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행동 증가
(2) 행동 감소
(3) 행동 증가와 행동 감소
(4) 아동 행동수정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1) 행동 증가
(2) 행동 감소
(3) 행동 증가와 행동 감소
(4) 아동 행동수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유를 상세하게 이야기를 한다. ⓑ 반성의자의 실시 시간은 짧아야한다. 평균3~5분 내외로 실시하며 3회 이상 누적 시 7분, 5회 이상은 10분으로 제한한다. ⓒ 즉시성, 반성의자는 문제 행동이 발생한 시점에서 즉각적으로 일어나야 한다. 5분 뒤에 한다 던지 지연이 있으면 안 된다. ⓓ 반성의자를 하는데 물리적인 힘을 사용하지 않는다. 스스로 지각하고 반성의자에 올 수 있도록 가벼운 지시나 손 짓 등을 활용하되 들어 안고 이동하는 등의 행동은 하지 않는다. ⓔ 반성의자를 하는 중에 완강한 저항을 보이는 경우. 선택권을 제시한다. 예를 들면 반성의자를 계속 할 것인지 혹은 집으로 갈 것인지, 엄마에게 알릴 것인지. 등이 있다. ⓕ 반성의자를 원활하게 수행한 경우 격려와 지지를 하며 아동의 행동이 잘못된 것이지 아동에게 있어서는 긍정적임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아동이 타임아웃과 강화물 지급에 대해 익숙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 그렇기에 소거와 같은 문제적 행동에 대해서 전혀 관심을 가지지 않는 방법을 활용하거나, 문제 행동을 일으키면 와사비 맛 사탕과 같은 맛이 없는 사탕을 지급하거나 정리정돈 당번 등의 정적 처벌의 방법을 활용한다. 또한 프리맥의 원리와 같은 괴롭히거나 때리는 행동보다 빈도나 강도가 낮은 친구를 돕거나 양보하는 행동을 할 때 강화물(사탕, 젤리, 스티커 등)을 지급하는 것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처럼 해당 아동에 있어서는 가장 처음에 제시한 방법들을 적용하되 위와 같은 외현적인 문제 행동을 보이는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상 자극에 익숙해지고 실증날 수 있다, 그렇기에 아동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활동을 치료적 요법으로서 제시를 하거나 새로운 기법들을 적용해보는 것도 좋은 방안으로 사료된다. 또한 가장 걱정되는 부분으로는 내담자의 객관적인 행동 관찰이 이루어져하는데 교사 및 치료사 직접적으로 행동관찰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좋긴 하나 현실적으로는 매우 어렵다. 그렇기에 상담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만 치료적 상황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행동 치료의 문제가 하나 더 발생한다. 이 환경이 아닌 다른 환경에서는 적응적 행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그렇기에 다양한 환경에서 혹은 실생활 환경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집단 상담의 기법도 같이 활용하여 적용하는 것도 좋은 방안으로 사료된다.
3. 결론
아동의 문제적 행동에 대한 접근은 행동 수정이외에도 인지 요법, 정신분석요법, 가족요법, 독서요법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서는 행동 수정이라는 관점에서 적용해보았는데 한계점도 몇 가지가 있었다. 행동 수정의 맹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사고와 감정의 측면은 충분히 다루어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문제적 원인이 행동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과거 트라우마와 같은 격한 감정 상태를 유발한 사건의 경우 외현적인 문제만 고쳐질 뿐 내적인 상태를 충분히 다루어 주지 못할 수 있다. 그렇기에 다른 외현적인 문제의 출현도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행동 수정의 요법이 오히려 적응이 되어 이를 악용할 수도 있다, 이는 내담자, 아동이 학습을 하여 자신의 이득을 얻기 위해서 교묘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도 적용될 수 있다. 그렇기에 상담자, 치료자는 냉철하고 객관적인 자세로서 대할 수 있다 여기서 문제가 있다. 상담사의 냉철하고 객관적인 태도로서 문제 행동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접근을 하는데 치료적인 관게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때로는 치료에 대한 거부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아동의 문제 행동 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상담자의 태도와 유연성이라고 생각한다. 행동 수정도 충분히 매력적인 치료기법이다. 하지만 행동 수정으로만 내담자를 대하기에는 명백한 한계점이 있다. 다른 치료적 기법보다 적용하는 범용성이 넓은 것과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기에 많은 장면에서 사용된다. 하지만 내담자를 이해하고 관계를 형성하고, 때로는 다른 치료의 기법이 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렇기에 치료자. 상담자는 보다 다양한 치료 기법을 활용하는 것을 재교해보아야 한다. 내담자에 알맞은 치료를 제시하고 적용하는 것 또한 상담자, 치료자의 역할이니까.
