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문제 해결에 다가갈 수 있다.
7번 답안)
면대면 학습이 더 많이 차지하는 경우다. 온라인의 학습은 인터넷 활용이나 어떠한 매체의 활용 정도로 그친다. 예를 들어 면대면 학습으로 수업은 진행하되, 과제의 경우는 온라인으로 제출하는 것이다.
면대면 학습과 온라인 학습의 비율이 같은 경우다. 면대면 학습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이론적인 부분이 크고 온라인 학습의 경우 학습자가 직접 찾아서 학습하는 등이라고 볼 수 있다.
온라인 수업이 거의 차지하는 경우다. 이 경우에는 교수자가 동영상으로 수업을 진행하거나, 과제 제출을 거의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8번 답안)
학습자 분석 : 학습자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아니, 수준, 태도, 사전지식 등의 특성을 분석한다.
목표 진술 : 학습자가 이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것으로 무엇을 성취할지 결정하는 단계이다. 달성을 위한 조건과 여부 측정하는 상황을 제시한다.
교수 방법, 매체, 자료의 선정 : 어떤 매체를 이용할지 선정하는 단계이다. 방법에서 매체로, 매체에서 자료로 선택하는 과정이다.
매체와 자료의 활용 : 위에서 선택한 것을 활용하는 단계. 어떻게 활용할지 검토하고 준비한 후에 학습의 경험을 하게 된다.
학습자 참여 :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게 되는 단계. 실제로 매체를 활용하고 그 후에 과제를 하는 것으로 학습 행동을 유발한다.
평가와 수정 :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것에 대해 평가를 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는 교수 학습 방법이나 매체, 교재를 수정하기도 한다.
9번 답안)
수직적인 형태를 가진다. 대중매체의 경우 송신의 역할과 수신의 역할이 고정된 것이다. 일방적이고 수직적이라고 볼 수 있다.
반복활용이 가능하다. 인쇄 매체의 경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휴대성이 높다. 이것은 시각이 아닌 청각에 의존하는 매체인데 라디오나 음반 등이다. 전달 속도가 빠르며 신속하다. 대신 시각 정보가 부족하다.
쌍방향 매체로서 뉴미디어가 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우리는 정보의 생산자로서 참여할 수 있다.
이윤을 목적으로 한다. 광고성 또는 대중매체를 소장하거나 보는 것으로 돈을 지불하고 이러한 직접적인 참여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10번 답안)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 :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인데, 하이퍼텍스트, CD-Rom 등이 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학습이 가능해진다.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 수업 : 실제로 어떠한 소프트웨어를 활용, 수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자주 쓰는 글씨의 글씨체 폰트를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직접 사용해보고 평가한다.
인터넷 활용 수업 : 실제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협동학습을 진행하는 것이다. 폭넓은 학습환경이 제공되며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된다.
11번 답안)
이동성 : 스마트폰이나 휴대기기에 넣어 이동할 수 있다.
접근성 : 다운로드를 통하여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접속을 할 수 있다.
확장성 : 남녀노소, 나이와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다.
신속성 : 인터넷이 있는 곳이라면 빠른 접속, 빠른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12번 답안)
학습주제 : 사형은 과연 정당한 것인가?
수업 대상 : 중, 고등학생 36명
주요 교수 방법 : 토의식 교수법
소주제
교사 활동
학습자 활동
유의점
및 자료
시간
(분)
주제 안내
먼저 문제를 제시한다.
그리고 각각 학생들에게 찬성과 반대의 의견을 각각 생각하도록 한다.
학습자는 이 문제를 듣고 자신이 생각하는 의견을 조원들과 토의할 준비를 한다.
화면으로 사형이 이루어진 사례, 그리고 현재의 법에 관하여 설명.
10
토의
학생들에게 자신이 생각한 의견을 조 6개로 나누어 2개의 의견에 대하여 토의할 수 있도록 시간을 준다.
학습자는 자신들이 생각하는 의견을 조원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토의한 내용을 프린트물에 정리한다.
토의할 내용에 대한 프린트물을 배부.
35
정리
마지막으로 토의한 결과물을 조의 대표자가 발표한다.
각 조의 대표자를 정하여 정리한 내용을 발표한다.
15
출처 및 참고문헌
교수법 안내,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학습 지원센터. 2005
dasan.sejong.ac.kr/~inlee/class/99-2theory/method1/1-lecture.hwp
교수법Tip 효과적인 수업 방법, 루터 대학교, 2007
HRD 용어사전(2010), (사) 한국기업교육학회, ㈜중앙경제
교육공학(2011), 임청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
7번 답안)
면대면 학습이 더 많이 차지하는 경우다. 온라인의 학습은 인터넷 활용이나 어떠한 매체의 활용 정도로 그친다. 예를 들어 면대면 학습으로 수업은 진행하되, 과제의 경우는 온라인으로 제출하는 것이다.
면대면 학습과 온라인 학습의 비율이 같은 경우다. 면대면 학습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이론적인 부분이 크고 온라인 학습의 경우 학습자가 직접 찾아서 학습하는 등이라고 볼 수 있다.
