일깨워준 시간이라고 본다.
참고 문헌
철학사전/2009/임석진, 윤용택, 황태연, 이성백/철학사전편찬위원회 외 30인/중원문화.
한국의 프로이트 이론 수용 양상 연구 : 일반 이론과 특수 이론 개념을 중심으로 학위논문(박사) -이정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비교문화협동과정 2017. 2
이런 점들을 보면 의식하고 있는 나의 성격에 대해서도 적지 않는 영향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또한 무의식적인 초자아와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는 활동이면서도 의식을 가지고 있는 만큼이나 그에 대한 교육과 지식이 나에게 어느 정도 쌓여있었다는 점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본다. 반면에 내가 알아본 나에 대해서 본다면 전의식이라는 기준을 잘 찾기가 어려웠다는 점이다. 의식을 가지고 있는데 전의식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알아보기가 어려웠던 점이 크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내가 가지고 있는 성향이나 그에 대한 의식의 유무가 어느 정도인지에 대해서 바라본다면, 크게 두 가지로 보이게 된 것이라고 본다.
3. 결론
끝으로 프로이트의 이론을 두고 나를 보았을 때를 본다면 조금은 기계적인 느낌이 적지 않게 들었다고 본다. 오늘날에 들어서 프로이트의 이론의 원본 그대로 바라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를 해석하는 사회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본다. 분명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이나 정신학적으로 많은 영향력을 끼쳤던 사람이기에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그가 가지고 있는 성향이라던가, 여러 요소들은 분명 본받을 점과 본 받지 못할 점들도 존재하지만 그에 대해서, 시시비비를 따지는 건 옳지 못하다고 본다. 그가 만든 이론에 있어서 반박할 요소와 따라야 할 요소, 그리고 따라야 할 요소 중 추후에 바뀔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해서 본다면 그의 이론은 신뢰도가 높은 만큼이나 나중에는 많은 수정과 생각이 들어갈 수 있는 이론 중 하나라고 본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이러한 이론을 통하여 나라는 존재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고 본다. 오히려 나라는 존재에 대해서 나는 어떻게 인식을 하고 있었고 과거의 몇 가지의 사건들을 돌이켜 보게 되는 하나의 계기를 만들게 되었다고 본다. 아직은 어려서 앞만 바라보던 나에게 잠시나마 뒤를 돌아보게 하면서 앞으로는 어떻게 행동해야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일깨워준 시간이라고 본다.
참고 문헌
철학사전/2009/임석진, 윤용택, 황태연, 이성백/철학사전편찬위원회 외 30인/중원문화.
한국의 프로이트 이론 수용 양상 연구 : 일반 이론과 특수 이론 개념을 중심으로 학위논문(박사) -이정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비교문화협동과정 2017. 2
추천자료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발달단계][심리성적발달단계][정신분석][정신북석이론][성격발...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성격과 주요용어,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기본내용과 ...
인간행동과사회환경A) 행동발달에 대한 정신분석이론의 입장과 요점(프로이드, 에릭슨, 융의 ...
[도덕성 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사회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피아제와 콜버그의...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이론을 설명하고 인본주의 이론과 사회복지...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성격구조 심리성적발달단계 프로이드 이론의 평가 및 시사점)
프로이트의 인간관을 기초로 하여 프로이트 이론의 주요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각각 설명하세요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공통형 2019 사회복지 생활과학(가정복지)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2019)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서 나타나는 문제 등교거부 인간행동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