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코로나19는 우리가 위험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런데 위험은 취약계층, 비정규직, 미국의 경우 흑인 등이 더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사회적 위험인 코로나19는 모두에게 공평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목차
1. 서론
1. 본론
(1) 코로나19로 인해 위험에 처한 개인, 계층 혹은 계급
(2) 왜 그가 다른 개인, 계층 혹은 계급보다 위험한지 분석
(3)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1. 결론
1. 출처 및 참고문헌
코로나19는 우리가 위험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런데 위험은 취약계층, 비정규직, 미국의 경우 흑인 등이 더 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사회적 위험인 코로나19는 모두에게 공평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목차
1. 서론
1. 본론
(1) 코로나19로 인해 위험에 처한 개인, 계층 혹은 계급
(2) 왜 그가 다른 개인, 계층 혹은 계급보다 위험한지 분석
(3)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1. 결론
1.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과 그에 대한 시민의 논의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댓글만을 금지해 필요한 정보는 전달하면서 불필요한 비난은 막을 수 있다. 하지만 공적 사이트 이외의 온라인 공간에서도 혐오 발언이 재생산되고 있기에 더욱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미 논의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제정에 실패한 차별금지법 김명수. \"소수자보호와 차별금지법.\" 홍익법학 15, no. 3 (2014): 165-203.
에 박차를 가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일 수 있다. 혐오 발언의 발화자에 대해 실질적인 처벌을 내리는 것이다.
정부에서 소수자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겠다는 견해를 밝혀 코로나19 발병이 의심되는 사람들이 신속히 선별진료소를 방문하게 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이태원 클럽 집단 발병 사태에서 해당 클럽은 성 소수자들이 주로 방문하는 장소로, 방문을 밝히는 것만으로 정체성이 드러나 피해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경로로 감염이 의심되는지 묻지 않고 검사를 시행하면 방역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취약계층을 전반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을 펼치면 성 소수자 집단 역시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앞서 살펴보았듯 성 소수자 집단은 정신건강이나 고용 상태에서도 일반인과 비교하면 취약하다. 따라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심리적,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은 개인을 효과적으로 구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결론
전염병이라는 재난 앞에서 방역 수칙을 따르지 않고 무책임하게 행동한 개인에 대한 비판은 정당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비난이 개인의 특정 정체성을 향하게 된다면 결국 같은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더욱 숨게 되고, 동선 추적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새로운 차별이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19 사태는 원래 존재하던 차별을 드러낼 뿐이다. 재난 앞에서 생겨난 사건에 대해 차별과 혐오로 대응하면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 성 소수자의 정체성에 대한 혐오 발언으로 인해 성 소수자들은 진단 검사를 꺼리게 되었고, 감염병 확산 경로를 파악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코로나19 사태를 현명하게 이겨내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차별과 혐오에 노출된 소수자 집단을 더욱 보호해야 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김명수. \"소수자보호와 차별금지법.\" 홍익법학 15, no. 3 (2014): 165-203.
김현지, 장미영, 김정호, 송지현, 김란, 홍현주, and 신성희. \"한국 사회에서 동성애자의 삶.\" 동서간호학연구지 25, no. 1 (2019): 69-80.
이호림, 이혜민, 박주영, 최보경, 김승섭, \"한국 동성애자· 양성애자의 건강불평등: 레인보우 커넥션프로젝트 I\", 1-11, 2017.
Warner, William, and Julia Hirschberg. \"Detecting hate speech on the world wide web.\" In Proceedings of the second workshop on language in social media, pp. 19-26.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2012.
에 박차를 가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일 수 있다. 혐오 발언의 발화자에 대해 실질적인 처벌을 내리는 것이다.
정부에서 소수자의 정체성을 적극적으로 보호하겠다는 견해를 밝혀 코로나19 발병이 의심되는 사람들이 신속히 선별진료소를 방문하게 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이태원 클럽 집단 발병 사태에서 해당 클럽은 성 소수자들이 주로 방문하는 장소로, 방문을 밝히는 것만으로 정체성이 드러나 피해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경로로 감염이 의심되는지 묻지 않고 검사를 시행하면 방역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취약계층을 전반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을 펼치면 성 소수자 집단 역시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앞서 살펴보았듯 성 소수자 집단은 정신건강이나 고용 상태에서도 일반인과 비교하면 취약하다. 따라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심리적, 경제적으로 타격을 입은 개인을 효과적으로 구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결론
전염병이라는 재난 앞에서 방역 수칙을 따르지 않고 무책임하게 행동한 개인에 대한 비판은 정당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비난이 개인의 특정 정체성을 향하게 된다면 결국 같은 집단에 속한 사람들은 더욱 숨게 되고, 동선 추적은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새로운 차별이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 코로나19 사태는 원래 존재하던 차별을 드러낼 뿐이다. 재난 앞에서 생겨난 사건에 대해 차별과 혐오로 대응하면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 성 소수자의 정체성에 대한 혐오 발언으로 인해 성 소수자들은 진단 검사를 꺼리게 되었고, 감염병 확산 경로를 파악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 코로나19 사태를 현명하게 이겨내기 위해서라도 우리는 차별과 혐오에 노출된 소수자 집단을 더욱 보호해야 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김명수. \"소수자보호와 차별금지법.\" 홍익법학 15, no. 3 (2014): 165-203.
김현지, 장미영, 김정호, 송지현, 김란, 홍현주, and 신성희. \"한국 사회에서 동성애자의 삶.\" 동서간호학연구지 25, no. 1 (2019): 69-80.
이호림, 이혜민, 박주영, 최보경, 김승섭, \"한국 동성애자· 양성애자의 건강불평등: 레인보우 커넥션프로젝트 I\", 1-11, 2017.
Warner, William, and Julia Hirschberg. \"Detecting hate speech on the world wide web.\" In Proceedings of the second workshop on language in social media, pp. 19-26.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2012.
추천자료
사회복지토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사회복지실천기술...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사회적 위험의 지속이 사회복지실천현장에 미치는 영향과 직면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과제물 - 잔여주의적 복지와 제도주의적 복지에 대해서
[2021 지역사회복지론3공통] 1)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복...
사회복지조사론
[지역사회복지론 3학년 공통] 1) 잔여주의와 제도주의의 차이를 서술하고, 잔여주의 지역사회...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 코로나19는 우리가 위험사회에 살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사회복지학개론 =) 1강에서 7강까지의 강의를 들은 후, 가장 인상깊은 사건 혹은 장면을 두 ...
소개글