온라인 수업이 거의 차지하는 경우다. 이 경우에는 교수자가 동영상으로 수업을 진행하거나, 과제 제출을 거의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8번 답안)
학습자 분석 : 학습자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아니, 수준, 태도, 사전지식 등의 특성을 분석한다.
목표 진술 : 학습자가 이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것으로 무엇을 성취할지 결정하는 단계이다. 달성을 위한 조건과 여부 측정하는 상황을 제시한다.
교수 방법, 매체, 자료의 선정 : 어떤 매체를 이용할지 선정하는 단계이다. 방법에서 매체로, 매체에서 자료로 선택하는 과정이다.
매체와 자료의 활용 : 위에서 선택한 것을 활용하는 단계. 어떻게 활용할지 검토하고 준비한 후에 학습의 경험을 하게 된다.
학습자 참여 :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게 되는 단계. 실제로 매체를 활용하고 그 후에 과제를 하는 것으로 학습 행동을 유발한다.
평가와 수정 :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것에 대해 평가를 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는 교수 학습 방법이나 매체, 교재를 수정하기도 한다.
9번 답안)
수직적인 형태를 가진다. 대중매체의 경우 송신의 역할과 수신의 역할이 고정된 것이다. 일방적이고 수직적이라고 볼 수 있다.
반복활용이 가능하다. 인쇄 매체의 경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휴대성이 높다. 이것은 시각이 아닌 청각에 의존하는 매체인데 라디오나 음반 등이다. 전달 속도가 빠르며 신속하다. 대신 시각 정보가 부족하다.
쌍방향 매체로서 뉴미디어가 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우리는 정보의 생산자로서 참여할 수 있다.
이윤을 목적으로 한다. 광고성 또는 대중매체를 소장하거나 보는 것으로 돈을 지불하고 이러한 직접적인 참여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10번 답안)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 :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인데, 하이퍼텍스트, CD-Rom 등이 있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학습이 가능해진다.
응용 소프트웨어 활용 수업 : 실제로 어떠한 소프트웨어를 활용, 수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자주 쓰는 글씨의 글씨체 폰트를 특징에 따라 분류하고 직접 사용해보고 평가한다.
인터넷 활용 수업 : 실제로 인터넷을 이용하여 협동학습을 진행하는 것이다. 폭넓은 학습환경이 제공되며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된다.
11번 답안)
이동성 : 스마트폰이나 휴대기기에 넣어 이동할 수 있다.
접근성 : 다운로드를 통하여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곳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접속을 할 수 있다.
확장성 : 남녀노소, 나이와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다.
신속성 : 인터넷이 있는 곳이라면 빠른 접속, 빠른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12번 답안)
학습주제 : 사형은 과연 정당한 것인가?
수업 대상 : 중, 고등학생 36명
주요 교수 방법 : 토의식 교수법
소주제
교사 활동
학습자 활동
유의점
및 자료
시간
(분)
주제 안내
먼저 문제를 제시한다.
그리고 각각 학생들에게 찬성과 반대의 의견을 각각 생각하도록 한다.
학습자는 이 문제를 듣고 자신이 생각하는 의견을 조원들과 토의할 준비를 한다.
화면으로 사형이 이루어진 사례, 그리고 현재의 법에 관하여 설명.
10
토의
학생들에게 자신이 생각한 의견을 조 6개로 나누어 2개의 의견에 대하여 토의할 수 있도록 시간을 준다.
학습자는 자신들이 생각하는 의견을 조원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토의한 내용을 프린트물에 정리한다.
토의할 내용에 대한 프린트물을 배부.
35
정리
마지막으로 토의한 결과물을 조의 대표자가 발표한다.
각 조의 대표자를 정하여 정리한 내용을 발표한다.
15
출처 및 참고문헌
교수법 안내, 성신여자대학교 교수 학습 지원센터. 2005
dasan.sejong.ac.kr/~inlee/class/99-2theory/method1/1-lecture.hwp
교수법Tip 효과적인 수업 방법, 루터 대학교, 2007
HRD 용어사전(2010), (사) 한국기업교육학회, ㈜중앙경제
교육공학(2011), 임청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
추천자료
블룸.가네 .메이거의 교수목표상세화
2020년 1학기 교육공학 기말시험 과제물
2020학년도 1학기 기말시험(온라인평가) 교육공학
[2020 교육공학3공통][기말시험] 1.아래와 같이 진술된 교수목표를 메이거(Mager)가 제시한 ...
[2021 교육과정4B]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육목표의 진술에 대해 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을 설...
[교육과정 B형 2021]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교육목표의 진술에 대해 학자들이 주장하는 것을 ...
[ 교육공학 ) 아래와 같이 진술된 교수목표를 메이거(Mager)가 제시한 교수목표 진술 방식(학...
[ 교육공학 ) 진술된 교수목표를 메이거(Mager)가 제시한 교수목표 진술 방식(학습자, 행동,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