4. 참고문헌
Garry L. Martin, Joseph Pear. (2012). 행동수정. 학지사.
Judith S. beck. (2017). 인지행동치료 이론과 실제-제2판. 하나의학사.
Jesse H. Wright,Michael E. Thase,Monica R. Basco. (2019). 인지행동치료 [2판]. 학지사.
3. 결론
아동의 문제적 행동에 대한 접근은 행동 수정이외에도 인지 요법, 정신분석요법, 가족요법, 독서요법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서는 행동 수정이라는 관점에서 적용해보았는데 한계점도 몇 가지가 있었다. 행동 수정의 맹점이라고도 할 수 있는 사고와 감정의 측면은 충분히 다루어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문제적 원인이 행동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과거 트라우마와 같은 격한 감정 상태를 유발한 사건의 경우 외현적인 문제만 고쳐질 뿐 내적인 상태를 충분히 다루어 주지 못할 수 있다. 그렇기에 다른 외현적인 문제의 출현도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행동 수정의 요법이 오히려 적응이 되어 이를 악용할 수도 있다, 이는 내담자, 아동이 학습을 하여 자신의 이득을 얻기 위해서 교묘하게 이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도 적용될 수 있다. 그렇기에 상담자, 치료자는 냉철하고 객관적인 자세로서 대할 수 있다 여기서 문제가 있다. 상담사의 냉철하고 객관적인 태도로서 문제 행동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접근을 하는데 치료적인 관게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으며 때로는 치료에 대한 거부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아동의 문제 행동 개선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상담자의 태도와 유연성이라고 생각한다. 행동 수정도 충분히 매력적인 치료기법이다. 하지만 행동 수정으로만 내담자를 대하기에는 명백한 한계점이 있다. 다른 치료적 기법보다 적용하는 범용성이 넓은 것과 사용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기에 많은 장면에서 사용된다. 하지만 내담자를 이해하고 관계를 형성하고, 때로는 다른 치료의 기법이 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렇기에 치료자. 상담자는 보다 다양한 치료 기법을 활용하는 것을 재교해보아야 한다. 내담자에 알맞은 치료를 제시하고 적용하는 것 또한 상담자, 치료자의 역할이니까.
4. 참고문헌
Garry L. Martin, Joseph Pear. (2012). 행동수정. 학지사.
Judith S. beck. (2017). 인지행동치료 이론과 실제-제2판. 하나의학사.
Jesse H. Wright,Michael E. Thase,Monica R. Basco. (2019). 인지행동치료 [2판]. 학지사.
추천자료
문제행동 사례분석 및 행동수정기법 적용
[아동상담] 행동주의 접근
아동생활지도
2020년 1학기 아동생활지도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아동의 행동 수정 기법)
아동생활지도 1. 아동의 행동 수정 기법 중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법과 바람직하지 ...
[아동생활지도] 1. 아동생활지도의 이론적 기초 중 정신분석적 접근과 인본주의적 접근에 관...
아동생활지도2)아동의 행동수정 기법 중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법과 바람직하지 않은...
2022년 1학기 아동생활지도 출석수업대체시험 과제물(아동의 행동수정 기법, 부적응행동)
아동생활지도 ) 아동의 행동 수정 기법 중 바람직한 행동을 증가시키는 기법과 바람직하지 않...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